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 thumbnail - 현대해상 이석현 대표이사 내정

    현대해상 이석현 대표이사 내정

    현대해상은 이석현 CPC전략부문장(전무)을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내정자는 1969년생으로 서강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1993년 현대해상에 입사해 경영기획, 개인영업, 자동차보험 등을 거쳤다. 2023년부터는 장기보험 업무와 마케팅을 총괄했다. 이 내정자는 오는 3월 주주총회를 통해 정식 선임될 예정이다. 2020년부터 현대해상을 이끈 조용일∙이성재 대표이사는 물러난다.
  • 순대외금융자산 1조弗 넘었다… 세계 7위

    지난해 국내 기관·개인 투자자들의 해외증권 투자가 크게 늘면서 우리나라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이 사상 처음 1조 달러를 넘어섰다. 미국 증시 활황에 해외 증시 투자가 늘고 평가이익이 치솟은 영향이다. 한국은행은 국가 경제 건전성과 신용도가 높아졌다며 중장기적으로는 환율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국제투자대조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우리나라 순대외금융자산이 1조 1023억 달러로 집계돼 사상 처음으로 1조 달러를 넘었다. 이는 전년 말(8103억 달러)에 비해 2920억 달러 늘어난 것으로, 증가폭도 역대 최대다. 2014년 순대외금융자산이 플러스(+) 전환한 뒤 10년 만에 ‘1조 달러 흑자국’에 진입한 것이다. 순대외금융자산이 1조 달러를 넘는 나라(2023년 말 기준)는 일본·독일·중국·홍콩·노르웨이·캐나다 등 6개국뿐이다. 세부적으로는 대외금융자산(대외투자)은 2조 4980억 달러로, 전년 말(2조 3317억 달러)에 비해 1663억 달러 많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중 증권투자는 거주자의 해외 지분증권 및 부채성증권 투자 확대와 글로벌 주가 상승 등으로 1367억 달러 증가하며 통계
  • thumbnail - 1440원대인데…한은 “치솟은 환율, 올 하반기 물가 끌어올린다”

    1440원대인데…한은 “치솟은 환율, 올 하반기 물가 끌어올린다”

    지난해 말 급등한 원·달러 환율이 올해 하반기까지 계속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7일 발표한 ‘환율의 장단기 물가 전가 효과 분석’ 보고서에서 환율 변동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 작성에는 조사국 물가동향팀 조강철 차장·위승현 조사역이 참여했다. 패널 고정 효과 모형 분석에 따르면, 환율 변동률이 10%포인트 상승할 경우 1년 동안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총 0.47%포인트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초반 3개월(단기)의 전가 효과가 0.28%포인트, 이후 4~12개월(장기)의 전가 효과가 0.19%포인트로 각각 측정됐다. 환율의 전가효과는 단기와 장기가 각각 6대 4로, 단기 효과가 장기 효과보다 컸다. 그러나 최근과 같은 환율 급등기에는 오히려 장기 효과가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 변동률이 10%포인트 상승한 경우가 3개월 이상 이어질 시 단기 효과가 0.31%포인트, 장기 효과는 1.30%포인트에 이르렀다. 연구팀은 가격을 동결하던 기업들도 고환율 상황이 장기화할 경우 뒤늦게 가격 인상에 동참하면서 환율의 물가 전가 효과가 확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 thumbnail - ‘트럼프 약발’ 끝? 비트코인 한달 만에 22% 폭락… ‘7만 달러’ 우려도

