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식인/임호준 지음/민음사/272쪽/2만 2000원
제목부터 섬뜩하다. ‘즐거운 식인’이라니. 식인만으로도 충분히 오싹한데 그걸 즐겁다고 표현하니 더 괴기스럽다. 한데 내용을 들여다보면 반전이다. 부제에 잘 표현돼 있다. ‘서구의 야만신화에 대한 라틴아메리카의 유쾌한 응수’다.
책은 1920년대 라틴아메리카 저항 예술의 핵심 개념인 ‘식인주의’를 담고 있다. 이 해괴한 개념에 대한 연원을 알려면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금을 찾아 라틴아메리카에 도착한 스페인 등 초기 정복자들은 원했던 만큼 금을 얻을 수 없게 되자 노예무역 쪽으로 눈을 돌렸다.
식민사업에 뛰어든 유럽 열강들은 원주민들을 학살하고 노예화하면서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해 줄 구실을 찾았다. 가장 쉬운 방법은 원주민들을 야만인으로 낙인찍는 것이었다. 야만인이기 때문에 착취와 지배가 정당하다는 논리를 폈고, 이 야만인 담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 식인종 신화였다.
식인 현장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지만 초기 정복자들이 유포한 식인 전설은 유럽에 빠르게 전파됐다. 식인 전설(카니발리즘)에 대한 라틴아메리카 지성인들의 반응은 다분히 축제(카니발)적이었다. 식인을 축하하고 기념함으로써 라틴아메리카의 문화적 정체성으로 삼은 것이다. 이런 대화를 상상해 보면 알기 쉽겠다. 유럽 정복자의 딸과 남미 원주민의 딸이 나눈 가상의 대화다. 유럽 정복자의 딸이 묻는다. “너, 식인종이라며?” 원주민의 딸은 답한다. “그래, 나 식인종이야. 그래서 이제부터 너를 먹으려고 해. 너, 머리 좋고, 몸매도 좋더라. 난 그것만 먹을 거야. 탐욕 같은 더러운 피는 먹지 않아. 설령 먹더라도 배설해 버리면 돼.”
식인주의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개념이다. 유럽 문물에 정복당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능동적으로 골라서 먹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서양의 과학기술과 문화에 대한 단순 복사를 넘어, 먹어 삼키고 소화시키고 새롭게 합성해 유럽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새로운 정치적 자산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이를 이해한다면 영화 ‘내 프랑스인은 얼마나 맛있었나’(1971) 등의 ‘엽기적’인 제목도 쉽게 이해가 갈 터다.
식인주의는 브라질 모더니스트들이 주창한 것이지만 이후 남미의 문화 담론에 지속적으로 개입하며 현재까지도 중요한 개념으로 작용하고 있다. 책은 이처럼 유럽인들이 정복을 위해 갖다 붙인 식인 풍습이 어떻게 수많은 라틴아메리카 문학, 예술, 음악, 영화들에 계승되었는지를 알려 주고 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제목부터 섬뜩하다. ‘즐거운 식인’이라니. 식인만으로도 충분히 오싹한데 그걸 즐겁다고 표현하니 더 괴기스럽다. 한데 내용을 들여다보면 반전이다. 부제에 잘 표현돼 있다. ‘서구의 야만신화에 대한 라틴아메리카의 유쾌한 응수’다.
식민사업에 뛰어든 유럽 열강들은 원주민들을 학살하고 노예화하면서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해 줄 구실을 찾았다. 가장 쉬운 방법은 원주민들을 야만인으로 낙인찍는 것이었다. 야만인이기 때문에 착취와 지배가 정당하다는 논리를 폈고, 이 야만인 담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 식인종 신화였다.
식인 현장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지만 초기 정복자들이 유포한 식인 전설은 유럽에 빠르게 전파됐다. 식인 전설(카니발리즘)에 대한 라틴아메리카 지성인들의 반응은 다분히 축제(카니발)적이었다. 식인을 축하하고 기념함으로써 라틴아메리카의 문화적 정체성으로 삼은 것이다. 이런 대화를 상상해 보면 알기 쉽겠다. 유럽 정복자의 딸과 남미 원주민의 딸이 나눈 가상의 대화다. 유럽 정복자의 딸이 묻는다. “너, 식인종이라며?” 원주민의 딸은 답한다. “그래, 나 식인종이야. 그래서 이제부터 너를 먹으려고 해. 너, 머리 좋고, 몸매도 좋더라. 난 그것만 먹을 거야. 탐욕 같은 더러운 피는 먹지 않아. 설령 먹더라도 배설해 버리면 돼.”
식인주의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개념이다. 유럽 문물에 정복당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능동적으로 골라서 먹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서양의 과학기술과 문화에 대한 단순 복사를 넘어, 먹어 삼키고 소화시키고 새롭게 합성해 유럽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새로운 정치적 자산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이를 이해한다면 영화 ‘내 프랑스인은 얼마나 맛있었나’(1971) 등의 ‘엽기적’인 제목도 쉽게 이해가 갈 터다.
식인주의는 브라질 모더니스트들이 주창한 것이지만 이후 남미의 문화 담론에 지속적으로 개입하며 현재까지도 중요한 개념으로 작용하고 있다. 책은 이처럼 유럽인들이 정복을 위해 갖다 붙인 식인 풍습이 어떻게 수많은 라틴아메리카 문학, 예술, 음악, 영화들에 계승되었는지를 알려 주고 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7-12-1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