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20>경복궁 근정전 천장의 용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20>경복궁 근정전 천장의 용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용의 본질을 모르는 것은 물론 용의 입에서 나오는 것이 보이지 않았고 무엇인지 몰랐으므로 기와 연구는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으며, 관련된 다른 장르도 마찬가지여서 미술사학 연구는 정지 상태에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미술사학은 주로 역사적 접근만 했지 조형 원리나 사상사와는 거리가 점점 멀어져 갔다. 그런데 필자가 조형언어를 처음으로 해독할 수 있었던 것은 사상사와 종교학에 관심이 컸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상사와 종교학을 전공하는 학자들이 조형예술을 잘 읽을 수 있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오히려 관심 갖는 분은 거의 없었다. 사상사를 열심히 공부하고 종교란 무엇인가 생각해 와서 그런 것이 아니라, 작품들을 관찰-기록-스케치-촬영-논문 작성 등의 과정을 열심히 해 왔기 때문이다. 그런 과정에서 조형예술이 오히려 사상사와 종교학을 도울 수 있거나 보완하거나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다는 확신을 갖기 시작했다. 미술사학은 기록의 오류에 일그러진 사상사와 종교학의 원형을 어느 정도 복원할 수 있으므로 이 연재는 미술사학은 물론 문화사와 사상사와 종교학을 함께 다루고 있는 셈이다. 기와에 조각된 용의 입에서 영기문이 나온다고 앞의 글에서 밝혔고, 영기문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9> 백제 제석사 암막새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9> 백제 제석사 암막새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지금까지도 동양 3국의 미술사학자는 용의 입에서 무엇이 나온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용의 실체에 조금도 다가갈 수 없었으며 용과 관련된 모든 것을 해석할 수 없었다. 필자의 체험으로는 사람들이 용의 실체를 모르므로 입에서 무엇이 나온다는 것을 반복해도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뜻밖에 많았다. 그러니 그 ‘무엇’이 무엇인지 어찌 알 수 있단 말인가. 용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것을 포괄적으로 영기문, 즉 ‘만물을 생성시키는 영기문’이라고 앞서 말했다. 영기문이란 덩굴무늬 같지만 그것이 아니라 ‘생명이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형이상학적인 조형’임을 발견했다. 따라서 식물도 아니고 동물도 아닌 형이상학적 조형이다. 우주에 충만한 보이지 않는 영기를 시각화한 것인데 무슨 식물과 동물이 있겠는가. 원래 여러 단계지만 이 글에서는 마지막 단계만 보여드릴 수밖에 없다. 단계적 전개과정을 보고 싶으신 분은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 홈페이지(www.kangwoobang.or.kr)로 들어가시면 여러 가지 영기문의 채색분석 과정을 볼 수 있다. 고구려는 추녀마루기와와 망와를 창안했으며 힘찬 조형의 와당이 많고, 백제는 우아하고 아름다운 격조 높은 와당을 만들었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8> 용의 입에서 탄생한 영기문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8> 용의 입에서 탄생한 영기문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지금까지 17회에 걸쳐 용의 조형이 얼마나 다양하게 표현되는지 알았다. 