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이웃의 식탁’ 출간 구병모 작가
“외딴 곳서 공동육아하는 네 가족, 개념·현실의 괴리 깨닫는 이야기”구병모 작가는 신작 장편 소설 ‘네 이웃의 식탁’에서 ‘이웃’이라는 이름의 공동체로 묶인 젊은 부부들이 공동 육아를 하면서 겪는 삶의 균열을 포착한다.
민음사 제공
민음사 제공
편의시설 하나 없는 산 속에 지은 작은 아파트에 모여 사는 네 가족은 공동체 생활과 교육의 기반을 다지자는 목적 아래 공동 육아를 시작한다. 출산을 장려한다면서도 예산 문제 때문에 정작 꿈미래실험공동주택 내에 어린이집이 마련되지 않은 탓이다. 처음엔 순조로운 듯싶었지만 공동 육아의 책임은 오롯이 여성에게 돌아왔다. 맞벌이 부부이거나 직장이 없는 남편이 집에서 살림을 한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마을에서 공동 육아를 실천하는 분들의 수기를 담은 책을 읽은 적이 있어요. 목차를 보니 대부분 ‘함께하는 엄마’, ‘엄마 교육’처럼 목차 내용이 엄마 위주더라고요. 분명 마을 육아인데 말이죠. 제가 지난해 발표한 단편 ‘한 아이에게 온 마을이’에서 마을 사람들의 지나친 관심과 참견 때문에 그 공동체를 떠나는 임신부 여성을 다뤘듯이 현대인은 타인과의 적절한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분투하잖아요. 이런 상황에서 인간적인 결속을 중시하는 과거의 공동체가 현재에도 과연 유효할까요.”
작가는 특히 출산이 한 사람의 인생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고려하지 않은 채 출산 정책을 마련하는 정책 담당자들의 안이한 태도를 꼬집었다.
“보통 언론에서 ‘출산율이 바닥을 친다’는 말을 많이 하죠. 저는 ‘저출산’이라는 단어 자체가 여성에게 출산의 책임을 전가하는 의미가 크다고 봐요. 출산율은 ‘한 여성이 가임 기간에 낳는 출생아 수’를 뜻하는데, 마치 사람을 가축을 셈하듯 대하는 느낌이 들어요. 지금껏 여러 출산 정책이 나왔지만 제 기능을 못 한 건 인간이 인간인 것을 인식하지 못한 탓입니다. 이 책을 통해 이 이야기가 우리 모두의 일일 수도 있다는 걸 실감했으면 좋겠어요.”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06-2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