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간 7개 문학상 수상 장강명 작가의 내부고발 ‘당선, 합격, 계급’ 출간
출판사가 신인들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 만든 문학상 공모전. 그러나 이 제도가 오히려 출판계에 독이 됐다는 주장이 담긴 책이 나와 눈길을 끈다. 특히 저자가 2010년 이후 ‘최단 기간 최다 문학상 수상자’인 장강명 작가여서 화제가 된다. 그가 내놓은 문제작은 ‘당선, 합격, 계급’(민음사). 기자 출신의 장 작가는 2011년 장편소설 ‘표백’으로 한겨레문학상을 받은 후 제주4·3평화문학상, 문학동네작가상, 오늘의작가상 등 8년 동안 7개 문학상을 휩쓸었다.장강명 작가
장 작가는 직설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9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등단을 원하는 작가 지망생, 문학상의 마케팅 파워를 노린 출판사, 그리고 베스트셀러에 집중하는 독자가 맞물리면서 출판계의 부실을 불렀다”고 말했다. 문학상 수상작만 주목받으면서 문학계가 공모전에 매몰됐고, 역설적으로 문학의 토양이 척박해지는 악순환이 이어진다는 지적이다.
장 작가는 얽히고설킨 악순환 고리를 밝히기 위해 출판사 대표, 편집자를 비롯한 60여명을 취재했다. 그러면서 현재 운영 중인 장편소설 공모전 가운데 가장 역사가 오래된 문학동네소설상(1994년) 등 국내 14개 문학상의 명암을 쫓았다. 그의 취재담에 비춰 보면 문학계에는 한때 상금이 1억원에 이르는 문학상이 등장하는 등 과열 경쟁과 상업적 마케팅이 유행했다. 출판사들이 공모전을 우후죽순 만들면서 출판계 전체가 문학상을 중심으로 돌고 도는 구조로 변질됐다. 색깔 없는 비슷한 공모전이 횡행하면서 파격적인 작품이 나오지 못하는 풍토로 바뀐 셈이다.
장 작가는 신인작가나 경력작가 모두 공모전에 골몰하고, 공모전을 통과하지 않은 좋은 작품은 소리소문 없이 사라지는 현실에 관해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개인의 능력을 제대로 따지기보다 ‘시험을 몇 년도에 통과했느냐’를 따지는 일은 관료제나 신분사회를 떠올리게 합니다. 이런 사회에서는 역동적인 작품이 나올 수가 없어요. 결과적으로 시험을 통해 간판을 얻는 시스템이 문학계의 역동성을 저해하는 것이죠.”
장 작가는 “‘시험을 없애자’는 식으로 시스템을 일순간에 폐지하자는 게 대안이 될 수 없고, 그런 논의 자체도 비효율적”이라면서 “이를 보완해 사회적 신뢰와 역동성이 생생하게 작동할 수 있는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간판 말고는 평가할 게 없다 보니 간판의 힘이 더 커지는 거예요. 간판의 힘을 어떻게 낮춰야 하는지를 논의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시스템을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더 많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간판이 아니라 가게 안에서 파는 물건을 보여 주면 소비자들의 선택이 더 수월해지지 않을까요.”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사진 장강명 제공
2018-05-1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