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억년 전부터 시작된 ‘육식욕’의 정체

15억년 전부터 시작된 ‘육식욕’의 정체

입력 2018-03-16 22:38
수정 2018-03-16 23: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기를 끊지 못하는 사람들/마르타 자라스카 지음/박아린 옮김/메디치미디어/400쪽/1만 7000원
이미지 확대
그것이 병이라면, 현재 우리나라에는 그 병이 대유행 중이다. 적어도 “고기를 향한 과도한 갈망”을 ‘구암바’ 병이라고 부른 이들의 눈엔 그렇다. “저기압일 때는 고기 앞으로 가라”, “어차피 사는 건 고기서 고기다”를 구호로 내세우며 매일 전국적으로 불판 위에 구워서, 볶아서, 쪄서, 튀겨서 먹는 고기의 양을 생각하면 아찔하다. 병이라고까지 할 수는 없어도 일반적인 굶주림과는 다른 ‘육식욕’이라는 건 확실히 존재한다. 중앙아프리카의 음부티 부족은 ‘에쿠벨루’라고 부르고, 볼리비아의 토착민 유키는 ‘아이바시’라고 부르는 그것. 뉴기니의 메케오 부족은 채식욕이 복부에서 시작되며 육식욕은 목구멍에서 시작된다고 했다는데, 도대체 이 정체 모를 ‘육식욕’은 어디서 온 것일까?

과학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채식주의자가 되기를 시도하다 거듭 실패하는 어머니를 보며 인간의 ‘육식욕’이 어디서 왔고 왜 지속되는지 궁금해한다. 온대성 바다에서 고대의 박테리아가 다른 생물을 잡아먹기 시작하는 15억년 전부터 시작된 이 유구한 육식의 역사는 인간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복잡해진다. 저자는 고기에 끌리는 많은 중독 요인들을 하나하나 짚어 본다. 유전자, 문화, 역사는 물론 정육업계의 힘과 정부의 정책까지.

복잡한 전문용어와 숫자들이 빼곡하기는 하지만, 궁극적으로 이 책은 사랑 이야기이다. 인류와 육류의 사랑 이야기다. “그 관계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왜 그토록 강렬하게 지속되고 있는지, 그리고 만약 끝이 있다면 어떻게 끝날지에 대한 이야기”라는 저자의 말 대로 이 책에는 미래의 전망도 담겨 있다.

한때는 육식이 인간을 만들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중요했지만 앞으로 육식의 미래는 밝지 않다. 육식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연구결과들, 동물의 권리에 대한 인식변화, 폭증하는 수요를 감당할 수 없는 현실, 환경의 문제 등이 인류를 슬며시 육류대체품으로 이끈다. 누군가에게는 절망이겠지만, 사실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식품의 선택지는 훨씬 늘었다. 열렬한 고기애호가에게는 왜 내가 고기를 사랑하는지 알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고, 채식주의자가 되려는 이들에게는 어떻게 하면 고기를 줄이고 끊을 수 있는지 알려 줄 것이고, 채식주의자라면 채식주의자가 아닌 주변 사람들을 이해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내가 먹는 것이 나를 만든다. 고로, 내가 먹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내 삶을 바꾼다.

박사 북칼럼니스트

2018-03-1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