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속의 은둔자/마이클 핀클 지음/손성화 옮김/살림/312쪽/1만 4000원
몇 시인지도 모를 깊은 밤 캠핑장. 타오르는 모닥불을 초점 없이 바라본다. 풀벌레 소리만 간간이 들릴 뿐, 주위는 고요하다. 아내와 아이는 텐트에서 곤히 자고 있다. 풀 냄새와 섞인 장작 타는 냄새가 이따금 코를 간질인다. 따뜻한 커피 한 모금이 목을 타고 내려간다. 고개 들어 하늘을 보니 수를 헤아리기조차 어려운 별들이 하염없다. 고단한 사회생활에 지친 것일까. 가끔은 나라는 존재가 모닥불 연기처럼 지워지는 상상을 해 본다. 나무로 둘러싸인 숲속 오두막에서 조용히 사색하며 사는 삶도 괜찮을 것 같다.
이쯤 되면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수필 ‘월든’을 떠올릴 것이다. 소로는 외딴 숲속 월든 호숫가에 손수 오두막을 짓고 1845년부터 2년 2개월 동안 홀로 살았다. 그는 사색을 통해 대자연을 예찬하고 탐욕스런 문명사회를 비판했다. 소로를 비롯해 역사적으로 수많은 은둔자가 있었지만, 크리스토퍼 나이트만큼 기괴한 은둔자가 있을까 싶다. 스무 살 때 갑자기 집을 떠나 숲속으로 들어간 그는 무려 27년 동안 혼자 살았다. 소로와 다른 점이 있다면, 주변 오두막을 찾아다니며 생필품을 몰래 훔쳤다는 것. 그는 해마다 40여건의 도둑질을 했다고 시인했는데, 따져 보니 대략 1000여건이 넘는다.
‘숲속의 은둔자’는 2013년 세상에 알려진 나이트의 삶을 추적한 기록이다. 유명 저널리스트 마이클 핀클이 뉴스에서 나이트의 소식을 접하고 강렬한 흥미를 느껴 편지를 보내면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구치소에 들어간 뒤 간수와 말조차 하지 않던 나이트는 핀클에게 답신을 보내고 면회를 허락한다. 핀클은 아홉 차례 나이트를 면회하고, 그가 살았던 야영장을 수차례 답사한다. 야영장 인근 주민, 나이트를 상담한 정신과 의사, 변호사, 경찰, 가족에 이르기까지 모두 140여명을 취재해 입체적으로 그를 분석했다.
나이트는 고교를 졸업하고 미국 보스턴 외곽에서 집과 자동차에 보안 장치를 설치하는 일을 했다. 그러다 1986년 어느 날 차를 타고 가다 갑자기 미국 메인주의 노스폰드 인근 숲속으로 들어간다. 필요한 생필품을 구하고자 도둑질이 잦자 경찰이 그를 뒤쫓는다. 10년 넘게 족적, 저공비행, 지문 채취 등을 통해 추적했지만 그를 잡지 못한다. 2013년 4월 어느 날 밤 오두막에서 물건을 훔치다 체포된 뒤에야 그의 존재가 알려진다.
저자가 파헤친 그의 삶은 기막힐 정도다. 바위로 둘러싸인 요새 같은 곳에서 책을 깔아 침대를 만들고, 비닐 방수포로 텐트를 만들었다. 필요한 것은 주변 캠핑장이나 오두막에서 훔쳤는데, 값비싼 물건은 놔두고 자신에게 필요한 물건만 훔쳤다.
TV를 보려고 배터리를, 음식을 하려고 프로판가스를 가져왔다. 휴가객의 통나무집에서 읽을거리를 들고 오기도 했다. 그는 도스토옙스키가 쓴 ‘지하 생활자의 수기’를 가장 좋아했다. 언뜻 ‘숲속의 은둔자’라고 하면 떠올릴 덥수룩한 수염, 더러운 옷과도 거리가 멀었다. 그는 항상 깨끗하게 세탁한 옷을 입고, 매일 샤워하고 면도도 했다. 가장 가까운 휴가용 통나무집에서 걸어서 3분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곳이었지만, 들킨 적이 없다. 워낙 요새인 데다가 그가 극도로 주의했기 때문이다. 딱 한 번 우연히 누군가와 숲에서 마주쳤는데, 들키지 않으려 “안녕하세요”라고 말한 게 27년 동안 나눈 대화의 전부였다.
