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 동토 묻혔던 벌레들 4만 6000년 뒤 꿈틀거리고 번식까지
매머드와 공존했던 석기시대 벌레가 시베리아 동토(凍土)에 갇혔다가 4만 6000년 만에 깨어나 꿈틀거렸고 번식까지 했다고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생물은 2018년 시베리아 콜리마강 근처에 화석이 된 다람쥐 굴과 빙하 퇴적층에서 러시아 과학자들에 의해 처음 발견됐다.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벌레들은 마지막 빙하기에 휴면에 들어간 선충류의 일종으로 확인됐다.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종으로, ‘파나그로라이무스 콜리맨시스’(Panagrolaimus kolymaensis)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선충은 동면과 같은 상태를 뜻하는 휴면(cryptobiosis)을 통해 극한 환경에서도 살아남는 힘을 발휘하는 생명체로 알려져 있다. 지상 어디에서도 살 수 있는 종으로 첫 손 꼽힌다. 토양, 물, 대양 바닥에서도 살 수 있다.
동토층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에 따르면 후기 플라이스토세(12만 6000년 전∼1만 1700년 전)부터 줄곧 얼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네안데르탈인과 매머드, 검치호 등 고대 생명체들과 섞여 살았다고 볼 수 있는 셈이다.
텔레그래프는 1㎜도 안되는 작은 크기의 이 벌레들은 충분한 영양 공급을 통해 생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