    ‘트럼프 약발’ 끝? 비트코인 한달 만에 22% 폭락… ‘7만 달러’ 우려도

    가상자산(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8만 4000달러선까지 떨어졌다. ‘암호화폐 대통령’을 표방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11만 달러에 근접했지만, 최근 9만 달러 선을 내준 데 이어 7만 달러 선까지 하회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트럼프 트레이드’(트럼프 수혜자산 투자) 약발이 떨어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27일 암호화폐 시황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이날 오후 1시 30분 기준 8만 4759달러(약 1억 2221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24시간 전보다 약 4.79% 떨어진 가격이다. 지난 24일 9만 달러 선이 무너진 뒤, 이날에는 8만 5000달러 선까지 내줬다. 같은 날 오전 5시 20분쯤에는 8만 2000달러 선까지 떨어졌다. 비트코인은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승리와 함께 연일 상승세를 탔다. 지난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을 하루 앞두고는 사상 최고가(10만 9114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알트코인인 이더리움과 리플 가격도 비트코인과 함께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당시 대비 이날 비트코인 가격을 따져보면 한 달 새 약 22.3%가 떨어진 셈이다. 비트코인의 8만 5000
  • thumbnail - ELS, 거점 점포서만 판다… 100% 손실 감내 때만 권유

    ELS, 거점 점포서만 판다… 100% 손실 감내 때만 권유

    은행들이 이르면 오는 9월부터 지역별 소수 ‘거점 점포’에서만 주가연계증권(ELS)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 은행 점포 내에서도 판매 창구를 분리해 예적금 만기로 은행에 들른 고객에게 ELS 상품을 권유할 수 없도록 원천 차단한다. 원금 100% 손실을 감내할 수 있는 소비자에게만 투자를 권유할 수 있도록 했다. 금융위원회는 26일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한 ‘홍콩H지수 ELS 사태 관련 제도 개선책’을 발표했다. 지난해 초 홍콩H지수 ELS 대규모 손실 사태가 발생한 지 1년여 만에 나온 제도 개선안이다. ELS는 금융파생상품 중 하나로 만기 동안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지지 않는다면 5%가량의 고정된 수익을 받을 수 있지만, 주가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손실 폭이 50% 이상으로 커진다. 복잡한 상품인데 예적금과 같은 원금 보장 상품인 것처럼 소비자를 오도한 게 문제라고 보고 판매를 제한하기로 했다. 현재는 대다수 은행에서 ELS 상품 판매가 중단된 상태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현재 (시중은행의) 5대 은행 점포 수는 지난해 말 기준 3900개 정도인데 그중 5~10% 수준이 거점 점포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거점 점포에서는 ELS
  • thumbnail - ‘업비트’ 영업정지 3개월 중징계… 이석우 대표직 유지

    ‘업비트’ 영업정지 3개월 중징계… 이석우 대표직 유지

    국내 최대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의 운영사 두나무가 해외 미신고 가상자산사업자와의 거래를 지원하고 고객확인의무를 수십만건 위반한 혐의로 임원 면직 처리도 가능한 중징계 처분을 통보받았다. 다만 두나무는 법상 금융회사로 분류돼 있지 않아 이석우 대표이사가 자리를 지키는 데는 문제가 없다. 과태료 액수는 3월 이후 확정된다. 25일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두나무와 소속 직원의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위반에 대해 영업 일부정지 3개월과 이 대표이사 문책경고, 준법감시인 면직 등 직원 9명의 신분 제재 조치를 통보했다. 영업 일부정지는 3월 7일부터 6월 6일까지 영업정지 기간 중 신규 가입 고객의 가상자산 이전을 제한하는 것이다. 기존 고객은 제한 없이 거래할 수 있고, 신규 고객도 외부로의 가상자산 이전 외의 가상자산 매매·교환이나 원화 입출금은 제한 없이 가능하다. 금융사에서 문책경고는 해당 임원의 연임 및 3년간 금융사 임원 취업이 제한되는 중징계에 속한다. FIU 가상자산검사과가 지난해 8월부터 10월까지 두나무를 대상으로 자금세탁방지 현장검사를 실시한 결과 두나무는 특금법에 따른 신고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해외 미신고 가
  • thumbnail - 금리 내려 내수 살리기… 무역 갈등 심화 땐 올 성장률 1.4% ‘경고’

    금리 내려 내수 살리기… 무역 갈등 심화 땐 올 성장률 1.4% ‘경고’

