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농촌의 네트워크 접근성 제고 필요
지역마다 노인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도시에서는 주로 경제적인 요인이, 농촌 지역에서는 자녀, 친구와의 접촉 빈도 등 네트워크 요인이 노인 자살률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다.16일 서울대에 따르면 이 대학 행정대학원 최선미씨는 최근 ‘기초자치단체의 노인자살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라는 박사학위 논문에서 도시와 농촌별로 노인 자살에 영향이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다.
우리나라 노인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이며 농촌의 노인자살률이 도시의 노인자살률보다 높다는 특징이 있다.
최씨는 전국 232개 기초자치단체를 분석단위로 한 2008년과 2011년의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인실태조사 등 데이터를 기초로 노인자살률의 영향요인과 도시·농촌의 조절 효과에 대해 패널회귀분석을 했다.
분석 결과 도시, 농촌을 포함한 전체 노인에서 절대 빈곤율이 높을수록 자살률이 유의미하게 증가(회귀계수 0.162)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대적 빈곤율은 자살률과 유의미한 관련을 보이지 않았다.
또 자녀와의 접촉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지자체일수록 해당 지역 노인자살률이 감소(회귀계수 -0.164)했고 친목단체 참여비율이 높을수록 자살이 감소(회귀계수 -0.130)했다. 반면 친구와의 접촉 빈도(회귀계수 0.155)는 예상과는 달리 자살률을 높이는 영향을 미쳤다.
최씨는 “친구와의 접촉 빈도 비율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지만 네트워크 내에 자신이 소속되지 못한 상태에서 다른 사람들끼리만 네트워크가 활발하게 이뤄질 경우 소외감이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봤다.
최씨가 도농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도시와 농촌의 조절 효과를 포함해 분석한 결과, 서로 다른 요인이 자살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 지자체를 대상으로 했을 때 상대 빈곤율은 자살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도시지역만을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는 상대 빈곤율이 높은 지역에서 노인자살률이 높게 나타났다.
농촌지역에서는 절대 빈곤율과 상대 빈곤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녀와의 접촉 빈도, 친구와의 접촉 빈도, 친목단체 참여 여부 등이 모두 자살률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씨는 “질적 연구 결과 주민들이 농촌에서 느끼는 유대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도시에서 정책적으로 조성한 네트워크에 비해 농촌에서는 주민들의 네트워크 접근성이 낮아 쉽게 우울감을 느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지자체 차원에서 경제사각지대에 있는 노인을 발굴하고 적극적으로 노인빈곤을 해결하기 위해 접근해야 한다”며 “농촌 지역에 속하는 지자체의 경우 노인들이 네트워크에 접근할 기회를 늘리고 네트워크의 배타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설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