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소득이 높은 대학생이 대기업 취업에 유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9일 한국고용정보원은 ‘재학 중 근로경험 유형에 따른 근로자 특성 및 노동시장 성과 차이’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재학 중 근로 경험이 있는 학생 2695명을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1313명),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1382명)으로 나눴다.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부모, 친지에게 학비를 조달받고 인턴, 실습 등 전공과 잘 맞는 근로를 한 학생을 의미한다.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는 본인 스스로 학자금 융자로 학비를 조달해야 해 전공과 잘 맞지 않는 아르바이트 등을 한 학생이다.
두 집단은 부모 소득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부모 월 소득이 ‘3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인 비율이 42.7%에 달했다. ‘5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은 25.4%, ‘1000만원 이상’은 4.4%였다. 반면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의 59.0%는 부모의 월 소득이 300만원에도 못 미쳤다.
중·상류층 자녀가 대부분인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졸업 후 종업원 500인 이상 대기업에 취업하는 비율이 17.8%였다. 하지만 서민층 자녀가 절반 이상인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는 대기업 취업 비율이 14.4%에 그쳤다.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의 시간당 임금은 평균 1만 1100원, 생계형 경험자는 9700원이었다. 취업 2년 후 일자리 유지 비율도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45.93%에 달했지만, 생계형 경험자는 40.67%로 낮았다.
정한나 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부모 소득과 재학 중 일자리 경험, 대기업 취업 확률, 근로조건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인다”며 “대학 등 교육기관은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의 졸업 후 경쟁력이 뒤처지지 않도록 진로 지도와 취업률 제고에 더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9일 한국고용정보원은 ‘재학 중 근로경험 유형에 따른 근로자 특성 및 노동시장 성과 차이’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재학 중 근로 경험이 있는 학생 2695명을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1313명),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1382명)으로 나눴다.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부모, 친지에게 학비를 조달받고 인턴, 실습 등 전공과 잘 맞는 근로를 한 학생을 의미한다.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는 본인 스스로 학자금 융자로 학비를 조달해야 해 전공과 잘 맞지 않는 아르바이트 등을 한 학생이다.
두 집단은 부모 소득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부모 월 소득이 ‘3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인 비율이 42.7%에 달했다. ‘5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은 25.4%, ‘1000만원 이상’은 4.4%였다. 반면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의 59.0%는 부모의 월 소득이 300만원에도 못 미쳤다.
중·상류층 자녀가 대부분인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졸업 후 종업원 500인 이상 대기업에 취업하는 비율이 17.8%였다. 하지만 서민층 자녀가 절반 이상인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는 대기업 취업 비율이 14.4%에 그쳤다.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의 시간당 임금은 평균 1만 1100원, 생계형 경험자는 9700원이었다. 취업 2년 후 일자리 유지 비율도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45.93%에 달했지만, 생계형 경험자는 40.67%로 낮았다.
정한나 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부모 소득과 재학 중 일자리 경험, 대기업 취업 확률, 근로조건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인다”며 “대학 등 교육기관은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의 졸업 후 경쟁력이 뒤처지지 않도록 진로 지도와 취업률 제고에 더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