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차이나 리포트
  • [新 차이나 리포트] “홈쇼핑으로 집빼고 다 사요”

    중국 창사(長沙)는 장자제(張家界)의 기착지이자 마오쩌둥이 학창시절을 보낸 곳 정도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막대한 외국인 투자 유치 등으로 매년 중국 평균보다 높은 15% 안팎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후난(湖南)성의 성도(省都)로 ‘2선도시’가 아닌 ‘3선도시’로 분류되고 있지만, 상전벽해(桑田碧海)라는 말이 그 어느 곳보다 잘 어울리는 도시다. 도시를 원 모양으로 나눌때, 도심인 1환(環)과 그 바깥지역인 2환 지역의 모습은 5년 전과는 천지 차이다. 논과 밭이던 2환 지역에 아파트와 호텔이 들어서고 있다. 한 주민은 “강변에 최근 새로 지은 아파트는 규모가 엄청 큰 데도 전부 다 분양됐다.”고 귀띔했다. 4~5년전만해도 자동차를 찾아보기 어려웠던 것도 지금은 상상하기 어렵다. 류리밍(劉黎明·46)은 “최근 폭스바겐 자동차를 사려고 계약했다.”면서 “아이가 방학을 하면 이곳 저곳 차를 몰고 다닐 생각”이라고 말했다. 창사는 수입에 비해 소비 수준이 높은 편이다. 베이징과 상하이에 비해 제품이 다양하지 못했지만 대신 TV 홈쇼핑이 그 자리를 채우고 있다. 2006년 첫 방송을 시작, 2008년 홈쇼핑 업계 매출 1위에 올라선 ‘해피고(Happy
  • [新 차이나 리포트] “일주일 한번 대형마트 가요”

    우한(武漢)에 살고 있는 푸차오(付超·32)는 요즘 출근 길이 즐겁다. 최근 작은 차를 장만해 임신 중인 아내를 직장까지 데려다 주고 회사에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주말이면 대형 마트에서 생활용품을 사고 백화점에서 쇼핑을 하고 아무리 적어도 한 달에 3번은 극장을 찾는다. 푸씨의 아내 두잉(杜瑩·26)은 “예전에는 여행 한번 제대로 가기 어려웠는데, 이제는 시간이 생길때 마다 가려고 애쓴다.”면서 “올해는 비행기를 타고 남동부 휴양지 하이난(海南) 섬에 놀러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푸씨 부부의 집은 100㎡ 정도의 방 3개짜리 아파트로, 거실에는 42인치 평면 TV와 DVD가 갖춰져 있었고 주방 시설 역시 한국 아파트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 살림 수준이 어떠냐고 묻자 “우리 정도면 아주 잘 사는 것도, 못 사는 것도 아닌 중간”이라고 했다. 우한은 후베이(湖北)성의 성도(省都)인 ‘2선 도시’다. 연해 도시에 밀려 뒤늦게 발전 대열에 합류했지만 2005년 이후 이 지역 경제성장률은 13~15.6%로 연해 도시를 넘어서고 있다. 여전히 낙후된 곳이 남아있지만 도로는 대부분 정비가 돼 있고 지하철 공사도 진행 중이다. 월마트 등 대
  • [新 차이나 리포트] “현실적” 80년대생 바링허우 VS “이상적” 90년대생 주링허우

    1981년생인 대학원생 장전(章珍)은 곧 베이징을 떠나 네이멍구(?蒙古) 자치구로 이사를 갈 예정이다. 안후이(安徽)성 출신으로, 그 역시 대도시 생활을 선호하는 바링허우(80後·1980년대생)이지만 그곳에 교사 자리가 났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없다. 그는 주링허우(90後·90년대생)와의 차이에 대해 “우리는 현실적이고 주링허우는 이상적인 것 같다.”고 말했다. 올해 초 중국 포털사이트 신랑왕(新浪網)이 바링허우 331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2.6%가 치링허우(70後·70년대생)와 주링허우보다 훨씬 더 불행하다고 답했다. 바링허우는 1979년 독자(獨子) 정책, 1980년 개혁·개방 이후 태어나 ‘인민’보다는 ‘나’를 중시하는 가치관 속에서 자라난 첫 세대이다. 2억 4000만명 정도로 추산되는 바링허우는 이제 부모님과 학교의 품에서 벗어나 대부분 사회에 진출했다. 이 때문에 앞·뒤 세대에 비해 더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1980년대 후반에 태어난 장룽(張龍·22)도 주링허우와 세대 차이를 느낀다고 했다. 대학교 4학년인 그는 “우리는 결과를 먼저 생각하는데 90년대생들은 ‘하고 싶은 것’이 선택 기준인 것 같다.”면서
  • [新 차이나 리포트] “톈안먼? 건물이죠… 공산당은 취업용이고요”

