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인구론
폴 몰런드 지음/이재득 옮김
미래의창/304쪽/1만 9000원
한국, 3세대 이후엔 인구 ‘10분의1’日·中 등 사례로 인구문제 해법 제시
통계청에 따르면 가임기(15~49세) 여성 1명이 해당 기간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는 2023년 기준 0.72로 집계됐다. 한국에서 지금의 출산율이 이어진다면 3세대가 지날 무렵엔 전체 인구가 현재의 10분의1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의 유명 인구학자인 저자는 자국을 비롯해 이탈리아, 일본, 인도네시아, 이스라엘, 헝가리, 호주, 중국, 덴마크 등 여러 나라 사례를 기반으로 인구 감소의 원인을 진단하고 해법을 제시한다.
예컨대 최근 들어 경제성장을 이어 가는 인도네시아의 경우 경제성장률에서 수십년 동안 태국을 넘어섰다. 현재 평균 소득은 태국의 절반 정도이지만 격차가 줄어들어 조만간 앞지를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는 1989년 수하르토 정권 붕괴 이후 안정적인 발전 그리고 젊은층이 탄탄해진 인구구조가 한몫했다.
경제가 성장하면 출산율이 줄어드는 게 일반적이지만 일부에서는 조금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스라엘의 경우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이 독일이나 일본처럼 급락하지 않은 나라로 꼽힌다. 출산을 장려하는 아브라함계 종교 교리를 비롯해 출산 장려를 북돋우는 독특한 문화가 자리하고 있다.
노르웨이의 보육 서비스 사례도 참고할 만하다. 보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은 출산율이 1.51명이었지만 보육 서비스 보급률이 60% 이상인 지역에서는 2.18명까지 상승했다. 캐나다 퀘벡주도 풍부한 보육 센터와 가족 친화적 정책으로 21세기 초 출산율이 높아졌다고 소개한다.
저자는 한국에 대해선 ‘총체적 위기의 전형’이라고 꼬집는다. 전 세계가 인정하는 치열한 경쟁 사회로, 도시의 부유층이 점점 줄어드는 아이들에게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극단적인 경우다. 눈을 돌려 다른 나라의 사례를 살펴보고 해법을 모색해야 할 때다. 전 세계 여러 나라가 시행한 정책을 넘어서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2025-01-1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