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앞에서 존엄을 지킬 수 있을까

죽음 앞에서 존엄을 지킬 수 있을까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8-01-19 22:32
수정 2018-01-19 23: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의 죽음이 삶이 되려면/허대석 지음/글항아리/256쪽/1만 4000원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의 한 해 사망자 수는 28만여명(2016년, 통계청) 정도다. 이 가운데 약 75%는 의료기관에서 사망한다. 암 환자의 경우는 좀더 높다. 약 90% 정도가 병원에서 임종을 맞는다. 이는 환자 스스로 삶을 마무리하거나 가족과 함께 지내며 생애 마지막 시간들을 보내기보다 인공호흡기 같은 연명 장치에 의존해 병원 중환자실에서 보내는 이들이 많다는 뜻이다.

반면 건강보험공단 조사에 따르면 병원에서 임종을 원하는 국민은 16% 정도에 불과하다. 약 60%에 이르는 국민이 집에서 삶을 마무리하길 원한다. 바람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매우 큰 셈이다. 그렇다면 임종에 이른 이를 위한 연명의료는 어느 정도가 적정선일까. 죽음을 눈앞에 둔 이들이 자신의 삶을 거둘 시기와 장소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는 어느 정도여야 할까. 새 책 ‘우리의 죽음이 삶이 되려면’은 30년간 의료현장을 지켜온 저자가 이 같은 물음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을 담고 있다. 보다 정확히는 해법의 제시보다 사회적 논의의 발화점을 지향하고 있다는 게 맞을 듯하다. 새달 4일 이후부터는 한국인의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이 커진다. 연명의료결정법이 본격 시행되기 때문이다. ‘죽는 일’을 결정하는 과정에 의료진의 역할은 줄고 환자와 가족의 의사가 적극 반영될 전망이다. 책의 발간 계기도 이에 맞닿아 있는 듯하다.

제목과 달리 책은 철학적인 담론을 담고 있지 않다. 혼선이 예상되는 연명의료결정법을 더 구체적으로 손봐야 한다는 저자와 의료계의 목소리로 가득하다. 그런데도 많은 부분에서 책의 내용에 공감하게 되는 건 한국인 세 명 가운데 한 명이 암에 걸리고 28만명의 사망자 가운데 90% 가까이가 만성질환으로 숨지는 현실 때문이다. 저자가 제시한 수많은 의료현장의 사례는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시간의 문제일 뿐 누구나 맞닥뜨려야 하는 일이다. 저자는 연명의료와 관련된 국내외의 사례들과 주변인들의 심리 등을 섬세하게 그려내고 있다. 이런 사례들을 읽다 보면 연명의료결정법이 결국 나와 내 주변에서 벌어지게 될 일이란 것에 동의하게 된다.

환자가 집으로 가지 못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간병이다. 저자는 의료진이 왕진을 통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역 중심의 의료 체계가 함께 발전해야 이런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환자의 연명의료에 대한 법과 문화 사이의 간극을 어떻게 좁힐 것인가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한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8-01-2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