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하께선 욕심이 습관이 돼”…조선 선비의 ‘돌직구 사직서’

“폐하께선 욕심이 습관이 돼”…조선 선비의 ‘돌직구 사직서’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7-12-12 17:40
수정 2017-12-12 18: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익현 등 28편 모은 ‘다시는 신을… ’ 출간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사직서를 제출하는 상상을 한 번쯤 해 보지 않을까. 하지만 그 사직서엔 절대 진실은 쓰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당신(상사) 때문에 퇴사를 결심했다거나 이 월급으로는 숨만 쉬고 살아야 한다거나 이런 진짜 이유 말이다. 그래서 쓰는 표현은 대개 ‘일신상의 사유’라는 한 줄이다.
이미지 확대
조선 시대의 선비들은 다른 양상이다. 우리가 알 만한 역사 속 선비들 중 목숨을 걸고 최고 통치자인 임금에게 보란듯이 ‘돌직구 사직서’를 쓰고 떠난 이가 적지 않다.

신간 ‘다시는 신을 부르지 마옵소서’(눌민)엔 정치철학자 김준태가 조선 선비들의 사직 상소를 풀어 엮은 주옥같은 사직서 28편이 담겨 있다.

영화 ‘남한산성’에서 청과의 화친을 주장했던 최명길이 인조에게 올린 한성판윤(현 서울특별시장) 사직서는 그야말로 절절하다.

“신하가 나랏일을 도모하면서 먼 앞일을 내다보지 못하고 자기 혼자의 신념대로만 과감하다가 나라를 망하게 하는 데에 이르렀다면, 그 처리한 일은 비록 바르더라도 그 죄를 면할 수는 없사옵니다. 주화라는 두 글자가 신의 평생 허물이 될 것이나, 신은 잘못이라고 생각하지 않사옵니다.” 공동체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오명을 감당한 그의 절실함이 느껴지지 않는가.

조선 후기 의병장으로 대마도에서 순국한 최익현이 고종에게 쓴 ‘의정부 찬정’ 사직서는 그 의기가 날카롭고 높다. 최익현은 국가 위기의 근본 원인이 고종이라고 봤다. “폐하께서는 욕심이 습관이 되셨다”, “큰 그림 그리는 일엔 어둡다”, “아첨을 좋아하고, 정직을 꺼리며, 안일함에 빠져 노력할 줄 모른다” 등 표현 하나하나가 비수가 돼 왕의 가슴에 꽂히지 않았을까.

이 밖에 임금을 정치적 고아라고 칭하고, 대비를 과부라고 서슴지 않고 쓴 조식의 대쪽 같은 사직서, 선비상을 오롯이 보여 준 조광조의 사직서 등 벼슬을 탐하지 않고 목숨을 걸고 내놓은 직언들이 세월이 흘러도 빛난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7-12-1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