    신세대를 이해하면 그 나라의 미래가 보인다.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세대인 1980·90년대생들을 들여다보면 중국의 변화 방향과 폭을 가늠할 수 있다. 급증하는 종교 신도들을 통해서도 달라지는 중국을 엿볼 수 있다. 무신론을 주창하는 공산당 체제 아래서 “신은 있다.”라고 말한다.달라진 중국 신세대와 신자들의 모습을 살펴봤다. #1. “톈안먼(天安門)이 왜 인터넷에서 검색이 안 돼요?” 중국 창사(長沙)의 후난대학교에서 컴퓨터를 전공하는 룽솨이(龍帥·19)는 ‘톈안먼 사건’이 검색되지 않는다는 것을 아느냐는 질문에 황당하다는 표정을 지었다. ‘1989년 사건을 아느냐.’고 묻자 고개를 젓는다. ‘톈안먼 사건’을 몰랐던 터라 정부의 인터넷 통제 정책을 얘기하면서 언급한 톈안먼을 있는 그대로, ‘베이징의 건축물’로 이해했던 것이다. 항저우(杭州)의 저장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잉(張穎·19)도 마찬가지였다. 톈안먼 사건은 물론 인터넷 통제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2. 우한(武漢)에서 만난 쉬제(許捷·21)는 공산당에 대한 생각을 묻자 “나와 큰 연관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당원이 될 의향이 있느냐고 묻자 “가입은 할 생각”이라고
  • [新 차이나 리포트] 급증하는 신앙 인구

    베이징에 사는 딩구이팡(丁桂芳·31)은 최근 몇년간 교회의 변화가 놀랍기만 하다. 모태신앙 기독교 신자인 그는 어렸을 때만 하더라도 주변에 종교를 가진 사람은 어머니와 자신뿐이었지만, 지금은 달라졌다. 그는 “여전히 종교가 없는 사람이 더 많지만 그래도 최근에는 교회 밖에서도 신자를 쉽게 만날 수 있다.”고 말했다. 무신론을 원칙으로 하는 중국 공산당 체제하에서도 경제 발전과 함께 “신은 존재한다.”고 믿는 이들이 늘고 있다. 중국에서는 종교의 자유가 없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공산당의 기본 원칙은 신앙의 자유는 허락하되 포교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 역시도 ‘양지’의 종교 시설의 경우 전도를 사실상 묵인하면서 완화되고 있다. 정부 공식 종교인 통계는 수년째 1억명에 머물고 있지만, 각종 조사나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는 변화가 감지된다. 베이징 11개 교회 중 세번째로 큰 시쓰 강와스(西四 缸瓦市)의 ‘베이징예수회당’은 최근 신자가 급격히 늘어 예배 횟수를 하루 2번에서 4번으로 늘렸다. 전도사 류신위안(劉新元·24)은 “주말은 물론 주중에도 찾는 신자들이 많다.”고 전했다. 이곳에는 목사 세 사람 중 두 사람이 여성이다. 창사에서 만난 류린(
  • [新 차이나 리포트] 학교마다 ‘학습반’… 사실상 교내 과외

