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공포통치’가 재개됐다. 군 서열 2위로 꼽히는 현영철 인민무력부장이 지난달 30일쯤 반역죄로 처형당했다는 게 우리 정보 당국의 판단이다. 김 제1위원장 집권 이후 계속되고 있는 권력구조 재편 과정으로 보는 시각과 함께 극도의 체제 불안정성을 내보인 것이라는 분석이 엇갈린다. 2013년 12월 고모부이자 2인자였던 장성택을 전격 처형한 김 제1위원장은 이번에도 상상하기 힘든 충격적인 방법으로 현영철을 숙청했다.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현영철은 평양 순안 구역 소재 강건군관학교에서 수백 명의 주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대공 화기인 고사총으로 공개 처형됐다.
숙청 이유도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 현영철은 지난달 24~25일 열린 군 일꾼대회에서 자리에 앉아 조는 모습이 적발돼 크게 질책을 받았다고 한다. ‘불경·불충죄’로 찍힌 셈이다. 여기에다 김 제1위원장의 지시에 대꾸하고 불만을 표출한 부분 등이 덧씌워져 반역죄로 부풀려졌다는 것이다. 소총과 달리 고사총으로 처형되면 몸체는 흔적도 남지 않게 된다. 그런 점에서 ‘최고 존엄’인 김 제1위원장의 지시를 거역하고, 역심을 품는 세력은 한 치의 아량도 베풀지 않고 잔혹하게 처벌한다는 경고 메시지를 던지는 극도의 ‘김정은식(式) 공포통치’라고 할 수 있다.
김 제1위원장은 현영철 처형에 앞서 최근 6개월간 마원춘 국방위 설계국장, 변인선 총참모부 작전국장, 한광상 노동당 재정경리부장 등 당·정·군 고위급 인사 6명을 숙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가운데 마원춘은 김 제1위원장이 심혈을 기울인 마식령스키장 건설에 주도적 역할을 했고, 변인선 역시 최근까지 김 제1위원장을 밀착 수행한 핵심 측근이다. 김 제1위원장이 장성택 처형 이후 17개월 만에 자신의 왼팔, 오른팔, 군 최고 실세 등을 모두 잘라 내는 ‘피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것은 북한 내부의 강한 변동성을 보여 주는 방증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물론 집권 초기 대대적인 숙청을 통해 권력 기반을 다진 할아버지 김일성, 아버지 김정일의 전례를 따르고 있는 것이라는 해석도 가능하지만 거꾸로 생각해 보면 그만큼 권력 기반이 상당히 불안정하다는 판단에 따라 고위층 다잡기에 나섰을 가능성이 높다. 이영호 총참모장과 장성택에 이어 현영철까지 차례로 제거한 것은 2인자를 만들지 않겠다는 의지 표명으로도 보인다. 현영철 잔혹 숙청을 계기로 김 제1위원장의 난폭성은 다시 한번 확인됐다.
북한의 정세 변화는 곧바로 한반도 안보 지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긴장의 고삐를 바짝 죄고 주시해야만 한다. 김 제1위원장이 최근 부쩍 군부대 시찰을 늘리고,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 비대칭 전력 확충에 열을 올리는 것도 허투루 넘길 일이 아니다. 북한 엘리트층 내부에서는 김 제1위원장의 지도력에 대한 회의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제1위원장의 독단성, 난폭성, 예측불가능성이 갈수록 심화되는 것도 문제이지만, 북한 내부에서 ‘급변사태’가 일어난다면 그 파장은 더욱 헤아리기 어렵다. 촉각을 곤두세워 북한 정세를 면밀히 분석, 대비해야 하는 이유다.
숙청 이유도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 현영철은 지난달 24~25일 열린 군 일꾼대회에서 자리에 앉아 조는 모습이 적발돼 크게 질책을 받았다고 한다. ‘불경·불충죄’로 찍힌 셈이다. 여기에다 김 제1위원장의 지시에 대꾸하고 불만을 표출한 부분 등이 덧씌워져 반역죄로 부풀려졌다는 것이다. 소총과 달리 고사총으로 처형되면 몸체는 흔적도 남지 않게 된다. 그런 점에서 ‘최고 존엄’인 김 제1위원장의 지시를 거역하고, 역심을 품는 세력은 한 치의 아량도 베풀지 않고 잔혹하게 처벌한다는 경고 메시지를 던지는 극도의 ‘김정은식(式) 공포통치’라고 할 수 있다.
김 제1위원장은 현영철 처형에 앞서 최근 6개월간 마원춘 국방위 설계국장, 변인선 총참모부 작전국장, 한광상 노동당 재정경리부장 등 당·정·군 고위급 인사 6명을 숙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가운데 마원춘은 김 제1위원장이 심혈을 기울인 마식령스키장 건설에 주도적 역할을 했고, 변인선 역시 최근까지 김 제1위원장을 밀착 수행한 핵심 측근이다. 김 제1위원장이 장성택 처형 이후 17개월 만에 자신의 왼팔, 오른팔, 군 최고 실세 등을 모두 잘라 내는 ‘피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것은 북한 내부의 강한 변동성을 보여 주는 방증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물론 집권 초기 대대적인 숙청을 통해 권력 기반을 다진 할아버지 김일성, 아버지 김정일의 전례를 따르고 있는 것이라는 해석도 가능하지만 거꾸로 생각해 보면 그만큼 권력 기반이 상당히 불안정하다는 판단에 따라 고위층 다잡기에 나섰을 가능성이 높다. 이영호 총참모장과 장성택에 이어 현영철까지 차례로 제거한 것은 2인자를 만들지 않겠다는 의지 표명으로도 보인다. 현영철 잔혹 숙청을 계기로 김 제1위원장의 난폭성은 다시 한번 확인됐다.
북한의 정세 변화는 곧바로 한반도 안보 지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긴장의 고삐를 바짝 죄고 주시해야만 한다. 김 제1위원장이 최근 부쩍 군부대 시찰을 늘리고,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 비대칭 전력 확충에 열을 올리는 것도 허투루 넘길 일이 아니다. 북한 엘리트층 내부에서는 김 제1위원장의 지도력에 대한 회의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제1위원장의 독단성, 난폭성, 예측불가능성이 갈수록 심화되는 것도 문제이지만, 북한 내부에서 ‘급변사태’가 일어난다면 그 파장은 더욱 헤아리기 어렵다. 촉각을 곤두세워 북한 정세를 면밀히 분석, 대비해야 하는 이유다.
2015-05-1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