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45> 혜공과 원효, 갠지스강에서 희롱하다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45> 혜공과 원효, 갠지스강에서 희롱하다

    운제산 오어사(吾魚寺)가 자리잡은 곳은 도로명 주소로는 경북 포항시 오천읍 오어로지만, 행정구역으로는 항사리다. 이런 땅이름이 붙여진 것은 오어사의 옛 이름이 항사사(恒沙寺)였기 때문이다. 항사는 한역(漢譯)된 불경(佛經)에 수없이 등장하는 항하사(恒河沙)의 준말이다. 항하는 곧 인도의 갠지스강으로, 항하사 또는 항사는 갠지스강 모래알처럼 수없이 많음을 은유하는 표현으로 쓰이곤 한다. 절에서 많은 수도자가 나오기를 바라며 붙인 이름일 것이다. 인도 사람들이 천 수백 년전 멀리 한반도에 갠지스강의 이름을 딴 절이 세워져 지금도 법등(法燈)을 이어오고 있고, 이런 이름의 마을이 건재하다는 사실을 전해 들으면 놀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오어사를 감돌아 나가는 신광천 상류는 산골 시내에서는 보기 드물게 하얀 모래가 지천으로 깔려있다. 옛 사람들도 이곳에 절을 지어놓고 밖을 내다보니 석가모니의 발을 적셨던 갠지스강 흰모래가 자연스럽게 떠오르지 않았을까 상상의 날개를 펴게 된다. 신광이란 신라시대 이후 포항의 이름이었다. 법흥왕이 이곳에서 하룻밤을 묵을 때 밝은 빛이 비쳤고, 신이 보낸 빛이라며 신광(神光)이라 이름 붙였다는 전설이 있다. 당시부터 이 지역의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담헌 홍대용의 ‘을병연행록’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담헌 홍대용의 ‘을병연행록’

    조선 후기 대표적 실학자의 한 사람인 담헌 홍대용(1731~1783)은 서양 음악의 한국 전래 역사에도 특별한 족적을 남겼다. 그는 숙부 홍억의 자제군관으로 1765~1766년 베이징에 다녀오면서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을병연행록’(乙丙燕行錄)에 담았다. 특히 파이프오르간과 만난 경험을 꼼꼼하게 적어 놓았는데, 이 대표적 서양 악기에 대한 한국인 최초의 기록이다. ●“풍류 잡는 법 따라 하니 곡조 이룰 듯”… 첫 연주도 ‘을병연행록’에 따르면 담헌이 오늘날에는 선무문천주당이라고도 불리는 남천주교당을 찾은 것은 1766년 1월 9일이다. 독일 선교사 유송령(劉松齡·아우구스티누스 폰 할베르스타인)과 포우관(鮑友官·안토니우스 고게이즐)의 안내로 내부를 둘러보다가 파이프오르간이 있는 곳에 당도한다. ‘남쪽으로 벽을 의지하여 높은 누각을 만들고 난간 안으로 기이한 악기를 벌였으니, 서양국 사람이 만든 것으로 천주에게 제사할 때 연주하는 풍류였다. 올라가 보기를 청하자 유송령이 매우 지탄(指彈)하다가 여러 차례 청한 뒤에야 열쇠를 가져오라고 하여 문을 열었다.’ ‘풍류’가 곧 파이프오르간이다. 유송령은 이 악기를 자세히 보여 주는 것을 꺼렸던 듯하다. 홍대용은 그런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칠갑산 장곡사 ‘밥그릇 부처’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칠갑산 장곡사 ‘밥그릇 부처’

    충남 청양은 전통적으로 구기자가 많이 나는 고장이지만 지금은 매운 고추의 대명사가 됐다. 사실 우리나라 고추의 오래된 본고장은 경북 청송(靑松)과 영양(英陽)이라고 할 수 있다. 두 곳에서 한글자씩 따서 청양고추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런데 산지가 많은 청양은 태백산맥 서쪽의 청송·영양만큼이나 일교차가 크다. 맛있는 고추의 생육에 매우 적절한 자연 조건이라고 한다. 청양(靑陽)이라는 땅이름도 청송·영양 고추의 전통을 이어받은 새로운 고추의 고장으로 명성을 날리게 하는 데 도움이 됐을 것이다. ●장곡사 상·하 대웅전 따로… 약사여래 주존 모셔 칠갑산은 이런 청양을 대표하는 명산이다. 가수 주병선이 1989년 발표한 ‘칠갑산’은 국악가요로는 유례없이 크게 히트했다. 지금도 노래방에 가면 ‘콩밭 매는 아낙네야, 베적삼이 흠뻑 젖는다’로 시작하는 이 노래를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다. 과거 칠갑산 주변에는 화전을 일구어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 노래 또한 먹을 것이 없어 어린 딸을 민며느리로 보내야 하는 화전민 어머니의 애끊는 사연을 그린 것이라고 한다. 칠갑산 도립공원 들머리에는 최근 ‘콩밭 매는 아낙네상(像)’도 세워졌다. 칠갑산 등산로를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44> 향천사의 얼굴 새긴 부도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44> 향천사의 얼굴 새긴 부도