그 결과 용이 어떻게 생겼는지 섣불리 말하기 어렵게 됐다. 그런데 정면용(正面龍)은 왜 그토록 몰라보았을까. 측면의 긴 모양만이 용이며, 그 모습은 그리 변화가 없지만, 정면에서 본 모습들은 끝없이 다른 모습으로 표현한 까닭에 사람들이 모든 용의 모습을 용으로 알아보지 못하고 귀면(鬼面), 도깨비, 도철(饕餮), 짐승얼굴(獸面), 심지어 치우(蚩尤·한족의 황제와 동이족의 치우천왕이 싸워 치우가 패함) 등 보는 사람마다 다르고 잘못된 이름으로 불러 왔다. 용을 정면에서 보아 표현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했기 때문이다. 용은 천변만화(千變萬化)한다. 변화무쌍이란 말은 용을 두고 한 말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모든 중생의 다른 근기(根機)에 따라 각각 천백억화신(千百億化身)으로 나타나듯 용도 무한히 다른 몸으로 나타난다. 절대적이며 고귀한 존재일수록 무한히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세상의 만물은 우주에 충만한 초자연적 에너지, 곧 영기의 화신이 아닌가. 종교·신화·전설 등에서 초월적인 존재가 인간이나 동물 등의 몸으로 탄생하거나 출현하는 것은 ‘현실적인 몸으로 변화(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7>도철의 발원지를 찾아내다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7>도철의 발원지를 찾아내다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우리가 익히 아는 중국 요순(堯舜)시대 이후 하상주(夏商周)시대의 청동기에 표현된 짐승 얼굴이 용 얼굴이어야 하는 까닭이 있다. 그 근원을 찾으려면 신화시대 삼황오제(三皇五帝)의 상징세계를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왕이 정치를 하는 궁궐 정전(正殿) 안에 용 표현이 왜 그리도 많은지 의문을 가져 보아야 한다. 삼황오제는 최고의 신들이었으며, 그 가운데 ‘황룡(黃龍)의 몸을 한 신(神)인 헌원(軒轅)’은, 중앙의 황제(黃帝)의 명령을 전달하고 집행하는 역할을 해서 특히 주목해야 한다. 왜냐 하면 훗날 천하의 통치자인 황제는 황룡을 상징하므로 자연히 최고신인 황제의 이미지와 겹치기 때문에 ‘황제와 왕과 용’은 깊은 관계를 맺게 된다. 이상은 마음에 새겨 두어야 할 매우 중요한 대목이어서 더 자세히 설명해야 하지만 요약만 해 두고 몇 가지만 다음에 언급한다. 중국 전한(前漢)의 사마천이 서술한 ‘사기’(史記)에 의하면 신화세계의 황제는 백성들에게 동(銅)을 모아서 큰 솥(鼎)을 만들게 했는데, 솥이 다 만들어지자 갑자기 하늘에서 용이 내려와 황제를 맞이하여 하늘로 올라갔다고 한다. 그 전통은 그대로 내려와 한고조, 즉 유방은 그의 어머니가 용과의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6> 중국 하나라와 상나라의 청동 예기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6> 중국 하나라와 상나라의 청동 예기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우리나라에는 고려청자를 만들면서 중국 고대의 청동 예기(禮器)를 모방한 작품이 많다. 조선시대 궁궐에서 쓰던 금속제 예기에도 관련된 작품이 많으며 분청사기와 백자에도 많다. 그러므로 중국의 초기 청동기부터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황제나 왕, 청동기와 용, 이 세 가지는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으므로 깊이 연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전공자가 없다. 하(夏)나라는 기록상의 중국 고대 왕조(BC 2070년 ~ BC 1600년)로 중국 최초의 왕조이다. 하 왕조를 허구로 여기는 시각이 있지만 갑골문과 최근 이리두(二里頭) 유적 등의 발견에 따라 지금은 대체로(商)나라를 건국한 집단과 문화적 연관성을 지닌다고 보고 있다. 필자도 영기화생론으로 그 관련성을 찾아볼 것이다. 