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한 마리가 술집에 들어왔다/다비드 그로스만 지음/정영목 옮김/문학동네/324쪽/1만 3800원
이 소설은 딱 2시간 동안 펼쳐진 ‘스탠딩 코미디쇼’에 대한 이야기다. 말이 코미디지 사실은 심오한 농담으로 가득 찬 한 편의 ‘인간 극장’에 가깝다. 무대에 오른 코미디언이 던진 농담은 시시껄렁한 듯하지만 뒤끝이 씁쓸하다. 또 하찮은 이야기 같지만 가슴속 무언가를 건드리는 한 방이 제법 묵직하다. 이 코미디언이 관객에게 그리고 당신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는 도대체 무엇일까.
이스라엘의 도시 네타니아에 위치한 한 작은 클럽. 오늘 쉰일곱 번째 생일을 맞은 코미디언 도발레 G가 무대에 오른다. 158㎝ 키에 해골 같은 몰골로 공연에 나선 그는 종마같이 저돌적이고 직설적인 화법으로 좌중을 휘어잡는다. “쉰일곱이 되는 건 쉬운 게 아니야. 게다가 여기까지 온 건, 우리가 방금 들었듯이, 홀로코스트와 더불어 성경에서도 살아남은 뒤의 일이었단 말이야!”, “잠깐, (팔레스타인의) 정착촌에서도 왔다고? 그럼 누가 남아 아랍인을 두들겨 패려고?”와 같은 뼈 있는 농담도 마구 던진다. 관객들은 한바탕 웃다가도 한없이 심각해진다.
도발레를 바라보는 관객들 사이에 이 책의 화자가 앉아 있다. 도발레가 유일하게 이 쇼에 초대한 손님이자 3년 전 은퇴한 판사 아비샤이다. 2주 전 도발레는 어린 시절 함께 과외 수업을 받으며 잠시 우정을 나눴던 아비샤이에게 40여년 만에 대뜸 전화를 걸어 자신의 쇼를 보러 오라고 한다.
도발레가 도대체 왜 자신을 불렀는지 의아해하고 있었던 아비샤이는 수십년간 몰랐던 사실을 깨닫게 된다. 도발레가 이발사 아버지에게 수없이 맞고 자랐으며, 또래보다 왜소한 탓에 학교의 다른 아이들로부터 ‘출근 카드 찍듯이’ 폭력을 당한 것을. 폴란드 출신의 어머니가 홀로코스트에서 어렵게 살아남았지만, 수개월간 좁은 기차 안에서 은신한 기억 탓에 우울증을 앓았고, 그런 어머니를 위해 매일 저녁 노래를 부르고 코미디 촌극을 선보였다는 사실도. 관객들이 하나둘 자리를 뜨는 가운데 아비샤이만이 도발레가 수십년간 품어 온 고통의 근원을 끝까지 지켜본다.
이스라엘 정부의 극단적인 팔레스타인 점령 정책을 비판하는 평화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는 작가의 역사의식이 책 곳곳에 묻어난다. 작가는 유대인의 고통스러운 역사와 그 역사로 평생 고통받는 개인의 비극을 유머와 풍자를 곁들여 절묘하게 풀어낸다. 지난해 영국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말 한마리가 술집에 들어왔다
이스라엘의 도시 네타니아에 위치한 한 작은 클럽. 오늘 쉰일곱 번째 생일을 맞은 코미디언 도발레 G가 무대에 오른다. 158㎝ 키에 해골 같은 몰골로 공연에 나선 그는 종마같이 저돌적이고 직설적인 화법으로 좌중을 휘어잡는다. “쉰일곱이 되는 건 쉬운 게 아니야. 게다가 여기까지 온 건, 우리가 방금 들었듯이, 홀로코스트와 더불어 성경에서도 살아남은 뒤의 일이었단 말이야!”, “잠깐, (팔레스타인의) 정착촌에서도 왔다고? 그럼 누가 남아 아랍인을 두들겨 패려고?”와 같은 뼈 있는 농담도 마구 던진다. 관객들은 한바탕 웃다가도 한없이 심각해진다.
도발레를 바라보는 관객들 사이에 이 책의 화자가 앉아 있다. 도발레가 유일하게 이 쇼에 초대한 손님이자 3년 전 은퇴한 판사 아비샤이다. 2주 전 도발레는 어린 시절 함께 과외 수업을 받으며 잠시 우정을 나눴던 아비샤이에게 40여년 만에 대뜸 전화를 걸어 자신의 쇼를 보러 오라고 한다.
도발레가 도대체 왜 자신을 불렀는지 의아해하고 있었던 아비샤이는 수십년간 몰랐던 사실을 깨닫게 된다. 도발레가 이발사 아버지에게 수없이 맞고 자랐으며, 또래보다 왜소한 탓에 학교의 다른 아이들로부터 ‘출근 카드 찍듯이’ 폭력을 당한 것을. 폴란드 출신의 어머니가 홀로코스트에서 어렵게 살아남았지만, 수개월간 좁은 기차 안에서 은신한 기억 탓에 우울증을 앓았고, 그런 어머니를 위해 매일 저녁 노래를 부르고 코미디 촌극을 선보였다는 사실도. 관객들이 하나둘 자리를 뜨는 가운데 아비샤이만이 도발레가 수십년간 품어 온 고통의 근원을 끝까지 지켜본다.
이스라엘 정부의 극단적인 팔레스타인 점령 정책을 비판하는 평화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는 작가의 역사의식이 책 곳곳에 묻어난다. 작가는 유대인의 고통스러운 역사와 그 역사로 평생 고통받는 개인의 비극을 유머와 풍자를 곁들여 절묘하게 풀어낸다. 지난해 영국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04-2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