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일기/정수복 지음/문학동네/316쪽/1만 6500원
파리의 여자들/장미란 지음/문학동네/376쪽/1만 6000원
파리에 가면 무엇으로부터도 종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부유할 수 있을 것만 같다. 예술품들이 내면을 향기롭고 풍요롭게 채워 주는 공간에서, 당대의 예술가들이 거닐고 담소했을 것 같은 거리와 공원에서.
하지만 파리 역시 치열한 삶의 전장이다. 누군가에겐 폭력을, 누군가에겐 혐오를, 누군가에겐 편견을 덧씌우는 도시다. 프랑스 여인들이 세계에서 가장 항우울제 복용량이 많은 건 그 때문이 아닐까. 프랑스 여인들은 자유로운 사상과 타인을 의식하지 않는 열정으로 무장한 채, 무심한 듯 아름다운 패션과 외모로 누구보다 당당한 삶을 영위할 것 같다는 ‘이미지’에 둘러싸여 있다.
하지만 프랑스에서 심리학 박사 논문을 쓰며 프랑스 여성들의 내면을 관찰한 심리학자 장미란은 그들 역시 번민하고 고통받으면서도 또다시 새 걸음을 내딛는, 우리와 같은 여성임을 성찰한다. 파리 부유층 아파트 경비로 20년 넘게 일했지만 아직도 ‘외부인’에 머무는 튀니지 출신 여성 라시다부터 물려받은 유산과 성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평생을 풍족하게 사는 프랑스 귀족 부인까지…. 저자가 다수의 프랑스 여성을 만나 사례연구와 소설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빚어낸 5명의 이야기는 나이, 가족 배경, 교육 정도, 사회계층, 직업, 인종과 상관없이 각자의 삶과 분투하는 여성의 초상을 보여 준다.
함께 펴 나온 ‘파리일기’는 장미란의 남편인 사회학자 정수복이 일상에서 자신의 내면과 분투한 소소하지만 충실한 기록이다. 한국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 가던 그는 익숙한 관계와 손 놓고 ‘정신적 망명’을 떠나기 위해 2002년 파리로 터전을 옮겼다.
특별한 목적 없이 하루하루를 기록한 15년 전 일기를 통해 그는 관광객이 아닌 생활인인 채로, 하지만 내부인은 아닌 외부인인 채로, 낯선 도시에서 오래 머물며 새로운 모색을 해 본 사람만이 건져 올릴 수 있는 사유와 성찰, 경험을 전한다. 2011년 말 파리에서 ‘은둔’을 끝내고 돌아온 저자는 이런 결론에 이른다.
‘파리에서 서울로 돌아온 이후 나이 예순을 넘어 나는 ‘지배하는 삶’, ‘즐기는 삶’, ‘음미하는 삶’이라는 세 가지 삶의 방식 가운데 가장 가치 있는 삶은 음미하는 삶이라는 생각에 도달했다. 삶을 음미하며 살기 위해서는 늘 생각하고 그것을 글로 쓰는 생활을 해야 한다는 것도 알게 됐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파리의 여자들/장미란 지음/문학동네/376쪽/1만 6000원
하지만 프랑스에서 심리학 박사 논문을 쓰며 프랑스 여성들의 내면을 관찰한 심리학자 장미란은 그들 역시 번민하고 고통받으면서도 또다시 새 걸음을 내딛는, 우리와 같은 여성임을 성찰한다. 파리 부유층 아파트 경비로 20년 넘게 일했지만 아직도 ‘외부인’에 머무는 튀니지 출신 여성 라시다부터 물려받은 유산과 성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평생을 풍족하게 사는 프랑스 귀족 부인까지…. 저자가 다수의 프랑스 여성을 만나 사례연구와 소설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빚어낸 5명의 이야기는 나이, 가족 배경, 교육 정도, 사회계층, 직업, 인종과 상관없이 각자의 삶과 분투하는 여성의 초상을 보여 준다.
함께 펴 나온 ‘파리일기’는 장미란의 남편인 사회학자 정수복이 일상에서 자신의 내면과 분투한 소소하지만 충실한 기록이다. 한국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 가던 그는 익숙한 관계와 손 놓고 ‘정신적 망명’을 떠나기 위해 2002년 파리로 터전을 옮겼다.
특별한 목적 없이 하루하루를 기록한 15년 전 일기를 통해 그는 관광객이 아닌 생활인인 채로, 하지만 내부인은 아닌 외부인인 채로, 낯선 도시에서 오래 머물며 새로운 모색을 해 본 사람만이 건져 올릴 수 있는 사유와 성찰, 경험을 전한다. 2011년 말 파리에서 ‘은둔’을 끝내고 돌아온 저자는 이런 결론에 이른다.
‘파리에서 서울로 돌아온 이후 나이 예순을 넘어 나는 ‘지배하는 삶’, ‘즐기는 삶’, ‘음미하는 삶’이라는 세 가지 삶의 방식 가운데 가장 가치 있는 삶은 음미하는 삶이라는 생각에 도달했다. 삶을 음미하며 살기 위해서는 늘 생각하고 그것을 글로 쓰는 생활을 해야 한다는 것도 알게 됐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8-02-1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