그러면 먼저 하남성 이리두(二里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초기의 청동기(①)를 살펴보자. 높이 19㎝의 고졸(古拙)한 솜씨를 보이는 작은 솥이다. 하나라 말기의 청동기로 중국학자는 ‘운문정’(雲文鼎)이라 부른다. 중국학자의 말처럼 단지 구름무늬라면 절대적 권력을 상징하는 예기에 왜 이것을 새겼을까? ‘알 수 없는 무늬’를 가는 선으로 돋을새김을 하였는데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자세히 살펴보면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5> 철화백자 ‘바보 용’ 항아리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5> 철화백자 ‘바보 용’ 항아리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조선시대 철화백자 항아리와 청화백자 항아리 가운데는 중앙에서 파견된 화원(畵員)이 관요(官窯)에서 18세기에 그렸음 직한 당당한 모습의 용이나 봉황이 정교하게 그려진 작품이 있다.(⑤) 밑부분에 대좌에 해당하는 높은 굽이 있어서 더욱 우뚝한 모습의 청화백자는 궁궐에서 의례용으로 쓰기도 했던 항아리였을 것이다. 그런 항아리들에는 거의 반드시 용 두 분이나 봉황 두 분이 서로 앞서가서 표면을 회전한다. 그것은 큰 접시에 두 용이나 두 봉황을 회전시키는 그림과 맥락이 같다. 그저 권위적인 의미가 아니라 무릇 모든 도자기는 대우주의 생명력이 응축된 만병(滿甁)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용과 봉황을 그릴 수 있다는 것을 알았으며, 동시에 우주의 대생명력의 순환을 상징함도 알았다. 도자기 연구에서 최근 처음으로 시도하는 ‘만병론’(滿甁論)을 ‘월간 민화’에 연재하고 있다. 그런 권위적인 항아리를 보다가 19세기와 20세기 지방요(地方窯)에서 만든 둥근 항아리를 보면 큰 차이가 있다. 지방요에서 만든 항아리는 둥근 것이 많은데, 특히 용은 아마추어가 그린 듯한 ‘지지리도 못 그린 예’가 많다.(③, ④) 사람들은 그런 산만한 용 그림을 보고 어처구니가 없어서 웃는다.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4>당진 농기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4>당진 농기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농기(農旗)란 농촌에서 한 마을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깃발이다. 풍년을 빌기 위해 동제를 지내거나 두레 때 마을의 상징으로 농기를 세워두며, 이웃 마을과 화합 또는 싸울 때에도 농기를 내세운다. 두렛일을 할 때는 깃발을 옮겨 가며 풍물을 치고 모심기와 논매기를 한다. 농기는 흰색의 천에다 먹 글씨로 ‘農者天下之大本’(농자천하지대본)이라고 쓰거나 용(龍)만 기폭에 가득 차도록 그리기도 한다. 농기는 너비 2m, 길이 4m 정도의 장방형으로, 제작의 연간지(年干支)와 월일(月日)을 쓴다. 깃발의 깃대에 닿는 부분을 제외한 세 면에는 지네발이라 하여 하얗거나 까만 헝겊을 삼각형으로 만들어 마치 톱니처럼 여러 개 붙인다. 그러나 지네발이 아니라 용의 지느러미로 깃발 자체가 용임을 나타낸 것이다. 깃대는 길이 10m가량의 대나무이다. 농기의 수명은 대체로 15년 내외여서 남아 있는 농기가 거의 없다. 동제나 두레 때 벌어지는 성대한 놀음판에 농기를 들고 갔는데, 이때 제일 앞에 세웠다. 농업을 천하의 근본이라 여겨온 우리 오랜 역사에 기념비적인 농기가 사라져 간 것은 슬픈 일이다. 그러고 보니 농기를 실제로 본 사람이 없다. 농업박물관에 몇 폭 있지만 너무 커서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3> 마왕퇴 출토 비단 자수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3> 마왕퇴 출토 비단 자수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마왕퇴 무덤에서 비단에 무엇인지 알아볼 수 없는 무늬의 자수를 놓은 단편이 출토되었다. 이 무덤이 BC 186년에 죽은 여인의 무덤인 만큼 마땅히 한나라의 자수여야 하는데 보고서에는 초나라(BC 1042~BC 223)의 자수라고 쓰여 있다. 