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 공동양육 안해 어려움” 27%
‘양육참여 불만’ 여성이 남성 10배
휴직여성 5명중 1명 끝내 퇴사
정부가 일·가정 양립 대책의 일환으로 육아휴직을 독려하고 있지만 여성 상당수는 육아휴직 중 오히려 ‘독박육아’에 내몰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성은 육아휴직을 해도 독박육아를 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육아휴직을 한 여성 5명 중 1명은 육아 부담 때문에 퇴사한다는 점에서 직장인 근로시간 단축 등 근본적 해결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인구보건복지협회가 만 20~49세 남녀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0일 발표한 ‘육아휴직 사용 실태 및 욕구 조사’에 따르면 육아휴직을 한 여성의 27.0%는 남편이 양육에 참여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성 육아휴직자 중 아내가 육아휴직에 동참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2.0%에 그쳤다.
배우자의 양육참여에 대한 불만족 비율은 남성이 3.5%, 여성은 35.5%로 여성의 불만족 비율이 10배 수준이었다. 배우자와의 갈등 경험률은 73.3%로, 남성은 ‘배우자와의 양육방식에 대한 이견이 커서’(46.9%·복수 응답)를 많이 꼽았다. 여성은 ‘배우자가 양육을 나에게 전적으로 부담시켜서’(63.3%)를 주된 문제로 지적했다. 이런 갈등은 육아휴직 뒤 닥칠 육아 공백에 대한 불안감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육아휴직 여성의 81.0%만 직장으로 복귀했다. 남성은 직장 복귀율이 92.5%였다.
그러나 여성의 독박육아를 단순히 남성의 문제만으로 여기기에는 무리가 있다. 육아휴직을 마친 남성의 75.5%는 야근을 줄이고 육아에 동참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양육참여 시간을 늘린 비율은 25.5%에 불과했다. 육아휴직이 끝나면 과거와 같이 격무에 시달리기 때문에 평소 육아에 동참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남성은 인사고과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33.0%), 여성은 경력단절로 인한 경쟁력 저하(33.5%)를 육아휴직을 선택하기 어려운 이유로 꼽았다. 이은화 조사연구과장은 “외부 요인 때문에 일·가정 양립에 대한 개인의 노력이 실패하지 않도록 근로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육아휴직 기간 가장 좋았던 점으로 남녀 모두 ‘자녀와의 관계 증진’(59.5%)을 1순위로 꼽았다. 휴직 기간 가장 필요한 지원(복수응답)은 ‘재정 관련 도움’(54.5%)과 ‘가사 및 양육 보조’(51.8%)였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양육참여 불만’ 여성이 남성 10배
휴직여성 5명중 1명 끝내 퇴사
인구보건복지협회가 만 20~49세 남녀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0일 발표한 ‘육아휴직 사용 실태 및 욕구 조사’에 따르면 육아휴직을 한 여성의 27.0%는 남편이 양육에 참여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성 육아휴직자 중 아내가 육아휴직에 동참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2.0%에 그쳤다.
배우자의 양육참여에 대한 불만족 비율은 남성이 3.5%, 여성은 35.5%로 여성의 불만족 비율이 10배 수준이었다. 배우자와의 갈등 경험률은 73.3%로, 남성은 ‘배우자와의 양육방식에 대한 이견이 커서’(46.9%·복수 응답)를 많이 꼽았다. 여성은 ‘배우자가 양육을 나에게 전적으로 부담시켜서’(63.3%)를 주된 문제로 지적했다. 이런 갈등은 육아휴직 뒤 닥칠 육아 공백에 대한 불안감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육아휴직 여성의 81.0%만 직장으로 복귀했다. 남성은 직장 복귀율이 92.5%였다.
육아휴직 기간 가장 좋았던 점으로 남녀 모두 ‘자녀와의 관계 증진’(59.5%)을 1순위로 꼽았다. 휴직 기간 가장 필요한 지원(복수응답)은 ‘재정 관련 도움’(54.5%)과 ‘가사 및 양육 보조’(51.8%)였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8-01-1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