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5> 중국 漢 시대 벽돌 용무늬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5> 중국 漢 시대 벽돌 용무늬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용은 ‘제1영기싹’이나 ‘보주’로 구성돼 있다고 말하고 있지만 이를 납득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우리의 과학적·철학적 사고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평생 한 번도 배우지 못한 지식일 뿐만 아니라 그 조형의 비밀을 해독한 사람도 없어서 낯설기 그지없다. 여기에서 말하는 제1영기싹은 형이상학적 용어다. 보주도 마찬가지다. 제1영기싹이나 보주를 올바르게 쓴 글을 세계 어디에서도 접해 본 적이 없다. 누군가에게 용이란 무엇인가를 물으면 모두 ‘상상의 동물’이라고 말한다. 이 말은 용의 개념을 전혀 모르고 있다는 뜻이다. 상상의 산물도 아니고 동물도 아니다. 우주의 영기를 압축한 형태인데 무슨 뿔이 있으며 코, 눈, 다리, 꼬리 등이 있단 말인가. 사람들이 조형예술의 세계에 대해 현실에서 봤던 비슷한 것을 찾아 무책임하게 명칭을 만들어 버리면 그것이 그대로 내려와 굳어 버려 고치기 어렵다. 게다가 용과 보주는 뗄 수 없는 관계인데 그런 글도 접한 적이 없다. 우선 ‘제1영기싹’은 도르르 말린 모양이다. 그 형태는 식물이나 동물이 처음 생겨날 때 취한 모양이지만 어떤 특정한 동물이나 식물로 지칭해서는 그 상징성이 축소될 수 있다. 현실을 초월한 형이상학적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4>고구려 ‘사신총’ 벽화의 용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4>고구려 ‘사신총’ 벽화의 용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글에서 용을 이야기하며 항상 ‘우주’를 거론하고 있다. 용이란 우주에 충만한 영기를 형상화한 것이라든지, 우주에 무량한 보주(寶珠)가 가득 차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 그 우주란 무엇인가. 현대 천문학에서 말하기를 우주에는 무한한 은하계들이 있으며 그 각각의 은하계에 역시 무한에 가까운 태양계들이 있다고 한다. 우리가 사는 지구가 속한 태양계를 포함한 은하계를 ‘우리 은하’라고 부르며 그 안에 다른 태양계가 무한 개이다. 우주에는 1000억개의 은하가 있으며 은하마다 각각 1000억개의 별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우주생성론을 빅뱅이론으로 풀고 있다. 즉 15억 년 전에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과 에너지는 작은 점에 갇혀 있었는데 우주시간 0초의 폭발 순간에 그 작은 점의 모든 에너지와 물질이 폭발하여 팽창하였고 그것이 우주가 되었다고 한다. 가설이지만 널리 인정되고 있다. 그런데 이미 불교에서 말하기를, 이 세계에는 하나의 태양, 하나의 달이 있다고 한다. 현대적인 의미에서는 태양계에 해당된다고 하겠다. 이 세계가 1000개가 모인 것이 소천세계(小千世界)로, 현대과학으로는 은하계에 해당한다. 소천세계가 1000개가 모인 것이 중천세계(中天世界), 그리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2>평양 석암리 허리띠 장식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2>평양 석암리 허리띠 장식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북한 평양 석암리에서 출토된 순금제 허리띠 고리 장식에는 금실과 금 알갱이로 만든 일곱 분의 용이 있는데 그 윤곽은 금실로 둘렀다. 1세기 낙랑 지역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길이는 9.4㎝에 불과하나 정교한 솜씨가 극치를 이룬다. 그런데 우리는 솜씨에 놀랄 뿐 그 깊은 상징성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우선 용의 본질을 모르기 때문이요, 다음으로는 크고 작은 금 알갱이가 보주임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보주(寶珠)란 우주에 충만한 대생명력, 혹은 그것을 가시화한 물(물결)을 응축시킨 모양을 상징한다. 우리는 주변 어디에서나 용을 접하고 보주에 대한 이야기도 듣지만 올바른 내용은 거의 없다. 일반 사람들은 재미있을지 모르지만 잘못된 내용이 많다. 최고의 사상을 풀어내는 데는 진지한 설명이 있어야 깊은 감동이 뒤따른다. 석암리 허리띠 고리 장식은 용의 본질을 가장 정확하게 웅변하는 것이다. 자세히 보면 큰 용 한 분과 아기 용 여섯 분이 있다. 존댓말을 쓰는 까닭은 용이 동양에서는 최고의 신(神)이기 때문이다. 찬란한 금빛이 2000년을 무색하게 한다. 한 분 한 분의 용은 수없이 많은 크고 작은 금 알갱이로 이뤄져 있다. 용이 보주로 이뤄져 있다는 것을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시리즈를 시작하며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시리즈를 시작하며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서울신문은 새해 독창적인 방법론으로 조형예술의 원리를 풀어 가는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의 글을 매주 연재합니다. 최근 강 원장은 스스로 정립한 영기화생론(靈氣化生論)으로 동양은 물론 서양의 조형언어까지 해석하는 연구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세계 미술사학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작업입니다. 지난해 아테네에서 그리스·로마 신전의 조형원리를 밝힌 논문을 발표해 주목받았고, 오는 4월에는 프랑스 파리에서 노트르담 대성당을 같은 방법으로 다룰 예정이기도 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성원을 바랍니다. 세계의 조형예술을 용으로 읽는다고 하니 아주 어려운 이야기 같지만 알고 보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아무도 몰랐기 때문에 낯설어 보이는 신비한 나라로 여행을 계속하다 보면 아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누구나 살면서 때때로 이런 질문을 할 때가 있을 것입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에서 왔는가?”, “만물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생명이란 무엇이고 그 기원은 무엇일까?” 이런 물음을 철학의 시작이라 합니다. 깊이 생각하면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테지만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바로 ‘물’입니다. 물이 없으면 어떤 생명도 태어날 수 없습니다. 바닷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