가장 강력한 나라의 하나로 비록 재건한 뒤 BC 202년 초한전쟁(장기놀이가 바로 초한전쟁이다)에서 패배하여 완전히 멸망했지만, 초나라의 문화는 굉장한 것이었다. 바로 초나라의 자수가 한나라의 마왕퇴, 즉 이창 부인묘에서 출토되었다. 그래서 그런지 자수가 매우 낡았다(①). 마왕퇴 보고서에는 ‘용의 얼굴이 떠도는 구름 속에서 어렴풋이 나타나는 광경이며, 용은 영원한 생명을 상징하므로 장수수(長壽繡)라 부른다’고 설명하고 있다. 큰 한 단위의 무늬는 21×15.5㎝다. 한 단위는 용의 눈만 찾으면 쉽게 용임을 직감한다. 그런데 중국학자들이 용을 영기화생시키는 영기문을 해독하지 못하고 구름이라 한 것을 보면, 중국인은 용을 창조하여 놓고서도 알아보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무늬는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형태가 기이하여 좀처럼 알아보기 어려워서 채색분석해 보았다( ②). 도대체 이것은 무엇을 표현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2>중국 마왕퇴 출토 비단 그림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2>중국 마왕퇴 출토 비단 그림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1971년 겨울 중국 중부 창사(長沙)시의 동쪽 교외에서 후난(湖南)성 주둔군이 지하병실과 수술실을 짓기 위해 탐사를 했다. 우연히 언덕 한 곳의 무덤을 파기 시작하자 갑자기 무덤으로부터 청백색의 가스가 높이 분출되었다.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 1972년 세계인들은 긴급뉴스로 온갖 매체에 나간 눈으로 믿을 수 없는 경이적 광경을 보았다. 지금으로부터 2200년 전에 죽어 관 속에 묻힌 여인의 시신이 전혀 부패하지 않은 채로 팔을 손가락으로 누르자 잠시 움푹해졌던 피부가 마치 살아 있는 듯이 천천히 원상태를 회복하고 있었다. 그녀의 체내 기관들은 세부에 이르기까지 완전히 보존되어 있어서 지문도 채취할 수 있었다. 자세히 분석한 결과 그녀의 나이는 50세 정도로, 154.4㎝의 키에 비만형이었다. 시신은 20겹의 옷으로 싸여졌고, 4겹의 목관에 넣어진 후, 다시 큰 곽에 넣어졌다. 모든 것에 당대 최고 장인의 솜씨가 발휘되었다. 당시 복식 연구에 획기적 자료라고 생각하지만, 중국이나 일본학자들이 복식을 밝히지 못해 필자는 그 연구서를 영기화생론을 바탕으로 펴낼 생각이다. 특히 가장 귀중한 것은 관 위에 덮여 있던 비단 그림이다. 205㎝ 길이의 그림을 상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1>고려백자 용 영기화생문 투각 사발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1>고려백자 용 영기화생문 투각 사발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2010년 가을 ‘고려왕실의 고려청자’ 기획전을 계기로 국립중앙박물관 강당에서 ‘고려청자의 화려한 탄생’이란 주제로 특별 강연을 했다. 강연이 끝나자 청중은 열광했으나, 도자기 학자들은 대거 참가했으면서도 침묵을 지켰다. 불상 전공자로 알려진 필자가 도자기에 관한 논문이나 저서를 전혀 읽지 않고 갑자기 도자기의 본질에 대해 어느 도자기 학자도 말하지 않았던 내용을 3시간 동안 강연한다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 일인가? 그것은 작품 자체에서 찾아낸 원리로 도자기의 본질을 파악했기에 가능했다. 그즈음 필자는 깜짝 놀랄 만한 도자기 작품을 보았다. 입 부분만 금속으로 씌운 이른바 금구(金口)자발이라는 것이 중국에는 많지만 우리나라에는 오로지 청자 한 점만 있어서 그 희귀성 때문에 국보로 지정됐다. 그러나 이 고려백자는 성격이 다르다. 고려백자 바깥 전면(全面)을 영기문으로 투각해 씌운 작품으로 중국은 물론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시도해 보지 않은 작품이다. 아름다우며 고귀하고 압도하는 도자기 작품, 우리나라의 국보가 아니라 세계적 미증유의 걸작품이다. 