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하향 기대에 선제 인하
대출금리 여전히 높은 수준 유지
업계 “예대금리차 커질 것” 우려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상품에서 3%대 금리가 사라지고 2%대 금리가 주류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기준금리가 내려갈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은행권이 선제적으로 금리를 일제히 내리는 탓이다. 그러나 대출금리는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어 결국 예대금리차만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이날부터 대표 수신(예금) 상품인 ‘KB스타 정기예금’의 최고금리(1년 만기 기준·우대금리 포함)를 기존 연 3.00%에서 2.95%로 낮췄다. 신한은행도 지난 20일 대표 수신 상품 ‘쏠편한 정기예금’의 최고금리(1년 만기 기준·우대금리 포함)를 연 3.00%에서 2.95%로 인하했다. 하나은행의 ‘하나의 정기예금’, 우리은행의 ‘WON플러스예금’, NH농협은행의 ‘NH내가그린(Green)초록세상예금’ 등 주요 은행의 대표 수신 상품도 최고금리가 각각 3.00%이지만 조만간 내려갈 공산이 있다. 앞서 SC제일은행은 지난 17일부터 네 가지 거치식예금(정기예금) 금리를 최대 0.50% 포인트 낮췄다.이처럼 은행권이 잇따라 예금금리를 내리는 것은 기준금리 인하가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2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현재 3.00% 수준인 기준금리를 2.75%로 0.25% 포인트 내리면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상품 금리도 대부분 2%대로 내려갈 전망이다. 예금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은행채(1년) 금리도 연초 3.03%에서 이날 2.84%까지 떨어졌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아직 예금금리를 내릴 예정이 없지만 기준금리 인하 여부에 따라 예금금리도 내려갈 수 있다”고 말했다.
예금금리가 내리는 동안 대출 규제 강화로 대출금리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탓에 예대금리차(대출금리와 수신금리의 차이)는 더욱 커질 수 있다. 한은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작년 12월 신규 취급액 기준 예대금리차(대출금리와 저축성 수신금리의 차이)는 1.43% 포인트로 전월(1.41% 포인트)보다 0.02% 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8월 1.13% 포인트였던 예대금리차는 4개월 연속 상승하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신규 취급액 기준 5대 은행의 지난해 12월 평균 가계 대출금리는 연 4.49~5.17% 수준이었다.
2025-02-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