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 대한 세인의 관심은 뜨겁다가도 때로는 식기도 한다. 그 사이 고령의 할머니들은 세상을 떠나고 있다. 2017년 12월 13일 현재, 정부에 등록된 국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는 33명뿐이다. 할머니들이 관심에서 멀어져 가도 진정성을 갖고 변함없이 지원을 아끼지 않는 지자체와 그 주민들이 있다. 경기도 광명시다. 광명 시민들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위로하기 위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활동한 기록을 모은 소책자 ‘평화의 소녀상 지킴이 보고서 ‘동행’(124쪽)이 발행됐다.
‘동행’은 광명시(시장 양기대)와 시민들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명예와 인권회복을 위해 벌여온 실질적인 활동과 국내외 지킴이들의 활약을 전하는 국내 최초의 기록집이다. 그동안의 활동에 대한 보고서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책에는 시민들과 할머니들의 3년 동행 타임라인, 영화 ‘아이 캔 스피크’의 실제 모델 이용수 할머니의 청소년 인터뷰 등이 실려 있다.
또 청소년들이 위안부 피해 역사를 공부하는 데 필요한, 1991년 최초 증언자 김학순 할머니 이야기, 위안부 피해 역사 바로 알기, 국내외 평화의 소녀상 현황 등 교육 자료를 충실히 담았다.
광명시민들의 위안부 피해 할머니 돕기와 지킴이 활동은 2015년 3월 ‘광명 평화의 소녀상 건립추진위원회’ 발대식으로 시작되었다. 시민들은 광복 70주년인 그해 8월 15일 성금 6,000여만 원으로 일제 수탈의 현장인 광명동굴 입구에 평화의 소녀상을 세웠다. 제막식에는 일제 강점기 광명동굴에서 광부로 일했던 장원화 씨도 참석했다.
그 후 시민들은 경기 광주 나눔의 집 할머니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이옥선, 박옥선, 김군자 할머니 등을 광명동굴과 라스코동굴벽화전에 초대하고, 악극 ‘꿈에 본 내 고향’과 영화 ‘귀향’ 시사회에도 초청했다. 할머니들을 위해 광명동굴 입장료 수입금의 1%를 기부한다는 광명시의 약속대로 2017년 1월에는 양 시장과 시민들이 나눔의 집을 찾아가 5,300만 원을 기부했다.
올해는 광명시의 중고교 청소년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3월에 ‘평화의 소녀상 청소년 지킴이’가 출범해 활동하고 있으며, 여름방학 동안 ‘소녀의 꽃밭 청소년 기획단’이 광명동굴 입구 평화의 소녀상 둘레에 ‘평화를 위한 소녀의 꽃밭’을 조성했다. 8월 11일 ‘소녀의 꽃밭’으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초청했다. 광명시도 지난 9월 11일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전 총리를 나눔의 집으로 안내해 할머니들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한다는 뜻을 함께 밝혔다. 11월 18일 나눔의 집에서 열린 유품전시관과 추모기록관 개관식에 참석한 미국 인권단체인 위안부정의연대 릴리언 싱, 줄리 탕 공동의장과는 위안부 기록물 유네스코 재등재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광명시의 위안부 피해 할머니 돕기 운동은 전국의 지자체들에 귀감이 되고 있다. 일부 지자체는 광명시의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있다고 한다. 안신권 경기 광주 나눔의 집 소장은 “광명시민들은 나눔의 집 할머니들이 가장 반기는 손님이자 올바른 역사와 여성인권에 대한 실천가” 라고 말했다. 양기대 광명시장은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광명시의 모델이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손성진 논설주간 sonsj@seoul.co.kr
또 청소년들이 위안부 피해 역사를 공부하는 데 필요한, 1991년 최초 증언자 김학순 할머니 이야기, 위안부 피해 역사 바로 알기, 국내외 평화의 소녀상 현황 등 교육 자료를 충실히 담았다.
광명시민들의 위안부 피해 할머니 돕기와 지킴이 활동은 2015년 3월 ‘광명 평화의 소녀상 건립추진위원회’ 발대식으로 시작되었다. 시민들은 광복 70주년인 그해 8월 15일 성금 6,000여만 원으로 일제 수탈의 현장인 광명동굴 입구에 평화의 소녀상을 세웠다. 제막식에는 일제 강점기 광명동굴에서 광부로 일했던 장원화 씨도 참석했다.
그 후 시민들은 경기 광주 나눔의 집 할머니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이옥선, 박옥선, 김군자 할머니 등을 광명동굴과 라스코동굴벽화전에 초대하고, 악극 ‘꿈에 본 내 고향’과 영화 ‘귀향’ 시사회에도 초청했다. 할머니들을 위해 광명동굴 입장료 수입금의 1%를 기부한다는 광명시의 약속대로 2017년 1월에는 양 시장과 시민들이 나눔의 집을 찾아가 5,300만 원을 기부했다.
광명시의 위안부 피해 할머니 돕기 운동은 전국의 지자체들에 귀감이 되고 있다. 일부 지자체는 광명시의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있다고 한다. 안신권 경기 광주 나눔의 집 소장은 “광명시민들은 나눔의 집 할머니들이 가장 반기는 손님이자 올바른 역사와 여성인권에 대한 실천가” 라고 말했다. 양기대 광명시장은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광명시의 모델이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손성진 논설주간 sonsj@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