    창사(長沙)에 사는 초등학교 5학년 류후이잉(劉慧瀅·10)은 학원 4개 외에도 진학하고 싶어 하는 중학교에서 개설한 ‘학습반’에 다니고 있다. 6학년 때까지 해당 학교가 만든 학습반에 다니면서 매년 시험을 치르고 상위 등수를 유지하면 입시를 보지 않고도 입학이 가능하다. 사교육을 시키는 부모들의 ‘최종 목표’가 자녀를 좋은 대학에 보내는 것이라면 중간 단계는 명문 중·고교에 입학시키는 것이다. 좋은 고등학교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입시가 필수다. 하지만 중학교의 경우 크게 3가지 방법이 있는데 고입과 달리 방법이 다양한 만큼 비리와 부패의 온상으로 꼽히기도 한다. 우선 학교 인근 지역에 살게 되면 ‘지역민’ 자격으로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전체 정원에서 이 같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비율은 크지 않다. 또 하나는 역시 입시를 보는 것이다. 단 한번의 시험으로 당락이 결정되기 때문에 선택하기 쉽지 않다. 그래서 선호하는 방법이 바로 각 학교가 개설한 학습반에 다니는 것이다. 학교마다 차이는 있지만 이 과정의 정원은 최종 선발할 인원의 3~5배수다. 다시 말해 수년간 돈만 쓰고 뽑히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베이징에 사는 학부모 류옌(劉?·38)은 “이게
  • [新 차이나 리포트] 中, 2000년이후 美에 부쩍 공세적

    중국이 대양해군을 지향하면서 가장 우려되는 것은 미국과의 충돌이다. 2000년 이후 집중적으로 해군력을 강화하고 있는 중국은 최근 들어 미국과의 군사대결에서 눈에 띄게 공세적으로 바뀌고 있다. 지난해 미·중 양국은 남중국해와 동중국해 등에서 여러 차례 충돌 직전까지 가는 위기상황을 연출했다. 임페커블호 등 미 해군 해양관측선의 조사활동을 중국 어업지도선과 어선들이 ‘간첩활동’이라며 실력으로 제지했다. 지난 5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9차 아시아안보회의에서도 양측은 각을 세웠다. 마샤오톈(馬曉天) 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은 “미국이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에서 중국을 상대로 감시, 정찰활동을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로버트 게이츠 미 국방장관은 “우리는 항해의 자유를 위협하는 어떤 물리력 사용이나 행동에도 반대한다.”며 해군력 증강, 분쟁수역에 대한 어로금지 조치 등을 통해 남중국해 등에서 실질적인 지배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는 중국의 행보를 지적했다. 이번 회의에서 인민해방군 소속 국방대학교 교수인 주청후(朱成虎) 소장은 타이완에 대한 미국의 무기판매와 관련, “미국은 중국을 적으로 간주하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인민해방군 창설자인 주더(朱德
  • [新 차이나 리포트] <1부> G2 중국, 세계를 호령하다 ⑥ 美 패권 넘보는 군사력

    중국이 군사력의 첨단화, 현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막강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세계 2위의 군사비 지출 국가로 올라선 중국은 국방비의 상당 부분을 인민해방군의 현대화, 무기체계의 첨단화에 쏟아붓고 있다. 타이완에 대한 패트리엇(PAC)-3 미사일 판매 문제로 미국과의 갈등이 고조되던 1월 초 중국은 자국 군사력과 관련된 의미 있는 실험을 통해 미국을 상대로 사실상 ‘무력시위’에 나섰다. 중국은 1월11일 미사일 요격실험에 성공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을 통해 전 세계에 알렸다. 지상발사형 중간비행단계(GMD) 미사일 요격 실험으로, 가상의 적으로부터 날아오는 미사일을 요격미사일을 이용해 대기권 밖에서 폭파했다. 그만큼 정교한 레이더 시스템을 갖췄다는 얘기다. 중국 외교부는 “실험은 방어적인 것이었으며,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지만 군사전문가들은 “미국이 추진 중인 미사일방어(MD) 체계를 중국도 갖추기 시작했다는 신호를 보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미국과 군사적으로 경쟁할 준비가 돼 있으니 타이완 문제에 개입하지 말라는 경고를 보낸 셈이다. ●국방비지출 20년간 연평균 16% 증가 미사일 요격실험 성공 소식을 전한 지 채 일
  • [新 차이나 리포트] 中해군력 강화 주변국 영향