     우리에게 무덤에 주인의 얼굴을 새겨놓는 전통은 없었다. 하지만 큰스님의 사리를 모신 부도를 일종의 무덤이라고 할 수 있다면, 향천사 부도는 귀한 사례일 것이다.  충남 예산은 백제시대 오산(烏山)이었다. 이 오래된 땅이름의 흔적은 지금도 예산읍의 안산인 금오산(金烏山)에 남아있다. 향천사는 이 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백제 의자왕 16년(656년) 의각대사가 세운 것으로 창건 설화는 전한다.  향천사의 부도밭에는 두 기의 옛 부도가 있는데, 오른쪽의 전형적인 조선시대 부도를 눈여겨 봐야 한다. 부도 왼쪽에 세워진 비표(碑表)에는 ‘멸운당대사 혜희의 탑’(滅雲堂大師惠希之塔)이라고 새겨져 있다.  높이 210㎝로 당당한 멸운대사 부도는 조선시대 것으로는 조각이 세련된 편이다. 가까이 다가서면 팔각 지붕돌의 정면으로 내민 추녀마루에 작은 인물상이 하나 보일 것이다. 전체적으로 고승다운 품격에 연륜이 더해져 너그러운 인상을 풍긴다.  향천사에는 멸운대사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군을 조직해 금산전투에 참여했고, 전란이 끝난 뒤 불타버린 절을 중창했다는 이야기가 전설처럼 전한다. 하지만 비표의 뒷면에는 숙종 34년(1708년)에 해당하는 강희 4년에 부도를 세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신라인이 재현한 ‘보드가야의 성도상’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신라인이 재현한 ‘보드가야의 성도상’

    ‘삼국유사’를 보면 경주 토함산 석굴암의 원래 이름은 석불사(石佛寺)였다. 석굴암이라고 하면 곧 인자하고 위엄 있는 모습의 본존불의 모습이 떠오른다. 하나의 석굴에 조성한 석불사는 대형 사원을 방불케 하는 상징 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런데 ‘삼국유사’는 이 상징 체계를 포괄하는 공간의 이름만 일러 주었지 본존불의 정체성은 언급하지 않았다. 본존불이 과연 어떤 부처님인가 하는 의문이다. ●석굴암 본존불은 석가모니불이 아니다? 석가여래설과 아미타여래설이 주종을 이루는 가운데 비로자나여래설도 있었다. 1907년 석굴암이 다시 세상에 알려졌을 때 일본인 학자들은 석가여래라고 했다. 불상의 이름(존명·尊名)은 우선적으로 손모습을 판단의 기준으로 삼게 마련인데 본존불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짓고 있다. 참선에 들어 있는 자세에서 오른손을 무릎에 얹고 손가락으로 땅을 가리키는 모습이다. 수행을 방해하는 악마를 굴복시키며 깨달음을 이루는 순간을 상징한다. 하지만 항마촉지인이라고 모두 석가여래는 아니라는 데 묘미가 있다.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은 아미타불을 모시고 있다. 한량없는 수명과 지혜를 가졌다는 아미타불은 무량수무량광불(無量壽無量光佛)이라고도 불린다. 무량수전이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43> 통일신라에 재현한 보드가야의 성도상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43> 통일신라에 재현한 보드가야의 성도상