세계 도자기 역사 전개의 중요한 실마리를 보여 주는 기념비적인 작품임을 직감하고, 필자는 ‘세계도자사’(世界陶瓷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0) 인도 무굴제국 샤자한 황제의 카펫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0) 인도 무굴제국 샤자한 황제의 카펫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 건축사상 가장 아름다운 이슬람 건축의 하나로 꼽히는 순 흰색의 ‘타지마할’은 몽환적 인상을 줄 만큼 이 세상의 건축에서는 볼 수 없는 인도 최고의 영묘(靈廟: 무덤이 있는 사당) 건축이다. 왕비 뭄 타지마할이 누구길래 이렇게 아름다운 건축물을 만들어 모셨을까. 인도 무굴제국의 5대 황제 샤자한(1592~1666)은 1617년 데칸 지역 원정에서 승리를 거두어 이 이슬람 제국의 남쪽 변경을 안정시켰고 4대 황제 자항기르는 그런 아들에게 ‘세계의 용맹한 왕’(샤자한 바하두르)이라는 칭호를 내렸다. 샤자한 황제는 1612년 혼인한 아내 아르주만드 바누 베굼을 “용모와 성격에서 모든 여성들 가운데 가장 빼어나다”면서 뭄 타지마할, 즉 ‘황궁의 보석’이라고 이름 지었다. 무굴제국 황제는 정치적 안정을 위해 종족별로 황비를 들이는 것이 관례였고 샤자한도 아내를 여럿 두었지만, 애정은 오로지 뭄 타지마할만을 향했다고 전한다. 1631년 14번째 아이(딸 가우하라 베굼)를 낳다가 세상을 떠났다. 깊은 슬픔에 빠진 샤자한은 대리석, 벽옥, 수정, 진주, 에메랄드, 터키옥, 청금석, 사파이어 등 값비싼 자재와 장식재들을 아시아 각지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9>둔황 막고굴 천장벽화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9>둔황 막고굴 천장벽화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중국 서위(西魏:535~556) 때 이루어진 둔황(敦煌) 제461굴, 즉 우리나라 삼국시대 최성기에 해당하는 시기 석굴의 천장 벽화 전체를 다루어야 그 천장에 그려진 용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다. 둔황 석굴을 강의하면서 둔황 벽화 전집에서 제461굴 천장 벽화 끝 부분만 겨우 보았는데 기이한 형태였다. 그러나 어디서도 천장 전모를 찾을 수 없었다. 중국 답사에서 얇고 작은 둔황 문양집을 산 적이 있었는데 반갑게도 바로 그 자료집에 그 천장의 전체 도면이 있지 않은가. 전체를 채색 분석하면 서서히 그 실체를 나타내기 시작한다(그림 ①). 천장 벽화를 살펴보면 핵심은 두 가지다. 중심에 있는 씨방과 가장자리의 용 네 분이다. 씨방은 고차원의 상징을 띠어 보주가 되어 사방으로 발산하고 있다. 흔히 아무 의문 없이 큰 연화(大蓮花·대연화), 혹은 천공에 있다고 하여 천연화(天蓮花)라고 동양의 학계에서는 부르고 있으나, 천장에 왜 연화가 있는지 의문을 가지고 추구한 끝에 연화가 무량보주로 변하는 과정을 포착하는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났다. 이 큰 주제는 과정이 길므로 앞으로 자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우선 그 중심의 무량보주 주변 네 구석에 봉오리 같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8) 송광사 관음전의 포벽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8) 송광사 관음전의 포벽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관음전은 관음보살을 모시는 법당이다. 정면의 현판에 쓴 ‘觀音殿’(관음전)은 그 현판 자체가 건물과 같은 값을 지닌다. 마치 사경(寫經) 전체와 사경 표지의 경전 글씨와 맞먹는 것과 같다. 그래서 현판 틀에 제1영기싹을 연이어 그려 넣은 것은 물이라는 생명의 근원에서 글씨로 쓴 관음전, 즉 법당이 탄생하는 것을 상징한다. 그 현판이 바로 공포와 공포 사이에 있다(①). 공포(?