    아시아가 세계 군비경쟁의 뜨거운 무대가 되고 있다. 중국이 불씨를 댕기자 일본, 호주, 인도, 베트남 등이 적극 가세하고 있다. 중국을 기준으로 동중국해, 남중국해의 파고가 예사롭지 않다. 특히 각 국의 해군력 강화 움직임이 뚜렷하다. 중국은 최근 20년간 매년 두 자릿수 이상 국방예산을 늘리며 해군력 증강을 주도하고 있다. 중국은 남중국해의 중요성을 감안, 하이난(海南)성 싼야(三亞)에 제2세대 핵잠수함을 집중 배치할 계획이다. 중국은 또 이미 항공모함 건조에 착수, 2~3년 안에 항모전단을 갖추게 된다. 2020년까지는 5~6만t급의 항모 2척과 훈련용 항모 등을 보유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국경분쟁을 겪었던 인도와 베트남도 적극적인 군비확충에 나섰다. 인도는 지난해 초 30대의 전투기를 탑재할 수 있는 4만t급 항공모함을 2014년까지 독자 건조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데 이어 같은 해 7월에는 아시아에서 두 번째,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핵잠수함 보유 국가가 됐다. 베트남도 지난해 말 러시아와 20억달러 규모의 무기구매 계약을 체결, 킬로급 잠수함 6척과 SU-30MK2 전투기 12대를 구매했다. 잠수함은 올해부터 매년 1대씩 넘겨받는다. 인도
  • [新 차이나 리포트] 수출 성장방식 한계 ‘自主創新’에 올인

    몇년 전부터 중국에서 부쩍 자주 들리는 단어는 바로 자주창신(自主創新·독립적인 기술창조)이다. 각급 학교의 전면에 표어로 장식돼 있기도 하다. 지난 3월, 중국의 연례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기간을 전후해 후진타오(胡錦濤) 주석 등 중국 최고지도부 입에서 공통으로 나온 단어도 바로 자주창신이다. 중국에서 올해는 제11차 5개년 계획의 마무리 해라는 의미가 있다. 내년부터는 제12차 5개년 계획이 시작된다. 창신형 국가, 독보적인 기술 역량을 갖춘 지속성장 가능한 국가를 완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후 주석 2기체제가 시작한 2007년 말 이후 전사회적으로 창신활동을 독려하는 까닭이다. 중국은 실제 이 기간 중 독자기술로 대형 여객기 생산을 시작했으며, 해외에서 도입한 고속철도와 원자력발전 기술을 중국식으로 고쳐 역으로 해외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출 위주 성장방식의 한계를 절감한 중국 지도부는 ‘메이드 인 차이나’(중국 제조)가 아닌 ‘크리에이티드 인 차이나’ 또는 ‘메이드 바이 차이나’(중국 창조)로의 전환을 적극 강조하고 있다. 산자이(山寨·짝퉁)의 본산이었던 광둥(廣東)성 선전
  • [新 차이나 리포트] 中 과학기술 부흥의 원동력

    1986년 3월, 왕다헝(王大珩) 등 중국의 원로과학자 4명이 연서한 한 권의 보고서가 공산당과 국무원에 전달됐다. 항공우주, 신재료 등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첨단 과학기술 연구발전 전략이 담긴 이 보고서는 최고지도자 덩샤오핑(鄧小平)의 눈에 쏙 들었고, ‘863계획’으로 명명돼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1997년 열린 국가과학기술영도소조 제3차 회의에서는 지속성장을 담보할 수 있는 기초과학 육성 전략이 본격 논의됐다. 지금까지도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국가중점기초연구발전계획, 이른바 ‘973계획’은 이 회의를 통해 결정됐다. 2006년 2월 중국 국무원은 ‘중장기 과학기술 발전 규획 강요(2006~2020년)’를 발표했다. 15년간 역점을 둘 16개 중점 프로젝트가 담겼다. 정보통신·바이오 등 전략산업, 해결이 시급한 에너지, 자원, 환경 문제, 대형 여객기와 우주개발 등이 총망라됐다. 2020년까지 과학기술 투자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2.5%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GDP에 대한 과학기술 공헌도를 60% 이상으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중국의 과학기술 저력은 이처럼 마오쩌둥(毛澤東), 덩샤오핑, 장쩌민(江澤民), 후진타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