    “수출 증가세도 예상보다 낮을 것” 美 금리와의 격차 1.75%P로 확대 올해 1~2회 추가 인하 가능성 시사 환율·물가 상승 압력 부담될 수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5일 올해 두 번째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연 2.75%로 0.25% 포인트 낮췄다. 지난해 10월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낮춘 것을 시작으로 3년여 만에 통화정책 방향을 완화 쪽으로 틀면서 약 넉 달 동안 금리를 세 차례 조정해 기준금리를 3.5%에서 2.75%로 떨어뜨렸다. 2022년 10월 기준금리 3%대 시대에 접어든 후 2년 4개월 만에 기준금리 2%대 시대가 열렸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회의 의결문에서 “외환시장의 경계감이 여전히 있지만 물가상승률 안정세와 가계부채 둔화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경제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경기 하방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했다”고 밝혔다. 한은은 “경제 심리 위축, 미국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내수 회복세와 수출 증가세가 당초 예상보다 낮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올해 1분기까지 지속되다가 2분기 이후 점차 해소되면서 하반기
  • thumbnail - 금감원, 한화생명 경영인정기보험 절판마케팅 검사

    금감원, 한화생명 경영인정기보험 절판마케팅 검사

    금융감독원이 절판마케팅으로 경영인정기보험 실적을 크게 늘린 것으로 의심되는 한화생명과 관련 모집채널에 대해 고강도 검사에 착수한다. 여승주 한화생명 부회장(대표)이 주력한 법인보험대리점(GA) 시장 장악력 확대가 독이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금감원은 지난해 12월 23일부터 31일까지 경영인정기보험 판매실적이 있는 15개 생명보험사에 대해 일단위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초회보험료 22억 5200만원 규모로 경영인정기보험 644건을 판매한 한화생명을 우선 검사대상으로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경영인정기보험은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 등 경영진의 유고 등에 대비하기 위한 보장성보험이다. 금감원이 불완전판매 등을 이유로 지난달 12월 이 상품을 개인(개인사업자)에게 팔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감독행정을 실시했지만 직후 한화생명의 일평균 초회보험료는 전달 대비 152.3% 폭증했다. 해당 상품의 생보사 총 판매 규모는 1963건, 69억 2330만원인데 이가운데 한화생명이 차지하는 비중은 32%다. 기존 가입설계서를 수정하는 등의 편법도 동원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화생명은 “당사는 판매 조직이 없는 상품을 만드는 회사일 뿐이고 GA 채널에서 판매된 건들”이
  • thumbnail - 기준금리보다 낮아… ‘2% 예금금리’ 대세

    기준금리보다 낮아… ‘2% 예금금리’ 대세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상품에서 3%대 금리가 사라지고 2%대 금리가 주류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기준금리가 내려갈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은행권이 선제적으로 금리를 일제히 내리는 탓이다. 그러나 대출금리는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어 결국 예대금리차만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이날부터 대표 수신(예금) 상품인 ‘KB스타 정기예금’의 최고금리(1년 만기 기준·우대금리 포함)를 기존 연 3.00%에서 2.95%로 낮췄다. 신한은행도 지난 20일 대표 수신 상품 ‘쏠편한 정기예금’의 최고금리(1년 만기 기준·우대금리 포함)를 연 3.00%에서 2.95%로 인하했다. 하나은행의 ‘하나의 정기예금’, 우리은행의 ‘WON플러스예금’, NH농협은행의 ‘NH내가그린(Green)초록세상예금’ 등 주요 은행의 대표 수신 상품도 최고금리가 각각 3.00%이지만 조만간 내려갈 공산이 있다. 앞서 SC제일은행은 지난 17일부터 네 가지 거치식예금(정기예금) 금리를 최대 0.50% 포인트 낮췄다. 이처럼 은행권이 잇따라 예금금리를 내리는 것은 기준금리 인하가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2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현재 3.00% 수준
  • thumbnail - 미성년 예·적금 계좌 수 4년새 8%↓… 5억 이상 ‘금수저’ 계좌 잔액은 10%↑

