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은 ‘아버지가 가출했다’로 시작한다. 아버지의 올해 나이는 일흔둘. 실종, 납치 등의 경우의 수를 떠올리기엔 너무도 떡하니 편지를 쓰고 나갔다. ‘나를 찾지 마라. 미안하다’
아버지의 가출을 기화로 집으로 모여드는 식구들. 아버지가 있을 땐 ‘냄새가 밴다’는 이유로 꿈도 못 꿨던 엄마표 청국장을 맛나게 먹는 삼남매다. 아버지의 가출을 기화로 형제들은 평소에는 몰랐던 서로의 속사정(첫째 오빠의 오랜 꿈과 둘째 오빠가 두 번째 아이를 안 갖는 이유 등)을 알게 되고, 집에 혼자 있는 엄마를 살뜰히 챙긴다. 조카들도 평소에는 ‘접근 불가‘
였던 아버지의 서재에서 일력을 찢으며 논다.
‘가출’은 아버지의 부재라는 작가 개인의 경험에서 출발했다. 2010년 10월, 아버지의 장례라는 불의의 일을 겪은 작가는 ‘아버지가 가출했다’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초고를 써놓고 쓰고 지우기를 반복했단다. 너무 자기 얘기가 많이 들어간 거 같아서.
‘가출’에서 작가가 아버지 탓을 하는 것은 아니다. 아버지도 결국은 이 가부장 문화를 못 견뎌서 떠나지 않았던가. “권위적인 아버지들이 문제라거나 아버지 때문에 가족들이 불행하다고 말하려던 것은 아닙니다. 이 지독한 가부장 문화는 누구를 행복하게, 혹은 불행하게 하는지 묻고 싶었습니다. 소설을 쓰며 제가 얻은 답은 소설의 결말과 같습니다.” 작가의 ‘창작노트’에 적힌 말이다. 이제 실종되는 것은 엄마가 아니라 아버지이고, 그 부재 속에서 남은 가족들은 절절한 그리움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비로소 각자의 방식으로 해방된다는 작품 해설과 함께 곰곰 되씹어 볼 말이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