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약자들의 말을 기록…인터뷰 ‘공감대’ 중요하나 과도한 해석은 경계해야
구술생애사는 청자가 화자의 이야기를 들은 뒤 이를 글로 정리한다는 점에서 기자들의 인터뷰 기사와 비슷하다. 하지만 화자 대부분이 뉴스의 대상이 되기 어려운 이들이고, 작업을 장기적으로 이어간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할배의 탄생’(이매진)을 비롯해 구술생애사 책 3권을 낸 이 분야 전문가 최현숙(61) 작가는 구술생애사에 관해 “자기 목소리를 내지 못한 사회 속 약자들의 말을 기록으로 남기는 일”이라 정의한다. 대상은 자신의 아버지나 어머니, 주변 지인을 비롯해 모두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들이 사회의 큰 흐름 속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엮어내야 한다. 화자가 살았던 시대의 굵직한 사건을 기록한 연표를 작성해야 하는 이유다. 최 작가는 “화자 대부분이 ‘내가 게을러서 가난하다’고 하는데, 사실상 이들의 가난은 사회 구조상의 문제인 경우가 태반”이라며 “개인의 이야기가 사회상과 연결될 때 구술생애사는 단순한 개인사에 그치지 않게 된다”고 강조했다.
글감 대상을 정했다면 주인공이 자신의 기억을 잘 끄집어내도록 준비한다. 예컨대 화자가 나온 초등학교 교가나 사진 등 관련 자료를 준비하면 신뢰도가 커지고 이야기의 질도 달라진다.
구술생애사의 핵심은 인터뷰이며, 인터뷰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라포(rapport) 형성’이다. 상담이나 치료, 교육 등에서 쓰이는 라포는 쉽게 말해 ‘공감대’를 뜻한다. 화자가 흥이 나서 계속 말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일도 중요하다. 최 작가는 “녹음기를 켜두고, 메모장에 간단한 메모만 하며 인터뷰를 진행하라. 도중에 맞장구를 쳐주면 좋다”고 했다. 이야기를 듣다가 미심쩍은 부분을 바로 그 자리에서 확인하면 흐름이 끊길 수 있으니 삼가는 게 좋다. 우선 메모하고, 다음 인터뷰에서 물어보는 게 낫다는 뜻이다.
인터뷰를 정리할 때에는 가급적 화자의 말투를 살리는 게 좋다. 최 작가는 “사투리나 문법에 맞지 않는 이야기라도 독자가 읽을 수 있을 수 있다면 그대로 남겨두라”고 조언했다. 청자 겸 작가가 과도한 해석을 하지 않도록 경계하는 일도 유의할 점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8-02-2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