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63호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도피안사의 옛 대적광전
군 부대가 조촐하게 복원했던 대적광전은 지난해 새로 지어졌다. 옛 대적광전은 새로운 대적광전 옆에 극락보전 현판을 달고 자리를 옮겼다. 그런데 대적광전을 큼지막하게 새로 지어놓고 보니 높이 91cm의 비로자나불과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느낌도 없지 않다.
비로자나불 등에 돋을새김된 명문
통일신라시대로 올라가는 철불은 그 자체가 많이 남아있지않는데다, 도피안사 비로자나불처럼 대좌까지 완벽하게 남아있는 것은 더욱 찾아보기 어렵다. 지금은 불단(佛壇) 아래로 숨어버렸지만, 연꽃을 엎어놓은 모양의 기단 하부에서 솟아오른 귀꽃은 인상적이다.
국보 제63호로 지정된 도피안사 비로자나불은 문화재로서 중요하지만, 불상을 조성한 통일신라시대 철원 사람들이 신앙을 대하는 자세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있다.
최근 새로 지은 도피안사 일주문
창건 설화는 불교의 본질에 가까이 다가가 현세에서 깨달음을 갈구하는 세력이 사후 극락세계를 기구하는 세력과 경쟁에서 승리를 거두었음을 보여준다. 당시 철원의 불교 신앙이 기복(祈福)으로 흐르지 않고 참다운 가치를 갈구하는 단계에 이르렀음을 상징한다.
명문에 따르면 철불은 1500명 남짓한 지역민이 ‘쇠붙이와 바위덩어리(金石)처럼 굳은 마음으로 인연을 맺어’ 조성한 것이다. 이어 ‘비천한 사람들이 창과 방망이를 스스로 내리쳐 긴 어둠에서 깨쳐갈 것이며, 게으르고 추한 뜻을 바꾸어 진리의 근원에 부합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오늘날의 한국 불교가 1200년전 철원지역 농투사니들의 인식에 오히려 못미치고 있는 것 아닌가 싶다.
글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시리즈 전체보기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