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하지 않은 몰락/강상중·우치다 타츠루 지음/노수경 옮김/사계절/304쪽/1만 6000원
뭔가 잘못돼가고 있다는 걸 피부로 느끼고 있더라도 우리가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는 것을 이토록 꼼꼼하고 성실하게 설명해주는 것이 달갑지는 않다. ‘그것이 무엇이든 잘 될 거야’, ‘여태껏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온 인류의 힘을 믿어’라는 대책 없는 격려가 더 달콤한 탓이다. 그렇지만 이 진지한 이야기를 나누는 두 사람을 무시할 수도 없다. 강상중과 우치다 타츠루. 일본사회를 대표하는 비판적 지식인으로, 이미 여러 차례 책으로 우리나라의 독자들과 만나며 그 혜안을 보여준 이들이다.
오랜 야만과 전쟁의 시대를 거치고 근대에 들어서면서 인간은 드디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상적 토대를 얻었다. 자유와 평등, 그리고 인권. 국가는 헌법 아래 국민의 권리를 보장하는 시스템을 약속했고, 다시는 폭력에 기대는 일 없이 찬란한 이성의 힘을 횃불처럼 들고 나아갈 수 있을 것 같았다. 요원했던 평화가 현실이 되었다. 그렇다고 믿었다. 그러나 지금은 누구도 그렇다고 자신할 수 없게 되었다. 테러와 폭력, 갈등과 혐오는 사라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더 심해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우경화가 두드러지는 현상을 진단하며 우치다 타츠루는 ‘21세기 새로운 야만’이라고 이름붙인다.
원인은 무엇일까. 그들은 ‘국민국가’ 체제와 자본주의 시장의 충돌을 지적한다. 자본과 시장은 자유롭게 이동하며 경계를 확대하길 원하는데, 국가는 국경이라는 단단한 틀 안에 자본을 가두고 보호하려 한다. 이 대단한 규모의 두 ‘고질라’의 싸움에서 등이 터지는 건 우리다. 이 체제를 유지하고자 인간기둥 역할을 하다 압살당하는 것 또한 우리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우리가 그토록 숭배하는 이성의 힘으로 무리 없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그들은 근대 세계의 침몰은 막을 수 없다고 말한다. 단, 희생자의 숫자를 줄이려고 노력할 수는 있다. 그들이 예상하는 미래의 세계는 작은 공동체의 세계다. 그들이 의지하는 가치는 자유, 평등, 인권 등 거창한 것이 아니다. 측은지심, 공생의 감각, 관용, 환대, 화해. 펼쳐놓으면 뻔해 보이지만, 그들의 치열한 고민과 분석이 결국 우리가 갈 방향은 분명하다는 것을 확연하게 보여준다. 인간의 다양함과 약함, 그리고 복잡함을 담기에 현재의 틀은 너무 크다. “인간을 서열화하는 것이 아니라, 복잡다단한 인간관계를 잘 조정하는 상호부조”가 꼭 필요한 이유다.
오랜 야만과 전쟁의 시대를 거치고 근대에 들어서면서 인간은 드디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상적 토대를 얻었다. 자유와 평등, 그리고 인권. 국가는 헌법 아래 국민의 권리를 보장하는 시스템을 약속했고, 다시는 폭력에 기대는 일 없이 찬란한 이성의 힘을 횃불처럼 들고 나아갈 수 있을 것 같았다. 요원했던 평화가 현실이 되었다. 그렇다고 믿었다. 그러나 지금은 누구도 그렇다고 자신할 수 없게 되었다. 테러와 폭력, 갈등과 혐오는 사라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더 심해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우경화가 두드러지는 현상을 진단하며 우치다 타츠루는 ‘21세기 새로운 야만’이라고 이름붙인다.
원인은 무엇일까. 그들은 ‘국민국가’ 체제와 자본주의 시장의 충돌을 지적한다. 자본과 시장은 자유롭게 이동하며 경계를 확대하길 원하는데, 국가는 국경이라는 단단한 틀 안에 자본을 가두고 보호하려 한다. 이 대단한 규모의 두 ‘고질라’의 싸움에서 등이 터지는 건 우리다. 이 체제를 유지하고자 인간기둥 역할을 하다 압살당하는 것 또한 우리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우리가 그토록 숭배하는 이성의 힘으로 무리 없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그들은 근대 세계의 침몰은 막을 수 없다고 말한다. 단, 희생자의 숫자를 줄이려고 노력할 수는 있다. 그들이 예상하는 미래의 세계는 작은 공동체의 세계다. 그들이 의지하는 가치는 자유, 평등, 인권 등 거창한 것이 아니다. 측은지심, 공생의 감각, 관용, 환대, 화해. 펼쳐놓으면 뻔해 보이지만, 그들의 치열한 고민과 분석이 결국 우리가 갈 방향은 분명하다는 것을 확연하게 보여준다. 인간의 다양함과 약함, 그리고 복잡함을 담기에 현재의 틀은 너무 크다. “인간을 서열화하는 것이 아니라, 복잡다단한 인간관계를 잘 조정하는 상호부조”가 꼭 필요한 이유다.
2018-12-28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