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공기관 직무능력 위주 채용 방향은 옳다

[사설] 공공기관 직무능력 위주 채용 방향은 옳다

구본영 기자
입력 2015-03-25 18:02
수정 2015-03-26 02: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공기관 채용 관행이 직무능력 위주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바뀔 참이다. 삼성그룹 입사 시험처럼 출신대학 등 이른바 ‘스펙’을 묻지 않는 방식이다. 정부는 그제 이를 위해 130개 공공기관과 ‘직무능력중심 채용 양해각서(MOU) 체결식’을 가졌다. 이런 ‘무(無)스펙’ 전형은 일단 우리 사회의 비생산적인 학벌지상주의를 깰 만한 대안으로 여겨진다. 다만, 정밀한 평가 기준을 마련해 직무능력이 또 다른 ‘스펙’이 되는 부작용을 막는 게 관건일 것이다.

직무능력을 최우선시하는 채용 방식이 자리 잡도록 하겠다는 데 누가 토를 달겠는가. 사회 진출을 앞둔 청년들의 스펙 쌓기 경쟁은 한국 사회의 고질 그 자체일 게다. 일례로 공공기관의 직무 영역 중 영어가 필요없는 곳도 많을 텐데 입사 기준으로 토익·토플 점수를 일률적으로 요구할 까닭이 뭔가. 학벌, 학점, 토익점수, 어학연수 경력, 자격증 등 온갖 종류의 스펙을 채우고 입사한 신입 직원들이 단순 근로에 실망해 직장을 옮기는 사례도 비일비재했다. 이처럼 허울뿐인 스펙 쌓기에 투자한 시간과 돈만 아까운 게 아니다. 불필요한 스펙 대신 필요한 실질적 직무능력이 있는 인재를 뽑지 못한 기업의 입장에서도 큰 낭비 요인인 셈이다. 그래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서류 전형과 면접을 거쳐 공공기관의 신규 채용을 늘려 가겠다는 정부의 방침은 큰 틀에서 옳다.

다만 이런 충원 방식을 공공기관이 선도하도록 하겠다는 정부의 구상이 제대로 먹히려면 선결 과제가 적잖아 보인다. 말로만이 아니라 정교한 시스템으로 해당 직군에 적합한 인재를 충원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뜻이다. 지난 정부가 중점을 뒀던 고졸 채용 확대 방침도 일종의 ‘무스펙’ 전형일 것이다. 하지만 올해 공공기관의 고졸자 채용 규모는 134개 기관 1722명으로 전년의 1933명보다 10.9% 줄었다고 한다. 2년 연속 감소세다. 제도적 뒷받침 없이 그저 정책적 독려만 하다 보니 한계를 드러낸 꼴이다. 학벌 등을 떠나 해당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도록 NCS를 직군별로 좀 더 정교하게 세분화해야 할 것이다.

‘스펙보다 직무능력이 먼저’라는 삼성식 채용 실험의 방향이 옳다면 이제 공공기관에서 정착돼 민간기업으로 확산되는 게 바람직하다. 그러려면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어렵다. 학교 교육부터 직무 중심으로 개편하는 등 범사회적으로 인재 양성 제도와 의식을 모두 바꿔 나갈 때다.
2015-03-2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