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그노런스/스튜어트 파이어스타인 지음/장호연 옮김/뮤진트리/220쪽/1만 5000원
하지만 이 무지가 때로는 아는 것보다 더 강력한 힘이 될 수 있다면 어떨까. 게다가 무지가 가장 유용한 분야가 다름 아닌 과학이라면? 스튜어트 파이어스타인의 ‘이그노런스’는 무지가 어떻게 과학을 이끄는 힘이 되는지를 말하는 책이다. 저자는 과학이 무지를 생산해 내는 활동이라고 말한다. 흔히 과학을 인류 지식의 축적으로 여기는 통념에 반하는 주장이다.
고대의 자연철학자들로부터 17세기에 이르기까지 역사에 이름을 남긴 학자들은 당시의 학문을 폭넓게 이해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의 과학자들은 노벨상을 받은 학자조차도 자신의 학문 분야 외에는 일반인만큼 무지할 수 있다. 이는 인류의 집단 지식이 과거에 비해 어마어마하게 증가했기 때문이지만, 동시에 과학이 끊임없이 새로운 무지를 생산해 내는 활동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과학이 과거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새로운 질문들을 만들어 냈다는 것을 생각해 보자. 한때는 ‘암흑에너지가 무엇인가’, ‘일반상대성과 양자역학이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가’와 같은 질문들이 세상에 아예 존재하지 않았던 적도 있다. 성공적인 과학은 사실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과학자들을 또 다른 질문들로 이끈다. 사실이 아닌 무지가 과학의 추진력이라고 생각할 때, 과학을 바라보는 관점도 변화하게 된다.
파이어스타인은 사회가 과학을 이해하는 방식도 무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과학은 현대사회의 중요한 축이지만 대중들은 과학을 멀게만 느낀다. 그러나 무지를 강조할 때 사람들은 과학의 장벽 앞에서 보다 평등해진다. 각자가 가진 지식의 정도는 차이가 클 수 있지만, 무지의 정도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설명하는 대신 질문을 던지고 ‘무엇을 아는가’를 묻는 대신 ‘무엇을 모르는가’를 물을 때, 우리는 더 유연하게 세계를 탐구하고 실재의 모습에 근접해 갈 수 있을 것이다.
2019-02-01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