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 실태
인구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치매 관리는 범정부적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처음으로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환자인 것으로 조사돼 선제적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18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68만 6000명이었던 국내 치매환자 수는 2024년 100만명, 20141년 200만명을 넘어 2050년에는 271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치매 유병률은 지난해 처음 10.0%에 도달한 뒤 점차 증가해 2050년에는 15.1%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치매환자가 급증하면서 치매환자 돌봄에 필요한 경제·사회적 부담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의료비와 요양비, 생산성 손실 등 간접비용까지 합한 치매환자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은 2015년 2000만원에서 2050년 3900만원으로 높아진다. 전체 치매환자에게 드는 비용은 같은 기간 13조 2000억원에서 106조 5000억원까지 늘어난다. 국내총생산(GDP)의 0.9%에서 3.8%까지 확대되는 것이다.
연간 실종되는 치매환자 수는 2010년 6596명에서 지난해 9869명으로 1.5배가량 늘었다. 노인학대 사례 중 피해자가 치매환자인 비율은 2011년 18.1%에서 2015년 27.0%로 높아졌다.
중증 치매는 완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해 악화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사회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치매 전 단계로 불리는 ‘경도 인지장애군’이 치매환자로 발전하지 않도록 집중 발굴해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만우 국회입법조사처 보건복지여성팀장은 “수용 위주의 사후 치매관리정책 대신 예방교육과 조기 발견 치료사업을 적극적으로 시행해 경도 인지장애군이 경증 치매환자가 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공립 치매안심요양병원만으로는 환자 수요에 대응하기 어렵기 때문에 민간의료기관의 참여를 제도적으로 유인하기 위해 요양병원 간병비 일부를 건강보험 급여로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7-09-1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