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드러운 재료
김리윤 지음/봄날의책
256쪽/1만 8000원
우리는 날마다 어딘가에서 뭔가를 본다. 살아 있다는 건 뭔가를 목격하는 것과 견고하게 엉켜 있으니까. 전시회에 걸린 그림 한 점이나 영화의 스틸 컷 한 장을 보며, 혹은 책 속 한 문장을 읽고 한 조각의 생각을 떠올리는 것쯤은 누구나 할 수 있다. 한데 이를 밑천 삼아 의식과 주제가 듬뿍 담긴 글을 쓴다는 건 다른 차원의 문제다.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 어려운 일을 새책 ‘부드러운 재료’는 해낸다. 그것도 아무렇지 않다는 듯이.
‘부드러운 재료’는 시인인 저자가 처음 펴낸 산문집이다. 사진, 그림, 조각, 영화, 전시, 책 등 온갖 곳에 흩뿌려진 말과 글을 ‘재료’ 삼아 만들어졌다. 예컨대 태국 출신 아피찻퐁 위라세타꾼 감독의 ‘블루’와 ‘에메랄드’라는 영화의 한 장면에서 모티브를 얻어 ‘미만의 미정’이란 글을 쓰고, 독일 사진작가 볼프강 틸만스의 사진 ‘웨이크’와 이민휘의 음반 ‘미래의 고향’ 등에 흥이 동해 ‘두려움과 함께 보기’라는 글을 만들어 내는 식이다.
시인 김리윤
저자가 쓴 글은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다. 서간문이기도 하고 가상의 인터뷰이거나 시의 모양새를 할 때도 있다. 중요한 건 새로 태어난 글들이 모티브가 된 것들을 원본 삼으려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를 이렇게 표현했다. “‘부드러운 재료’는 입구를 내어준 공간으로부터, 작품으로부터 멀어지며 입구를 희미하게 만들려 한다”고.
시인이 쓴 산문들은 시적이다. 곱고 절제된 언어, 과감한 생략 덕에 문장 곳곳에 운율과 생명이 넘친다. 다만 문해력 짧은 장삼이사들이 단박에 이해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어쩌면 여러 번 곱씹어도 소화가 안 될는지 모르겠다.
책의 편집자는 여러 산문 중 ‘미만의 미정’, ‘두려움과 함께 보기’, ‘소진되지 않은 덩어리’, ‘표면을 뒤집으며 떠다니기’를 “좀더 눈여겨보아 달라”고 주문한다. 책 전체가 아닌 특정 부분에 주목해 보라는, 퍽 이례적인 요청이다. 왜 그런지 설명은 없으니 각자 찾아내시길.
모든 것은 완성이 선언된 이후에도 재료로서의 미래를 품고 있다. 지금 당신 눈앞에 있는 맛있는 육포는, 혹은 산미 가득한 커피는 완성된 그 자체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시인의 부름에 이끌려 또 다른 재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저자는 이런 말로 책을 맺는다. “이 책 역시 다시 재료가 될 것이며, 이미 재료이기도 하다.” 이 맺음말의 제목이 ‘부드러운 재료’다.
2025-01-17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