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 어머니와 사는 소수 ‘엄지장갑’ 낀 청년

청각장애 어머니와 사는 소수 ‘엄지장갑’ 낀 청년

이슬기 기자
입력 2018-12-06 17:36
수정 2018-12-06 19: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원종건의 엄지장갑 이야기/원종건 지음/북레시피/244쪽/1만 5000원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었다. 여동생은 태어나자마자 스웨덴으로 입양됐다. 청력·시력을 잃은 엄마와 미혼 여성들이 모여 사는 속옷공장 기숙사에서 살았다. 그 바람에 기숙사의 청소를 도맡아 하는 엄마는 모두 잠든 사이에 아들을 씻겼다. “우리가 이 목욕탕 다 빌렸다, 그치?” 하며.
이미지 확대
TV에 나오는 사연 많은 스토리의 주인공인 소년. 그의 엄마는 2005년 MBC ‘눈을 떠요’의 도움으로 눈을 떴다. 당시 열두 살이던 소년은 이제 스물다섯 청년이 됐다. 눈을 뜬 엄마에게서 “우리도 더 좋은 일을 하는 사람이 되자”는 말을 들었던 소년은 어떤 스물다섯이 됐을까.

‘원종건의 엄지장갑 이야기’는 항간에 떠도는 이런 호기심에 답하는 에세이다. 그때 그 소년이 써내려 간….

소년은 엄마의 그 말을 금과옥조처럼 품었다. 그 덕에 ‘모든 순간에 존재하는’ 감사와 ‘최고의 순간에 존재하는’ 겸손을 생활화하게 됐다.

책을 읽는 내내 의심의 눈초리를 거둘 수가 없다. 이렇게까지 착할 수가 있나. 청년을 이해하는 해답은 완두콩에 있다. 저자는 안데르센의 동화에서 ‘완두콩 때문에 잠자리가 불편했노라’ 솔직하게 말하는 공주를 언급한다. 그의 말마따나 누구에게나 자신의 불편함을 자각시키는 ‘완두콩’은 있다. 그러나 나의 완두콩을 남에게 설득시키고, 남의 완두콩을 이해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사람은 드물다. 청년은 바로 그런 사람이고, 그런 마음가짐이 어머니에게서 왔음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런 과정의 일환으로 청년은 동분서주 뛰었다. 그중 하나가 ‘엄지장갑’이다. 남들이 흔히 ‘벙어리장갑’이라 부르는 그것. 청각장애를 가진 어머니를 둔 청년에겐 완두콩이었다. 엄지손가락만 따로 가르고 나머지 네 손가락은 함께 끼게 되어 있는 그 장갑에서 청년은 다수가 아닌 떨어져 있는 소수 ‘엄지’에 주목, ‘엄지장갑’이라 부르자는 캠페인을 벌였다. 이베이 코리아의 사회공헌팀에서 일하는 지금은 부지런히 남의 완두콩을 좇고 있다.

스트레스 수치마저도 일반인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스트레스 어벤저스’인 그다. 마냥 착한 청년의 얘기라고 해서 그저 그런 ‘happily ever after’(영원토록 행복하게) 말고, 각박한 세상 속 희망의 증거처럼 연출 없는 청년의 말을 들어 보자.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8-12-07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