    ‘삼국유사’를 보면 경주 토함산 석굴암의 원래 이름은 석불사(石佛寺)였다. 석굴암이라고 하면 곧 인자하고 위엄있는 모습의 본존불의 모습이 떠오른다. 하나의 석굴에 조성한 석불사는 대형 사원을 방불케하는 상징 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런데 ‘삼국유사’는 이 상징 체계를 포괄하는 공간의 이름만 일러주었지, 본존불의 정체성은 언급하지 않았다. 본존불이 과연 어떤 부처님인가 하는 의문이다. 석가여래설과 아미타여래설이 주종을 이루는 가운데 비로자나여래설도 있었다. 1907년 석굴암이 다시 세상에 알려졌을 때 일본인 학자들은 석가여래라고 했다. 불상의 이름(존명·尊名)은 우선적으로 손모습을 판단의 기준으로 삼게 마련인데 본존불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짓고 있다. 참선에 들어있는 자세에서 오른손을 무릎에 얹고 손가락으로 땅을 가리키는 모습이다. 수행을 방해하는 악마를 굴복시키며 깨달음을 이루는 순간을 상징한다.  하지만 항마촉지인이라고 모두 석가여래는 아니라는데 묘미가 있다.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은 아미타불을 모시고 있다. 한량없는 수명과 지혜를 가졌다는 아미타불은 무량수무량광불(無量壽無量光佛)이라고도 불린다. 무량수전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유다. 그러니 무량수전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고선사터 댐 짓느라 수몰… 서당화상비 깨진 채 수습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고선사터 댐 짓느라 수몰… 서당화상비 깨진 채 수습

    국립경주박물관 뒤뜰 한켠에는 압도적인 크기의 삼층석탑 하나가 버티고 있다. 크기가 주는 위압감에 더하여 뒤뜰 복판에 세워진 석가탑과 다보탑의 모조품은 범접할 수 없는 품격이 느껴진다. 고선사(高仙寺)터 삼층석탑이다. ●경주박물관으로 옮긴 고선사 삼층석탑 고선사는 경주 시내에서 감은사가 있는 동해로 넘어가는 토함산 중턱에 있었다. 고선사 탑을 이야기하자면 감은사 쌍탑도 언급하기 마련인데,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은 고선사와 감은사 탑에서 시작해 석가탑으로 완성됐기 때문이다. 고선사 탑이 제자리를 떠난 것은 1975년이다. 경주 주변에 생활용수와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덕동댐이 지어지면서 절터는 물에 잠겼다. 앞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고 삼층석탑은 경주박물관으로 옮겨졌다. 고선사는 원효대사(617~686)가 머물렀던 사찰이다. 1914년 그의 일대기가 새겨진 서당화상비의 깨어진 아랫부분이 절터에서 수습되어 고선사의 내력이 밝혀지게 됐다. 원효는 어릴 적 이름이 서당(誓幢)이어서 서당화상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비석 위·아래 부분은 두 군데서 소장 서당화상비의 왼쪽 윗부분은 1968년 경주시내 동천사터로 알려진 동네 민가에서 발견됐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이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42> 호수에 잠긴 원효의 흔적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42> 호수에 잠긴 원효의 흔적

     국립경주박물관에 가면 뒷뜰 한켠에 압도적인 크기의 삼층석탑이 버티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크기에서 느껴지는 위압감에 더하여 주변에 세워진 불국사 석가탑과 다보탑의 모조품은 범접할 수 없는 품격이 느껴진다. 고선사(高仙寺)터 삼층석탑이다.  고선사는 경주 시내에서 감은사가 있는 동해로 넘어가는 토함산 중턱에 있었다. 고선사 탑을 이야기하자면 감은사 쌍탑도 언급하기 마련이다. 통일신라시대 전형적인 삼층석탑은 고선사 탑과 감은사 탑에서 시작해 석가탑에서 완성됐기 때문이다.  고선사탑이 토함산 서쪽 기슭을 떠나 경주박물관에 자리잡은 것은 1975년이다. 경주시내 안팎에 생활용수와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덕동댐이 지어지면서 절터는 수몰됐다. 고선사 터의 발굴조사가 끝나고 삼층석탑은 경주박물관으로 옮겨졌다.  고선사는 원효대사(617~686)가 머문 사찰이었다. 1914년 원효의 일대기가 새겨진 서당화상비의 깨어진 아랫부분이 절터에서 수습되어 고선사의 내력이 어느 정도 밝혀지게 됐다. 원효는 어릴 적 이름이 서당(誓幢)이어서 서당화상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서당화상비의 왼쪽 윗부분은 어찌된 일인지 1968년 경주시내의 동천사터로 알려진 동네의 민가에서 발견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41]  불화(佛畵)에 담긴 일제강점기 사회상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41] 불화(佛畵)에 담긴 일제강점기 사회상

