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를 비추는, 발목을 물들이는/전경린 지음/문학동네/256쪽/1만 3000원
오랜 시간이 지나도 끝내 잊을 수 없는 사람들이 있다. 학창 시절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낸 친구, 누구보다 위로와 위안을 먼저 건넨 연인, 힘들고 괴로울 때 곁에서 버팀목이 되어 주었던 그 누군가. 마음 한편에 오도카니 자리잡은 이들에 대한 기억은 오래된 집처럼 아늑하고 따스하다.
섬세한 묘사로 삶과 사랑의 깊은 곳을 그려 내는 작가 전경린의 신작 소설 ‘이마를 비추는, 발목을 물들이는’은 누군가의 삶을 지배한 강렬한 기억에 대한 이야기다. 문학동네 네이버 카페에서 지난 3~7월 연재한 작품을 상당 부분 고쳐서 묶어 냈다. 작품은 화자인 나애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인연들의 이야기를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그려 낸다. 극적인 서사나 사건은 없지만 인간의 섬세한 감정을 예리하게 포착하는 작가 특유의 필치가 기억이 한 사람의 삶을 어떻게 이끌고 변화시키는지 엿보게 한다.
나애는 어린 시절 유치원에서 알게 된 친구 도이와 상으로부터 마치 전생을 함께 살았던 것처럼 끈끈한 정을 느낀다. 형편상 가족과 떨어져 한 병원에 딸린 집에서 식객으로 살게 된 나애가 고독의 그늘을 벗어날 수 있었던 것도 이들과의 유대 관계 덕분이다. “도이와 상이라는 축이 없었다면, 나의 유년 세계는 기억으로 구성되지 못했을 것이다. 다른 수많은 나날이 유실되었듯이, 어딘가로 빠져나가 사라지는 것이다”라고 말할 정도로 두 사람은 나애의 삶 그 자체였다. 병원집 별채에서 기거하며 살림을 도맡아 하던 종려할매 역시 부재하는 것이나 다름없던 어머니의 빈자리를 빈틈 없이 채워 준 존재다.
시간이 흘러 뜻하지 않게 마주한 불운에 상은 스스로 죽음을 택하고 요양병원에 입원한 도이는 점점 기억을 잃는다. 소중한 사람들을 차례로 잃고 상실에 친숙해진 나애는 성인이 된 이후 3년간 동거인으로 지낸 희도와의 이별 앞에서도 담담하다. 하지만 나애는 종려할매의 말에서 이내 중요한 사실을 깨닫는다. ‘사람은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을 다 합친 존재’라는 것. 불완전할 수밖에 없는 우리는 관계를 맺은 수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서로에게 기대며 살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작가가 ‘작가의 말’에서 강조한 한마디가 어쩌면 모든 것을 함축적으로 말해 주는 듯하다. “너를 기억하는 힘으로.” 마지막 장을 덮는 순간 저마다의 삶을 지탱하는 소중한 얼굴과 이름을 곱씹게 될 책이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섬세한 묘사로 삶과 사랑의 깊은 곳을 그려 내는 작가 전경린의 신작 소설 ‘이마를 비추는, 발목을 물들이는’은 누군가의 삶을 지배한 강렬한 기억에 대한 이야기다. 문학동네 네이버 카페에서 지난 3~7월 연재한 작품을 상당 부분 고쳐서 묶어 냈다. 작품은 화자인 나애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인연들의 이야기를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그려 낸다. 극적인 서사나 사건은 없지만 인간의 섬세한 감정을 예리하게 포착하는 작가 특유의 필치가 기억이 한 사람의 삶을 어떻게 이끌고 변화시키는지 엿보게 한다.
나애는 어린 시절 유치원에서 알게 된 친구 도이와 상으로부터 마치 전생을 함께 살았던 것처럼 끈끈한 정을 느낀다. 형편상 가족과 떨어져 한 병원에 딸린 집에서 식객으로 살게 된 나애가 고독의 그늘을 벗어날 수 있었던 것도 이들과의 유대 관계 덕분이다. “도이와 상이라는 축이 없었다면, 나의 유년 세계는 기억으로 구성되지 못했을 것이다. 다른 수많은 나날이 유실되었듯이, 어딘가로 빠져나가 사라지는 것이다”라고 말할 정도로 두 사람은 나애의 삶 그 자체였다. 병원집 별채에서 기거하며 살림을 도맡아 하던 종려할매 역시 부재하는 것이나 다름없던 어머니의 빈자리를 빈틈 없이 채워 준 존재다.
시간이 흘러 뜻하지 않게 마주한 불운에 상은 스스로 죽음을 택하고 요양병원에 입원한 도이는 점점 기억을 잃는다. 소중한 사람들을 차례로 잃고 상실에 친숙해진 나애는 성인이 된 이후 3년간 동거인으로 지낸 희도와의 이별 앞에서도 담담하다. 하지만 나애는 종려할매의 말에서 이내 중요한 사실을 깨닫는다. ‘사람은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을 다 합친 존재’라는 것. 불완전할 수밖에 없는 우리는 관계를 맺은 수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서로에게 기대며 살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작가가 ‘작가의 말’에서 강조한 한마디가 어쩌면 모든 것을 함축적으로 말해 주는 듯하다. “너를 기억하는 힘으로.” 마지막 장을 덮는 순간 저마다의 삶을 지탱하는 소중한 얼굴과 이름을 곱씹게 될 책이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7-12-2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