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인내하며 번역… 난해한 작품에 재미를 느꼈죠”

“30년 인내하며 번역… 난해한 작품에 재미를 느꼈죠”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18-03-29 22:32
수정 2018-03-30 16: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임스 조이스 ‘피네간의 경야’ 개역판 낸 김종건 고대 명예교수

“책 한쪽 읽는 데 사전을 100번 넘게 들췄어요. 전체 628쪽이니까, 굉장한 작업이었죠. 이렇게 고생하느라고 다 늙어버렸네. 허허.”
이미지 확대
지난 26일 경기 용인의 자택에서 만난 김종건 고려대 명예교수가 ‘피네간의 경야’ 원서를 펼쳐 들었다. 김 교수는 조이스를 ‘천재’라고 했다. “보통 사람을 초월하는 초인간이자 만물박사지. 조이스를 연구하려면 인내를 갖고 꾸준히 해야 해요. 그것이 인간 생활의 목적이고 또 즐거움이죠.”
지난 26일 경기 용인의 자택에서 만난 김종건 고려대 명예교수가 ‘피네간의 경야’ 원서를 펼쳐 들었다. 김 교수는 조이스를 ‘천재’라고 했다. “보통 사람을 초월하는 초인간이자 만물박사지. 조이스를 연구하려면 인내를 갖고 꾸준히 해야 해요. 그것이 인간 생활의 목적이고 또 즐거움이죠.”
너무나도 난해한 작품에 골몰한 탓일까. 반세기 넘도록 제임스 조이스(1882~1941) 연구에 매진한 김종건(84) 고려대 명예교수의 머리가 희게 셌다. 지난 26일 경기 용인 자택에서 그를 만나 30일 출간되는 ‘복원된 피네간의 경야’(어문학사)에 대해 물었다. 조이스 관련 서적이 빼곡한 책장 앞에서 노학자는 잠시 서성였다. 이내 두툼한 ‘피네간의 경야’ 원서를 뽑아 들고 말을 이어 갔다. 차분히 대화를 이어 가며 힐끗 엿본 그의 손때 묻은 원서엔 지난 세월 연구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이미지 확대
제임스 조이스 서울신문 DB
제임스 조이스
서울신문 DB
‘읽을 수 없는 책.’ 조이스의 역작 ‘피네간의 경야’는 이런 별명이 붙을 정도로 악명이 높다. 그의 대표작 ‘율리시스’와 함께 20세기를 대표하는 난해한 문학작품으로 손에 꼽는다. 구성이나 내용은 물론 작품에 쓰인 단어 하나조차 제대로 이해하기 버겁다. 60개 이상 언어로 된 6만 4000개 정도의 단어가 작품에 쓰였다. 자신이 17년 동안 쓴 ‘피네간의 경야’를 두고 조이스는 ‘괴물’(Monster)이라고 불렀다. 사전에 없는 단어도 조이스는 만들어냈다. 발음 등 음성적 특질을 이용한 언어 유희도 곳곳에서 구사했다. 남다른 언어적 직관이 없다면 외국인으로선 번역은커녕 제대로 이해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번역은 모험이었다. 누구도 쉽게 덤벼들지 못했다. 그는 미국에서 공부하던 젊은 영문학도 시절을 떠올렸다. “여름학기였어요. 네덜란드인 교수 지도로 이 작품을 접했습니다. 눈앞이 캄캄해졌어요. 교수 충고는 따끔했지요. ‘인내하라.’ 참고 읽었습니다. 점점 재미를 느꼈죠.” 그렇게 30년쯤 흘렀을까. 2002년 김 교수는 ‘피네간의 경야’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데 성공했다. 이 책이 외국어로 번역된 건 세계에서 네 번째다. 초역 이후 2012년에 이은 세 번째 개역판. 그는 “번역을 할수록 자꾸 새로운 게 나와요”라고 설명했다.

‘피네간의 경야’엔 특별한 줄거리가 없다. 주인공 이어위커가 1938년 3월 21일 하룻밤 동안 더블린 외곽에 있는 자신의 술집에서 꾸는 꿈 얘기다. 어느 것이 현실이고, 환상인지 가늠하기 어렵다. 주인공의 무의식이 600쪽 이상에 걸쳐 어지러이 펼쳐진다. 신학·불교·수학·음악·고고학 등 세상의 모든 지식이 주인공의 무의식에서 쏟아진다. 작품명에 대한 해석도 분분하다. ‘경야’(Wake)는 죽은 사람 곁에서 밤을 새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단어의 다의성 때문에 제목은 여러 갈래로 읽힌다.

아직 일반독자가 편하게 읽긴 어려운, 이 소설에 대해 노학자는 확신을 갖고 말했다. “인간이란 끝없이 개발하고 연구하는 존재 아니겠어요. 그게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이죠. 어렵지만 인내해 보시길. 그렇다고 욕심을 내선 안 돼요. 하루에 반쪽이 적당합니다. 차근차근 읽어가 보세요. 끝에 도달했을 때, 작품은 무한한 즐거움을 줄 거예요.”

번역은 단순히 말을 옮기는 게 아니다. 또 다른 세계를 창조하는 과정이다. 스스로를 ‘둔재’라고 낮춘 노학자는 ‘세기의 천재’ 조이스의 작품을 번역했단 것 이상의 자부심을 가졌다. 여든을 훌쩍 넘긴 나이지만, 그의 열정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조이스가 그랬어요. 수세기 동안 대학교수들이 내 작품 읽느라 바쁠 거라고. 허풍이 아니었죠. 실제로 그러고들 있으니까요. 저도 마찬가지죠. 제가 살아 있는 한 자꾸 연구하고 번역할 겁니다. 매번 봐도 새로운 게 또 보이니까요. 그러면서 점점 나아져 가는 거겠죠.”

글 사진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18-03-3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