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벨스 최측근 비서 폼젤의 생전 증언
“남들보다 잘살려 하고 최선 다한 것뿐”자기 성공만 생각… 사회적 불의엔 둔감
현재 美우선주의·극단적 인종주의 득세
평범한 이들의 각성·용기 있는 행동 제안
어느 독일인의 삶/브룬힐데 폼젤 지음/토레 D 한젠 엮음/박종대 옮김/328쪽/1만 5000원
자신의 삶을 증언해 세상을 놀라게 한 나치 독일 수뇌부의 마지막 생존자 브룬힐데 폼젤의 2013년 모습(위).1942년부터 1945년 독일 패망 때까지 괴벨스의 비서이자 독일 선전부 속기사로 일하던 무렵의 브룬힐데 폼젤(아래 사진). 열린책들 제공
‘나치당의 뇌’로 회자되는 괴벨스는 나치 선전과 미화의 총책이었던 핵심 인물. 히틀러가 죽은 다음날 포위된 벙커에서 자살했다. 폼젤은 ‘나치 나팔수’ 괴벨스의 최측근 여인이다. 베를린의 부유한 집에서 자라나 나치당에 가입했고 방송국에서 일하다가 1942년부터 독일 항복 때까지 괴벨스의 비서이자 선전부의 속기사로 활동했다. 러시아군에 체포돼 5년간 특별수용소에 수감됐다가 풀려났고 지난해 1월 106세로 사망했다.
“어떻게든 남들보다 잘살려고 하고, 맡은 일에서 최선을 다해 인정받으려 한 게 그렇게 잘못된 일일까요?” 폼젤의 증언은 일관된 맥락을 유지한다. 더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 나치당에 가입한 뒤 방송국에 취직했고 선전부에 들어갔을 때도 선택받은 것 같아 기분 좋았을 뿐이라고 한다. “대수롭지 않은 일들을 다뤘고, 의무를 다한 자신이 자랑스럽게 느껴졌었다”고 말한다. 그 일관된 항변은 나치의 지향과 만행의 심각성을 몰랐다는 쪽으로 모아진다. “난 그 시절 껍데기로만 살았어요 어리석게도”, “1933년 이전 유대인 문제를 생각한 이들은 소수였어요. 나중에 우리는 전쟁으로 모든 것을 잃고 베르사유조약으로 사기당했다고 배웠어요. 우리는 히틀러의 등장과 함께 무슨 일이 닥칠지 전혀 몰랐어요.”….
폼젤은 소련군이 베를린에 진입해 시가전을 벌이던 전쟁 막바지에도 도주하지 않고 벙커에서 타자를 쳤다. 히틀러의 공식 항복을 알리는 깃발도 직접 만들었던 그가 히틀러와 나치의 위험성이며 만행을 정말 몰랐을까. 이 대목에서 토해 낸 증언이 도드라진다. “아무리 생각해도 난 잘못한 게 없어요. 그러니 져야 할 책임도 없죠. 혹시 나치가 결국 정권을 잡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독일 민족 전체에게 책임을 묻는다면 그건 어쩔 수 없지만요. 그건 우리 모두가 그랬어요.”
‘개인주의와 사회공익이 충돌할 때 어떤 입장을 취할 것인가.’ 책은 바로 그 점을 집중적으로 파고든다. 당시 독일 국민은 ‘위대한 조국’과 ‘경제적 번영’이라는 구호에 압도당한 채 극우 포퓰리스트들에게 압도적 지지를 보냈다. 지금은 어떤가. 미국 우선주의와 극단적 인종주의가 판을 치고 있다. 옮긴 이는 이렇게 비교한다. “우익 포퓰리스트들은 오래전 나치가 유대인에게 그랬듯 난민들을 사회적 혼란과 고통의 원인으로 지목하며 개인적 이기주의와 민족적 우선주의를 부추긴다. 80여전 전 나치의 부상 과정이 자연스레 떠오른다.”
저자는 마지막까지 폼젤에 대한 평가를 유보한 채 독자들의 몫으로 남기고 있다. 그저 이렇게 묻고 있다. “자기 자신의 성공과 물질적 안정만 생각하고 사회적 불의와 타인에 대한 차별에는 둔감한 수백만 명의 폼젤은 여론을 조작하는 권위적인 시스템의 견고한 토대다. 우리는 이대로 비겁하게 숨을 것인가, 아니면 맞서 싸울 것인가.”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8-08-17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