    미성년 예·적금 계좌 수 4년새 8%↓… 5억 이상 ‘금수저’ 계좌 잔액은 10%↑

    주요 시중은행에서 미성년자가 보유한 예·적금 계좌 수가 4년 새 8% 이상 감소한 가운데, 5억원 이상을 보유한 이른바 ‘금수저’ 미성년자 계좌 잔액은 10% 넘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원화 및 외화를 포함한 미성년자 예·적금 계좌 수는 2020년 말 약 527만개에서 4년 만인 지난해 말 484만개로 8.16%가량 줄었다. 반면, 계좌 당 잔액 평균을 따져보면 지난해 약 161만원으로 나타나 2020년 말(약 123만원)보다 30.9% 증가했다. 예·적금 잔액 역시 증가 추세다. 2020년 말 6조 4977억원에서 2024년 말 7조 8090억원으로, 1조 3114억원(20.2%)이나 증가했다. 지난해 예·적금 잔액 구간별로 보면 ‘1000만원 미만’이 4조 6592억원(467만 9248만개)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1000만원 이상 5000만원 미만’이 2조 4896억원(15만 3348개),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 2202억원(3525개), ‘1억원 이상 5억원 미만’ 2899억원(1727개), 그리
  • thumbnail - 세계 2위 코인 거래소 ‘바이비트’ 1.1조원 뚫렸다

    세계 2위 코인 거래소 ‘바이비트’ 1.1조원 뚫렸다

    세계 2위 규모의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비트가 14억 6000만 달러(약 1조 1000억원)에 달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해킹 피해를 당했다. 2014년 마운트곡스(4억 7000만 달러), 2021년 폴리 네트워크(6억 1100만 달러) 사건을 훨씬 넘어서는 금액이다. 23일 암호화폐 업계에 따르면 벤 저우 바이비트 최고경영자는 21일(현지시간) “해커가 바이비트의 지갑 중 하나를 공격했다”며 “이더리움(ETH) 및 다른 ERC-20(이더리움 토큰 발행 표준) 계열 암호화폐를 탈취당했다”고 밝혔다. 암호화폐 지갑은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암호화된 개인 키(key)를 사용한다. 키 저장 방식에 따라 오프라인 상태의 ‘콜드월렛’, 온라인 상태의 ‘핫월렛’으로 나뉜다. 통상 거래소들은 이용자들이 수탁한 자산의 70~80%를 상대적으로 보안성이 높은 콜드월렛에 보관하고 나머지는 입출금이 빠른 핫월렛에 담아 둔다. 앞서 2019년 북한 해킹 조직인 라자루스의 공격을 받은 국내 1위 거래소인 업비트의 해킹 피해는 이더리움 34만 2000개(현재 시세로 약 1조 4700억원)를 핫월렛에서 다른 핫월렛으로 전송 중일 때 발생했다. 다만 어떤 형태의 월렛이든 자산
  • thumbnail - “1주 대신 30주”…메리츠증권, 美주식 합병 비율 오류로 거래 혼란

    “1주 대신 30주”…메리츠증권, 美주식 합병 비율 오류로 거래 혼란

    메리츠증권이 글로벌 회사 간 합병 비율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주식 거래를 진행해 투자자 혼란을 야기한 사실이 알려졌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나스닥시장에서는 하이드마(티커명 HMR)가 거래되기 시작했다. 하이드마는 기존 나스닥 상장사인 MGO글로벌(MGOL)과의 합병을 통해 시장에 입성했다. 합병 비율은 30대 1로, MGO글로벌 주식을 30주 가지고 있는 기존 주주는 새로 상장하는 하이드마 주식을 1주 지급받게 됐다. 다수 국내 증권사는 전날 기존 MGO글로벌 주주들의 거래를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 기존 주주의 권리가 변경될 경우에는 정확한 내용 반영을 위해 길게는 1주일간 기존 주주의 거래를 제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메리츠증권은 별도 제한 없이 기존 주주의 거래를 허용한 상황에서 합병 비율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MGO글로벌 일부 주주들에게 주식 1주당 하이드마 주식 1주를 지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날 나스닥 프리마켓(개장전 거래)에서 한국 시간으로 오후 6시부터 약 1시간 30분 사이 벌어졌다. 메리츠증권은 오후 7시 30분쯤 이 같은 문제를 인지하고 1시간 30분 동안 체결된 매수·매도 거래를 모두 취소했다.
  • thumbnail - 건설 악화·내수 부진에 기업심리 4개월 연속 ↓…“코로나 이후 최악”

