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오아시스
김채원 지음/문학과지성사
266쪽/1만 6000원
소설가 김채원
상실의 아픔은 소설의 풍경이 된다. 무기력하고 지루한 일상을 오롯이 버텨 내는 건 어쩌면 거기에 조그맣게 숨어 있을지도 모르는 미약한 빛을 찾기 위해서다.
2022년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소설가 김채원(33)의 첫 번째 소설집 ‘서울 오아시스’는 제목처럼 슬프고 괴로운 일상의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찾는 여정의 기록으로 읽힌다. 작가는 그저 일상의 파편을 찢어 독자 앞에 가져다 놓을 뿐 오아시스를 쉽게 내보이지 않는다. 거기서 단단한 희망을 머릿속에 띄우는 일은 오롯이 읽는 이의 몫이다. 비록 그것이 신기루에 불과할지 몰라도. 아니, 우리가 오아시스라고 믿는 문학이 애초에 신기루일지도 모르겠다. 등단작 ‘현관은 수국 뒤에 있다’를 포함한 8개의 단편이 담겼다.
“나쁜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방해꾼도 나타나지 않는다. 좋은 날이야. 주인공은 생각한다. 하지만 계속될 수는 없는 좋음이야. 주인공은 이 이야기의 주인공이기 때문에, 행운을 발견하려면 반드시 불운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서울 오아시스’·99쪽)
표제작 ‘서울 오아시스’는 주인공이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진 외삼촌의 말을 새삼 환기하며 시작한다. “어떤 사람은 건강하지 않아도 오래 살 수 있다.” 오간 데 없는 외삼촌은 말로만 남았고 주인공의 곁에는 병원에 입원한 엄마가 있다. 엄마는 왜 아플까. 주인공은 “차라리 나 때문이었으면 좋겠다”고 하지만 엄마가 아픈 건 엄마 자신 때문이다. 소설을 다 읽은 뒤 머릿속에 남는 건 외삼촌의 말이다. 건강하지 않은 채로 오래 산다는 게 과연 무엇일까. 인간은 언제나 삶과 건강을 한 묶음으로 생각한다. 그 반대편에는 죽음과 아픔이 있다고 여긴다. 과연 그런가. 살아가면서 ‘건강한’ 순간은 그리 많지 않다. 삶은 오히려 건강보다는 아픔과 더 오래 뒤섞인다. 건강한 삶이라는 건 그래서 서울의 오아시스다. 있을지도 모르는, 그러나 실제로 본 적은 없는. 영원히 도달할 수 없는 어딘가.
“노인은 자동차가 줄지어 세워져 있는 공용 주차장에 몸을 숨기고 포도 향이 나는 담배를 가볍게 깨물어 피웠다. 노인의 얼굴 위로 무언가 물러나듯 햇빛이 드리웠다. 기분이 좋았다. 몸이 비교적 따뜻했다. 이대로 햇볕에 반쯤 바랜 자신이 죽음을 몰아내지 못하고 기진맥진해서 주차장 바닥에 여러 차례 으깨져 누워 있는 모습을 상상했다.”(‘빛 가운데 걷기’·47쪽)
‘빛 가운데 걷기’는 세상을 등진 딸이 남긴 초등학생 아이, 즉 자신의 손주를 돌봐야 하는 노인의 이야기다. 노인은 과거 과학을 가르치던 교사였다. 그래서일까. 아이를 대하는 노인의 모습은 대단히 딱딱하고 서툴다. “원자의 구조에서 질량수가 A보다 B가 더 크고 원자번호가 같으면 중성자 수 또한 A보다 B가 더 크다. 당연한 것인데 이것이 왜 당연하냐 하면 그렇게 정의되어 있으니까.” 당연한 일이 ‘그렇게 정의됐기 때문’이라는 지극히 ‘과학적인’ 노인의 혼잣말은 어딘지 소름이 끼친다. 하지만 과연 이렇게만 볼 일일까. 진실이라고는 도저히 보이지 않는 이 세계에서 그나마 과학에라도 기대지 않는다면, 인간은 도대체 무얼 믿고 살아가야 하는가.
마지막 작품 ‘다섯 개의 오렌지 씨앗’에는 마침표가 없다. “마치 하나의 덩어리로 존재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쓴 것이라고 한다. 마침표가 없으니 언제 어디서 끊어 읽어야 할지 막막하다. 하지만 이런 생각도 든다. 책의 마지막 소설에 마침표를 지운 것은 이제 첫 소설집을 펴낸 신인의 당찬 의도가 아닐까. 멈추지 않고 계속 쓰겠다는 다짐 같은 것 말이다. 김채원은 작가의 말에 이렇게 썼다.
“나 혼자 도움 없이 살고 있는 것 아니고 여럿이 함께 살고 있음. 그것을 잊지 않고, 그 한편에서 외따로 도움받지 못한 나의 소설을 계속 쓰겠다.”(265쪽)
2025-01-17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