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금융진흥원 어떻게 탄생했나
통합된 서민금융기관이 출범하게 된 것은 서민들이 각 기관의 상품 정보를 제대로 알고 찾아가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종류도 많고 소관 기관이 미소금융재단(금융위원회), 신용보증재단(중소기업청), 국민행복기금(캠코) 등으로 흩어져 있다 보니 정보가 부족한 서민들은 적합한 상품을 찾지 못하고 고금리 사채를 이용하는 일이 이어졌다. 실제 지난해 설문조사에서 국민 61%가 “서민금융 상품을 몰라서” 이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 때문에 ‘미소론’, ‘햇쌀론’처럼정책 상품을 사칭한 상품들이 소비자들을 현혹하기도 했다.김윤영 초대 서민금융진흥원장은 23일 “불 나면 ‘119’를 떠올리듯 서민들이 자금난에 처하면 제일 먼저 진흥원(전화 1397)을 떠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민금융 관련 재원과 데이터가 진흥원 한곳으로 집중되면 좀더 효과적인 금융 지원이 가능할 것이라는 게 정부 설명이다.
서민금융진흥원 출범으로 정책금융 상품을 한곳에서 알아보고 빌릴 수 있게 됐다. 진흥원의 실제 업무를 담당하는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 가면 ▲자영업자 창업과 운영자금을 지원하는 ‘미소금융’ ▲근로자 생계와 대환자금을 지원하는 ‘햇살론’ ▲고금리를 저금리로 바꿔 주는 ‘바꿔드림론’ 등 자신에게 맡는 상품을 원스톱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다.
외국에서도 이처럼 서민금융기관을 하나로 모은 사례는 찾기 힘들다는 게 금융권의 평이다. 앞으로 진흥원에는 여러 기관으로 흩어져 있던 재원과 데이터도 통합될 전망이다. 통합 데이터가 축적되면 유형에 따라 맞춤형 상품 개발도 가능해진다. 재원도 좀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햇살론의 전환대출과 바꿔드림론처럼 일부 겹치는 기능은 과감히 없애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액 대출, 재무 설계, 일자리 연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구정한 금융연구원 중소서민금융·소비자보호연구실장은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정책성 서민금융지원에 대한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대상자들에 대한 재무적 정보뿐만 아니라 상담 정보까지 모두 수집해 축적한다면 수요자에게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 개발 및 정책 방향을 재정립하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정책금융과 민간 서민금융 간의 역할 분담, 서민금융과 고용·복지 연계 강화 등은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6-09-24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