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프 패럴 ‘도시의 쓰레기 탐색자’
쓰레기 대란, 정확히 말하면 재활용품 대란이 일어날 태세다. 폐비닐로 시작된 재활용품 수거업체들의 수거 거부는 플라스틱과 폐지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중국의 폐자원 수입 중단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따지고 들면 정부의 정책 실패도 한몫한다. 과거 정부는 폐비닐을 신재생에너지로 띄웠지만, 이제는 폐비닐로 만든 고형원료가 미세먼지 발생의 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뒤늦게 중재안이 나왔지만 여전히 폐비닐 수거를 거부하는 곳도 있고,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할 경우 과태료를 낼 수도 있어 숱한 가정들은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다.연합뉴스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페럴 교수가 쓰레기를 통해 보게 된 것은 두 가지, 불평등한 세상과 소비가 아닌 낭비로 점철된 세계다. 사실 두 가지는 하나의 문제라고도 할 수 있다. 끝없이 확산되는 소비문화는 계층을 가리지 않고 나타난다. 잘살건 못살건 “문화적 물질주의에 기반한 글로벌 경제의 대량생산과 그 결과로 나타난 낭비”를 해야만 살 수 있는 게 오늘날 지구의 풍경이다. 물론 낭비는 부유층에서 두드러진다. 뜯지도 않고 선물을 버리는가 하면 1년도 아니고 한두 달 쓰고 버리는 물건들마저 수두룩하다. 이는 곧 빈부 격차가 미국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하나의 지표라고 페럴 교수는 강조한다.
일주일에 한 번, 재활용품을 내놓을 때마다 나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솔직히 고백하건대, 쓰레기가 많아 귀찮다고 생각했을 뿐 그것이 내 삶의 일부이자 곧 나라는 생각은 못했다. 애꿎은 중국과 정부 정책을 탓하기 전에, 그것을 사용한 나는 누구인가를 다시금 생각할 때가 아닐까 싶다.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2018-04-0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