     감로탱(甘露幀)은 외래 종교인 불교를 한국인들이 얼마나 창조적으로 해석하고 신앙했는지 보여 주는 불교회화이다. 전생에 지은 죄에 따라 육도윤회(六道輪廻)에 고통받는 중생이 구제 과정을 거쳐 극락에 이른다는 스토리를 담고 있다. 감로탱화, 감로왕도라고도 부르는데, 일반적으로 과거-현재-미래가 인과관계로 연결되는 3단으로 그려졌다. 아래부터 지옥도와 아귀도에서 헤매는 중생도 단이슬(甘露)이 상징하는 풍성한 음식이 베풀어진 의식을 거치고 나면 부처가 머물고 있는 세계로 올라설 수 있음을 상징한다.  우리나라에만 있는 감로탱은 산천에 떠도는 외로운 영혼을 천도하기 위한 수륙재나 조상을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는 우란분재에서 쓰였다. 이렇듯 독창적인 그림이 불교가 극심한 탄압을 받던 조선시대에 꽃을 피웠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감로탱 가운데 제작 연대가 가장 빠른 것은 일본 나라국립박물관에 있는 약산사 감로탱(1589)이다. 각각의 감로탱은 하단의 육도윤회상이 조성 당시의 사회상을 생생하게 보여 준다는 점에서 기록화이자 풍속화로도 높은 평가를 받는다.  역사적 의미가 뚜렷한 감로탱 가운데 서울 돈암동 흥천사 감로왕도가 있다. 조선 태조의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40] 최종태의 성모마리아와 관세음보살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40] 최종태의 성모마리아와 관세음보살

     지금 국립현대미술괄 과천관에서는 원로 조각가 최종태의 회고전이 열리고 있다. 83세 노(老)조각가의 인생 역정을 보여주는 200점 남짓한 작품이 두 개의 전시공간에 나뉘어 관람객을 맞고 있다.  최종태의 화업(畵業) 60년은 ‘구도(求道)의 여정’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우리 교회 조각을 현대 미술의 한 지류로 편입시키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인물이다. 그의 성상(聖像) 작업은 타성에서 벗어나기 어려웠던 한국 교회 조각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이정표가 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독실한 가톨릭 신앙을 가진 최종태의 작품은 전국 가톨릭 교회에 널리 퍼져 있다. 조금 과장하자면, 그의 작품이 없는 가톨릭 교회를 찾는 것이 오히려 빠를 지경이다. 그럼에도 최종태는 서울 성북동 길상사에 관음보살상을 조성하는 파격을 보여주었다. 1997년 길상사 개산법회에 김수환 추기경을 초청하는 등 종교 사이의 벽을 허무는데 노력했던 법정 스님의 뜻에 화답한 것이었다.  가톨릭미술가협회장을 맡기도 했던 최종태는 호기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땅에는 나라도, 종교도 따로따로 있지만 하늘로 가면 경계가 없다”고 했다. 관음상은 2000년 4월 설법전 앞에 봉안됐다. 여섯 개의 봉우리가 솟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9] 불상에 적힌 신라문학의 정수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9] 불상에 적힌 신라문학의 정수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경주 감산사터 석조아미타여래입상과 석조미륵보살입상은 드물게 한국의 미술사는 물론 문학사까지 풍요롭게 하는 걸작이다.  미륵보살입상은 목과 허리를 엇갈린 방향으로 살짝 구부린 삼곡(三曲) 자세가 매력적이고, 온몸을 휘감고 있는 장신구도 우아하다. 불상의 시원인 간다라와 마투라를 아우르는 4∼5세기 인도의 굽타 양식이 중국을 건너뛰어 들어온 뒤 통일신라 특유의 미의식과 결합한 사례라고 한다.  상대적으로 아미타여래는 살집 있는 몸매에 키는 작달막하고, 조각도 상대적으로 평면적이다. 다양한 해석이 있지만, ‘석괴(石塊)의 제한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어 재미있다. 주어진 재료가 그렇게 조각할 수 밖에 없도록 생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때론 미술사에서도 거창한 해석보다 단순한 상상력이 필요할 때가 있다. 두 불상이 후하게 대접받는 데는 명문도 한몫을 했다. 아미타여래의 광배 뒷면에 21행 391자, 미륵보살에도 비슷한 자리에 22행 381자의 글자가 새겨져 있다. 집사성 시랑을 지낸 김지성이 719년 어머니를 위해 미륵보살을 조성했고, 아미타여래는 아버지를 위해 만들려 했지만 이듬해 김지성이 죽자 두 사람의 명복을 함께 빌고자 세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8] ‘인간의 몸은 소우주’라는 ‘동의보감’의 인식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8] ‘인간의 몸은 소우주’라는 ‘동의보감’의 인식