기괴한 그의 삶도 재밌지만, 직업도 있고 머리도 좋고 자동차도 새로 산 스무 살 청년이 왜 갑자기 숲으로 들어갔느냐가 가장 궁금할 터다. 그는 이 물음에 “세상에 존재하기를 중단한 것”이라고 답한다. 나이트의 이런 삶의 방식에서 볼 때, 소로는 사실상 ‘은둔자’라 하기 어렵다. 소로는 오두막에서 지내며 콩코드라는 도시에서 사람들과 어울렸고, 어머니와 함께 자주 식사를 했다. 나이트는 이런 소로를 가리켜 “진정한 은둔자가 아니라 ‘딜레탕트’(피상적인 호사가)”라고 비판했다. 책을 쓰는 것, 생각을 상품으로 포장하는 것은 은둔자가 할 만한 일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저자는 나이트가 왜 숲에서 살았는지를 ‘외로움’으로 해석한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외로운 존재다. 죽을 때까지 외로움을 두려워하고 피하다 결국 외롭게 죽는다. 외로움의 극단에서 27년을 살았던 인간의 삶을 통해 우린 외로움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 저자는 외로움을 온전히 받아들인 나이트의 삶에 관해 이렇게 말한다. “어찌 보면 완벽한 인생 아니었느냐”고.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크리스토퍼 나이트.
살림 제공
살림 제공
이쯤 되면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수필 ‘월든’을 떠올릴 것이다. 소로는 외딴 숲속 월든 호숫가에 손수 오두막을 짓고 1845년부터 2년 2개월 동안 홀로 살았다. 그는 사색을 통해 대자연을 예찬하고 탐욕스런 문명사회를 비판했다. 소로를 비롯해 역사적으로 수많은 은둔자가 있었지만, 크리스토퍼 나이트만큼 기괴한 은둔자가 있을까 싶다. 스무 살 때 갑자기 집을 떠나 숲속으로 들어간 그는 무려 27년 동안 혼자 살았다. 소로와 다른 점이 있다면, 주변 오두막을 찾아다니며 생필품을 몰래 훔쳤다는 것. 그는 해마다 40여건의 도둑질을 했다고 시인했는데, 따져 보니 대략 1000여건이 넘는다.
크리스토퍼 나이트가 27년 동안 들키지 않고 숨어 지낸 숲속의 텐트.
살림 제공
살림 제공
나이트는 고교를 졸업하고 미국 보스턴 외곽에서 집과 자동차에 보안 장치를 설치하는 일을 했다. 그러다 1986년 어느 날 차를 타고 가다 갑자기 미국 메인주의 노스폰드 인근 숲속으로 들어간다. 필요한 생필품을 구하고자 도둑질이 잦자 경찰이 그를 뒤쫓는다. 10년 넘게 족적, 저공비행, 지문 채취 등을 통해 추적했지만 그를 잡지 못한다. 2013년 4월 어느 날 밤 오두막에서 물건을 훔치다 체포된 뒤에야 그의 존재가 알려진다.
TV를 보려고 배터리를, 음식을 하려고 프로판가스를 가져왔다. 휴가객의 통나무집에서 읽을거리를 들고 오기도 했다. 그는 도스토옙스키가 쓴 ‘지하 생활자의 수기’를 가장 좋아했다. 언뜻 ‘숲속의 은둔자’라고 하면 떠올릴 덥수룩한 수염, 더러운 옷과도 거리가 멀었다. 그는 항상 깨끗하게 세탁한 옷을 입고, 매일 샤워하고 면도도 했다. 가장 가까운 휴가용 통나무집에서 걸어서 3분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곳이었지만, 들킨 적이 없다. 워낙 요새인 데다가 그가 극도로 주의했기 때문이다. 딱 한 번 우연히 누군가와 숲에서 마주쳤는데, 들키지 않으려 “안녕하세요”라고 말한 게 27년 동안 나눈 대화의 전부였다.
기괴한 그의 삶도 재밌지만, 직업도 있고 머리도 좋고 자동차도 새로 산 스무 살 청년이 왜 갑자기 숲으로 들어갔느냐가 가장 궁금할 터다. 그는 이 물음에 “세상에 존재하기를 중단한 것”이라고 답한다. 나이트의 이런 삶의 방식에서 볼 때, 소로는 사실상 ‘은둔자’라 하기 어렵다. 소로는 오두막에서 지내며 콩코드라는 도시에서 사람들과 어울렸고, 어머니와 함께 자주 식사를 했다. 나이트는 이런 소로를 가리켜 “진정한 은둔자가 아니라 ‘딜레탕트’(피상적인 호사가)”라고 비판했다. 책을 쓰는 것, 생각을 상품으로 포장하는 것은 은둔자가 할 만한 일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저자는 나이트가 왜 숲에서 살았는지를 ‘외로움’으로 해석한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외로운 존재다. 죽을 때까지 외로움을 두려워하고 피하다 결국 외롭게 죽는다. 외로움의 극단에서 27년을 살았던 인간의 삶을 통해 우린 외로움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 저자는 외로움을 온전히 받아들인 나이트의 삶에 관해 이렇게 말한다. “어찌 보면 완벽한 인생 아니었느냐”고.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8-10-12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