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의 예찬/한병철 지음/김영사/184쪽/1만 3000원
땅의 깊이를 측정하고
땅의 품 안에서
모든 노고를 잊는
사람이 땅의 주인,
그는 땅과 결합되어
내적으로 친하니
땅이 마치 신부인 양
땅에 열광하네
현대사회의 본질을 예리하게 통찰하던 철학자가 정원사가 됐다. ‘피로사회’, ‘투명사회’ 등의 저작들을 통해 신자유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자기착취 현상을 비판해 독일과 한국에서 반향을 일으킨 한병철(59) 베를린예술대 교수 얘기다.
그는 최근 3년간 매일 정원 일에 매달렸다. 어느 날 땅에 더 가까워지고 싶다는 동경, 날카로운 욕구가 그를 추동했기 때문이다. 정원에서 흙과 식물을 손으로 만지고 쓰다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한 교수는 경이로운 체험을 하게 된다. 그는 온통 몸과 마음을 현혹하는 땅의 아름다움에 대한 존경심이 커졌다고, 그러면서 대지가 신의 창조물임을 깊이 확신하게 됐다고 토로한다.
책에서 그는 자신이 길러내는 식물들을 하나씩 호명한다. 아네모네, 미선나무, 동백, 영춘화, 겨울바람꽃, 풍년화, 옥잠화, 나무수국, 노루귀 등 수많은 나무와 화초, 꽃들의 그윽한 향과 섬세한 생김새를 글로 그려낼 뿐 아니라 식물들이 등장하는 문학과 철학 텍스트들을 짚어가며 인문학적 성찰도 전한다. 무엇보다 저자 자신이 이 고귀한 생명체들과 맺어가는 관계에 대한 이야기, 사적인 고백들을 풍성한 결로 들려준다.
몸은 피곤과 땀에 절여지지만 정원은 그에게 시간의 향기와 몸의 현실감, 계절과 땅의 리듬을 깨우는 ‘구원의 장소’였다. “이 책의 많은 구절은 땅과 자연을 향한 기도이자 고백, 곧 사랑의 고백”이라고 말하는 한 교수는 생산성을 높이려는 인간이 자기착취에 그치지 않고 자연을 잔인하게 착취하고 파괴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그러면서 이 몰락의 고리를 끊고 땅과 새로운 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당부한다. “오늘날은 그 어느 때보다 ‘땅의 찬가’가 필요한 때”라며.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땅의 깊이를 측정하고
땅의 품 안에서
모든 노고를 잊는
사람이 땅의 주인,
그는 땅과 결합되어
내적으로 친하니
땅이 마치 신부인 양
땅에 열광하네
그는 최근 3년간 매일 정원 일에 매달렸다. 어느 날 땅에 더 가까워지고 싶다는 동경, 날카로운 욕구가 그를 추동했기 때문이다. 정원에서 흙과 식물을 손으로 만지고 쓰다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한 교수는 경이로운 체험을 하게 된다. 그는 온통 몸과 마음을 현혹하는 땅의 아름다움에 대한 존경심이 커졌다고, 그러면서 대지가 신의 창조물임을 깊이 확신하게 됐다고 토로한다.
책에서 그는 자신이 길러내는 식물들을 하나씩 호명한다. 아네모네, 미선나무, 동백, 영춘화, 겨울바람꽃, 풍년화, 옥잠화, 나무수국, 노루귀 등 수많은 나무와 화초, 꽃들의 그윽한 향과 섬세한 생김새를 글로 그려낼 뿐 아니라 식물들이 등장하는 문학과 철학 텍스트들을 짚어가며 인문학적 성찰도 전한다. 무엇보다 저자 자신이 이 고귀한 생명체들과 맺어가는 관계에 대한 이야기, 사적인 고백들을 풍성한 결로 들려준다.
몸은 피곤과 땀에 절여지지만 정원은 그에게 시간의 향기와 몸의 현실감, 계절과 땅의 리듬을 깨우는 ‘구원의 장소’였다. “이 책의 많은 구절은 땅과 자연을 향한 기도이자 고백, 곧 사랑의 고백”이라고 말하는 한 교수는 생산성을 높이려는 인간이 자기착취에 그치지 않고 자연을 잔인하게 착취하고 파괴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그러면서 이 몰락의 고리를 끊고 땅과 새로운 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당부한다. “오늘날은 그 어느 때보다 ‘땅의 찬가’가 필요한 때”라며.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8-03-1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