包)란 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려고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복잡한 나무 가구(架構)를 말하는데 동양의 목조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고 동양건축의 위대한 창조물이다. 사진의 현판 밑부분은 가려져서 일부만 보인다. 그러나 양쪽을 보면 공포와 공포 사이의 공간을 진흙으로 친 포벽(包壁)이 삼각형 모양을 이루어 형태상 여래좌상을 그려 넣기에 안성맞춤이어서 불벽(佛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송광사 관음전에는 포벽에 여래를 그려 넣지 않고 구름 모양을 그려 넣었다. 왜 회색빛 구름을 그려 넣었을까? 모두가 구름이라고 알고 있다. 그 절에 10년 넘게 머물고 있다는 스님에게 무엇이냐고 물어도 구름이라고 말하며, 왜 그렸는지 물으면 모른다고 한다. 그 부분을 가까이에서 보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7) 淸  채색화 용 그림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7) 淸 채색화 용 그림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우리는 우선 용의 모양이 얼마나 다양하게 표현돼 왔는지 살피고 있다. 중국이나 한국은 한(漢)시대 이래 당(唐)시대에 정착된 동물 모양의 용 형태만을 뇌리에 입력해 두고 그것과 다른 모양이면 용이라 인정하지 않으려 하며 보이지도 않는다. 어차피 용은 눈에 보이지 않는 영기를 구상화한 것이므로 보이지 않을지도 모른다. 용에 대한 가장 오랜 기록은 전국시대 말기의 ‘관자’(管子) 수지편(水地篇)에 있다. “용은 물에서 낳으며, 그 색깔은 오색(五色)을 마음대로 변화시키는 조화 능력이 있는 신이다. 작아지고자 하면 번데기처럼 작아질 수도 있고, 커지고자 하면 천하를 덮을 만큼 커질 수도 있다. 용은 높이 오르고자 하면 구름 위로 치솟을 수 있고, 아래로 들어가고자 하면 깊은 샘 속으로 잠길 수도 있는 변화무일(變化無日)하고 상하무시(上下無時)한 신(神)이다.” 이상에서 올바른 말은 굵은 사선의 글들뿐이다. 용의 실체는 한마디로 ‘시공(時空)을 초월하여 변화무쌍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올바르지 않은 이야기를 더 좋아한다. 그 훨씬 이전에 조형화된 용에 대한 전국시대나 한 시대의 기록에 올바른 것도 있고 그릇된 것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양에서도 그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6> 고려시대 ‘용 은입사 관불반’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6> 고려시대 ‘용 은입사 관불반’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국립전주박물관에는 고려시대 ‘용 은입사 관불반(灌佛盤 위)’이 전시되어 있는데, 유물 카드에 한글로 ‘용무늬 대야’, 한자로는 ‘靑銅銀入絲 雲龍唐草文水盤’(청동은입사 운룡당초문수반)이라고 쓰여 있다. 지름 77.3㎝가 되는 큰 대야다. 청동에 가늘게 홈을 파서 가는 은실로 복잡한 여러 가지 무늬를 가득 채워 놓았으나 눈에 보이는 게 용뿐이어서 관람객들은 그저 지나치고 만다. 우리가 아는 용의 모습은 오랜 문헌 기록에 의거한다. 2세기 중국 한(漢) 시대의 왕부(王符)가 구사설(九似說)을 언급했지만, 1000년 후 남송의 나원(願)이 ‘이아익’(爾雅翼) 권 28에 다음과 같이 인용하고 있다. “용은 인충(鱗蟲) 중의 우두머리로서 그 모양은 아홉 가지 짐승들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것을 용의 구사설이라 한다. 머리는 낙타와 비슷하고, 뿔은 사슴, 눈은 토끼, 귀는 소, 목덜미는 뱀, 배는 큰 조개, 비늘은 잉어, 발톱은 매, 주먹은 호랑이와 비슷하다.’ 사람들은 문자 기록을 무조건 믿는다. 용에 대한 문헌 기록이 대개 이런 것이어서 올바른 내용은 거의 없다. 우리는 이런 문헌 기록들을 일단 모두 버리고 조형 그 자체에서 용의 본질을 추구하고자 하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