     “사람은 우주에서 가장 지체가 높고 귀한 존재다. 머리가 둥근 것은 하늘을 본뜬 것이고, 발이 네모난 것은 땅을 본받은 것이다. … 하늘에 해와 달이 있듯이 사람에게는 안목(眼目)이 있다. 하늘에 밤낮이 있듯이 사람에게 잠들고 깨어나는 것이 있다. 하늘에 천둥과 번개가 있듯이 사람에게는 즐거워하고 노여워하는 마음이 있고, 하늘에 비와 이슬이 있듯이 사람에게는 눈물이 있다. 하늘에 음양이 있듯이 사람에게는 한열(寒熱)이 있고, 땅에 샘물이 있듯이 사람에게는 혈맥(血脈)이 있다. 땅에 초목(草木)과 금석(金石)이 있듯이 사람에게는 모발과 치아가 있다.”  ‘동의보감’은 ‘신형장부도’(身形臟腑圖)로 시작한다. 신체의 모양과 장기의 위치를 표시한 그림이다. 인체를 속속들이 파악하고 있는 요즘에는 별것 아닐 수도 있지만, 당시에는 귀중한 정보였다. 학계는 ‘동의보감’이 내보이고자 했던 인간의 정수가 이 그림에 나타나 있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앞의 설명을 보면 우주와 인간은 다르지 않은 존재다. 머리와 몸은 각각 하늘과 땅을 상징한다. 이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척추는 천지(天地)의 기운과 인체의 기운을 소통·순환시키고 있다.  우리는 ‘동의보감’을 병든 사람을 살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7] 해자(垓子)로 기능한 중학천과 백운동천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7] 해자(垓子)로 기능한 중학천과 백운동천

     조선은 왕조를 열면서 지금의 충남 계룡시 3군사령부 터를 도읍으로 점찍고 궁궐공사를 시작한다. 하지만 곧 한양의 북악산 아래로 수도의 위치를 바꾸게 된다. 풍수지리를 공부했다는 사람 가운데 몇몇은 이 과정에 오류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계룡산을 버리고 한양을 택한 것이 잘못이고, 인왕산을 버리고 북악산을 택한 것도 잘못이라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조선의 서울이 계룡산 어귀였다면 지금쯤 우리나라와 중국의 국경선은 임진강쯤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하기도 한다. 물론 수도의 위치 문제는 생각이 다를 수 있다. 하지만 한양을 설계한 사람들이 궁궐 자리를 북악산 아래로 점찍은 것은 옳은 선택이었다고 본다.  흔히 경복궁은 해자가 없는 것이 특징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해자란 외적의 방어를 위해 성의 둘레를 파놓은 시설이다. 중국 베이징의 쯔진청(紫禁城)과 일본 도쿄의 왕궁에는 모두 해자가 있다. 반면 경복궁 주변은 아무리 둘러봐도 해자는 찾을 수 없다. 경복궁 금천을 일종의 해자라고 의미를 부여하기도 하지만, 담장 안에 있는 것을 해자라고 할 수는 없겠다.  하지만 경복궁에는 자연의 조화를 거스르지 않고 실용성이 뛰어난 자연 해자가 있었다. 궁궐 동쪽의 중학천과 서쪽의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6] 의자왕 원혼 위로하는 고산사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6] 의자왕 원혼 위로하는 고산사

     세종특별자치시 서북쪽의 운주산에는 고산사(高山寺)라는 크지 않은 절이 있다. 운주산(雲住山)은 글자 그대로 ‘구름이 머무는 봉우리’라는 뜻이다. 해발고도가 460m 정도이니 다른 고을에 있었다면 이렇게 번듯한 이름이 붙지는 못했을 듯하다.  하지만 산 정상에 오르면 천안과 공주, 조치원과 청주를 비롯한 일대가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삼국시대에 벌써 산성을 쌓은 것도 그만큼 군사적으로 중요했기 때문일 것이다. 외성 3098m, 내성 543m의 운주산성은 3개의 봉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포곡식 석성(石城)이다. 포곡식이란 계곡을 둘러싼 주위의 능선을 따라 성벽을 쌓는 형태의 산성이다.  고산사는 운주산 등산로 초입에 있다. 들머리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왼쪽의 전각이 ‘백제루’(百濟樓)다. 절집 누각으로는 매우 독특한 이름이다. 백제루에는 ‘백제삼천범종’이 걸려 있다. 백제가 멸망하고 당나라로 끌려간 의자왕, 나당연합군과 마지막까지 싸우다 비명에 숨진 백제 부흥군의 원혼을 위로하고자 조성한 범종이라고 한다.  마당으로 올라서면 ‘백제국 의자대왕 위혼비’(百濟國 義慈大王 慰魂碑)가 눈에 들어온다. 위혼비 너머에 새로 조성된 전각은 ‘백제극락보전’(百濟極樂寶殿)이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5] 9세기 철원 사람들의 놀라운 불교관(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