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탈피? 돈보다 삶을 앞세워라

헬조선 탈피? 돈보다 삶을 앞세워라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7-12-22 22:28
수정 2017-12-22 22: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당신이 잔혹한 100명 마을에 산다면?/에가미 오사무 지음/서수지 옮김/사람과나무사이/256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100명이 사는 마을이 있다. 이 마을 아이들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빚더미를 떠안고, 학비가 없어 제대로 교육받지 못한다. 운 좋게 교육을 받아도 취업난에 고통받고, 경쟁을 뚫고 취업해도 박봉에 시달리느라 결혼하지 못한다. 늙어서도 쉴 틈은 없다. 자신보다 더 늙은 부모를 부양해야 하니 말이다. 암울하지만, 이 잔혹한 마을이 우리의 현실이고 다가올 미래다. 당신이 이 마을 주민이라면 어떻게 할 건가. 새 책 ‘당신이 잔혹한 100명 마을에 산다면?’은 이 문제에 대해 스스로 묻고 답한 내용을 담고 있다.

우리 사회가 ‘잔혹한 100명 마을’이 된 중요한 요인은 두말할 필요없이 돈이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먼저 돈의 메커니즘을 알아야 한다. 그런데 자산관리전문가를 자처하는 저자의 주장이 희한하다. “돈도 노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스트리아의 뵈르글이라는 마을에서 일어난 일이다. 세계 대공황 이후 마을 주민들은 천문학적인 액수의 부채를 짊어졌다. 실업자도 넘쳐났다. 마을 인구 4300명 가운데 무려 500여명이 실업자였고 1000여명은 예비실업자였다. 돈이 돌지 않았고, 불경기가 이어지면서 악순환이 지속됐다. 마을 촌장은 기발한 아이디어를 냈다. 한 달에 1%씩 가치가 줄어드는 돈을 발행한 것이다. 주민들은 앞다퉈 돈을 썼다. 즉시 쓰지 않으면 가치가 줄어드니 당연한 노릇이다. 너도나도 물건을 사들였고, 물건을 팔아 돈을 번 사람도 버는 족족 돈을 썼다. 마을의 경제활동은 몇 배로 활발해졌다. 돈을 빌려도 이자가 붙지 않았다. 가치가 줄어드는 돈인데 이자란 게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무이자로 돈을 빌려 사업을 벌였다. 그 결과, 마을은 산더미 같은 부채를 말끔히 청산했고 실업자도 사라졌다.

저자의 시선은 이 마을에 머물러 있다. 헬조선, 헬재팬의 잔혹한 현실은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다. 돈 역시 인간이 만든 것이므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돈에 대해 늘 단도직입적이다. 돈을 모으는 기발한 방법이나 요령을 알고 싶어 한다. 그런데 돈을 모으려는 목적에 대해 물으면 대개는 우물대기 일쑤다. 저자는 그래서는 돈을 모을 수 없고, 모으더라도 행복해질 수 없다고 단언한다. 저자의 주장을 요약하면 이렇다. “재정 계획을 세우기 전에 인생 계획부터 세워라.” 누구와 어디서 어떻게 생활할지, 인생을 어떻게 살아갈지를 먼저 생각해야 돈도 따르고 행복도 이어진다는 것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7-12-2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