    건설 악화·내수 부진에 기업심리 4개월 연속 ↓…“코로나 이후 최악”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넉 달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4년 5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건설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의 영향으로 건설·도소매 관련 기업들의 타격이 특히 컸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월 기업경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0.6포인트 낮은 85.3으로 집계됐다. CBSI는 작년 11월부터 4개월 연속 떨어져 코로나19 대유행 첫해인 2020년 9월(83.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에 이르렀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가운데 주요 지수(제조업 5개·비제조업 4개)를 바탕으로 산출한 심리 지표다. 과거(2003년 1월~2024년 12월) 평균(100)을 웃돌면 경제 전반에 대한 기업 심리가 낙관적, 반대로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산업별로 제조업 CBSI(90.1)는 생산, 업황을 중심으로 1월보다 1.1포인트 올랐다. 하지만 건설·서비스업 등 비제조업(81.7)은 업황, 자금 사정 악화로 1.9포인트 하락했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자동차 등 일부 업종의 수출 개선으로 제조업 업황은 좋아졌지만, 건설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 등으로 비제조업 업황이 나빠져
  • thumbnail - “올해 한국 성장률 1%까지 떨어질 수도” 해외 기관 분석

    “올해 한국 성장률 1%까지 떨어질 수도” 해외 기관 분석

    올해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0%까지 추락할 수 있다는 해외 연구기관의 전망이 나왔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영국 연구기관인 캐피털 이코노믹스(CE)는 지난 19일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1%에서 1.0%로 하향 조정했다. 이 기관은 “정치적 위기와 부동산 섹터의 침체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1.0%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시장 전망치를 크게 밑도는 수치”라고 밝혔다. CE는 “이런 경기 둔화로 한국은행이 올해 기준금리를 1.00%포인트 인하할 것이며, 이는 다른 애널리스트들의 예상보다 큰 폭”이라고 덧붙였다. 한은이 경기 부양을 위해 불가피하게 현재 연 3.00% 수준인 금리를 2.00%로 대폭 낮출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한 번에 0.25%포인트씩이면 네 차례 인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의미다. 앞서 해외 주요 투자은행(IB)이 제시한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1.6% 수준이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전망치는 IB 중 최저인 JP모건의 1.2%보다도 0.2%포인트 더 낮은 수치다. 앞서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11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0%에서 1.6%로 내렸다.
  • thumbnail - 4대 금융 사외이사 72% 새달 임기 만료… ‘찬성 거수기’ 비판에도 소폭 교체 그칠 듯

    4대 금융 사외이사 72% 새달 임기 만료… ‘찬성 거수기’ 비판에도 소폭 교체 그칠 듯

    다음달 금융지주의 정기 주주총회를 기점으로 4대 금융 사외이사 70%의 임기가 끝난다. 사외이사들은 많게는 1억원대의 연봉을 받으면서도 ‘찬성 거수기’ 역할을 하며 대규모 금융사고를 방관했단 지적을 받고 있지만, 이번에도 대거 물갈이보단 소폭 교체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 사외이사 32명 중 72%인 23명의 임기가 오는 3월 종료된다. KB금융에선 사외이사 7명 중 6명이 임기 종료를 앞두고 있다. 그러나 다음달 주주총회를 통해 교체되는 인원은 둘뿐이다. KB금융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전날 신임 사외이사 후보로 차은영(63)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와 김선엽(56) 이정회계법인 대표를 추천했다. 기존 사외이사인 조화준(68)·여정성(65)·최재홍(63)·김성용(59) 이사는 1년 임기를 더 부여받을 수 있도록 중임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됐다. 부당대출 의혹으로 홍역을 치른 우리금융에선 타사보다 비교적 많은 수인 4명을 교체해 쇄신을 시도하려는 노력이 감지된다. 우리금융 사외이사 7명 중 5명이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정찬형(69) 이사회 의장은 최장 임기 6년을 다 채워 퇴진하고 지성배(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