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가 선율에 만주국 환상곡 일부 담겨…日 유럽 첩보원 집 기거· 獨 협조로 연주
안익태 케이스/이해영 지음/삼인/228쪽/1만 5000원‘애국가’ 작곡자 안익태가 말년을 살았던 스페인 팔마 드 마요르카의 테아트르 프린시팔 무대에 올라 콘서트 지휘를 하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 DB
나치 독일의 유일한 조선 출신 제국음악원 회원이었던 안익태의 회원증. ‘안익태의 정치적 흠결이 없다’는 나치의 스탬프 문구가 찍혀 있다. 삼인 제공
그 말대로 저자는 먼저 안익태 작품의 궤적을 훑는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강천성악’(하늘에서 내려온 음악·1959년)은 일본 아악 선율을 서양악기로 편곡해 2차 세계대전 중 선전용으로 연주한 ‘에텐라쿠’의 개작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만주국 환상곡’은 1942년 일본 괴뢰국가인 만주국 건국 10주년 경축음악회를 위해 만든 작품이다. 슬프게도 지금 우리가 부르는 ‘애국가’는 ‘만주국 환상곡’의 피날레 부분이다. 안익태는 친일 부역의 산물인 ‘만주국 환상곡’ 악보를 1944년 파리 해방 직전 스페인으로 도주하면서 폐기했다. 이후 1938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처음 연주된 곡을 개작해 만든 게 ‘한국 환상곡’이다. 이 대목에서 저자는 분명히 말한다. “매국의 도구로 재활용하다 그것을 다시 애국이라 주장하면서 그 중간 과정을 없었던 것처럼 우긴다면 그것이야말로 언어도단이다.”
안익태를 ‘민족적 자랑’의 대상에서 ‘매국’의 인사로 끌어내린 결정적 계기는 10년 전 발견된 만주국 건국 10주년 축하연주회 영상이다. 1942년 9월 베를린에서 열린 이 연주회에서 안익태는 지휘를 하고 있다. 책에는 종전 안익태가 갖고 있던 이미지 전복의 충격을 훨씬 뛰어넘는 증거들이 넘쳐난다. 그 두 축은 바로 1938년 주베를린 만주국 공사관 참사관으로 부임해 1945년 7월까지 독일에 머물렀던 에하라 고이치, 그리고 나치 국가조직 독일협회와 안익태의 관계 및 활약상이다.
독일협회와 안익태의 관계는 더 충격적이다. 이 협회가 민간단체로 위장된 나치의 국가조직이었음을 들춰낸 저자는 에하라 고이치와 에키타이 안이라는 일본인 이름으로 활약했던 안익태의 가장 강력한 스폰서였다고 못박는다. 실제로 안익태는 에하라의 베를린 자택에 머물면서 1944년 히틀러 생일기념으로 파리에서 열린 ‘베토벤 페스티벌’을 비롯해 일본 동맹국과 독일 점령국·우방국 스페인에서만 30여 차례 공연했다. 안익태는 어떻게 당시 막강한 위세를 갖고 있던 일본제국, 나치 독일 정책과 동떨어진 채 순수한 사랑의 음악을 만들고 지휘할 수 있었을까. 저자는 그 물음에 답하는 대신 나치 선전총책 괴벨스 주도로 조직된 독일제국음악원의 안익태 회원증을 제시하고 있다. 유일의 조선 출신 제국음악원 회원이었던 안익태의 회원증 오른쪽 하단에는 ‘정치적 관점에서 흠결이 될 만한 사항 없음’이라는 문구가 스팸프로 찍혀 있다.
“안익태 애국가의 치명적 흠결은 그 선율이나 가사에 있지 않다. 그것을 지은 사람에게 있다. 만든 이가 최소한 애국적이어야 한다는 말이다.” 저자의 이 말에 동의한다면 결국 비애국적 인사가 만든 애국가를 계속 쓸 것인가라는 문제가 남는다. 저자는 그 대응 방법을 네 가지로 요약한다. 그냥 모른 체하거나 문제 있지만 통일될 때까지 그냥 사용하기, 기존 애국가를 계속 쓰면서 제2의 애국가 만들기, 국가제정위원회를 구성해 가사·곡 공모하기다. 그리고 이런 말을 남긴다. “선택은 결국 우리의 몫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9-01-18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