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절에 관하여/엘렌 모렐앵다르 지음/이효숙 옮김/봄날의책/464쪽/2만 3000원
재작년 국내 문학계는 신경숙 작가의 표절 의혹으로 발칵 뒤집혔다. 1996년작 단편소설 ‘전설’ 속에 나오는 한 대목이 일본 작가 미시마 유키오(1925~1970)의 단편 ‘우국’의 문단을 통째로 옮겨 놓은 듯 똑같아 논란이 됐다. 작가는 “문장을 보니 표절이란 문제 제기를 하는 게 맞겠다”면서도 “그 책을 읽은 기억이 없다”며 끝끝내 인정도, 사과도 하지 않았다.
프랑스 투르대에서 20세기 문학을 가르치는 엘렌 모렐앵다르는 “표절자들이 처벌받지 않는 것이 짜증 나서” 표절에 관한 책을 쓰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저서 ‘표절들, 글쓰기의 내막’, ‘글쓰기에 관한 딱한 실화를 알게 해 주는, 표절에 관한 모방작’, ‘뻔뻔한 표절자에 관한 조사’ 등을 통해 오늘날 표절과 작가라는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해 깊이 파고들었다.
저자는 표절의 개념과 인식이 18세기를 기점으로 크게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 이전까지 예술은 창조주에게 바치는 경의의 표시로 집단지성의 결과물로 받아들여졌다. 17세기까지도 원전을 바탕으로 만든 작품을 ‘창조적 모방’ 정도로 이해했다. 그러나 프랑스대혁명 이후 ‘개인’의 개념이 등장하면서 달라졌다. 개인이 자기 작품의 소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하면서 표절 문제가 본격화됐다.
‘삼총사’로 유명한 19세기 프랑스의 인기 극작가·소설가인 알렉상드르 뒤마 역시 대표적인 표절 작가다. ‘삼총사’의 일부는 다른 데서 빌려온 것이며, ‘골족과 프랑스’도 샤토브리앙과 역사가 친구 오귀스트 티에리에게서 빌려 썼다. 소설 ‘알빈’과 ‘붉은 방’은 독일 소설을 그대로 베꼈으며, 단편소설 ‘복갑 티티새 사냥’ 역시 루이 메리가 ‘라 프레스’에서 실었던 것을 가져왔다고 책은 설명한다. 그러고도 뒤마가 하는 말이 가관이다. “신 자신도 인간을 창조할 때 인간을 발명해낼 수 없었거나, (…) 신은 인간을 자신의 형상대로 만들어냈다!”(43쪽).
저자는 이처럼 “의기양양한 표절자를 부추기는 것은 자신의 글쓰기 영역을 넘어 자기 영토를 끊임없이 확장한다는 문화창작의 제국주의적 개념”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한다. 무의식적이거나, 때때로 당당하기까지 한 표절은 재범을 양산한다. 2년 전 표절 논란이 문학권력에 대한 비판으로 확대된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그러나 “스캔들은 사실상 아무런 귀결이 없다”는 저자의 일침도 새겨들어야겠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프랑스 투르대에서 20세기 문학을 가르치는 엘렌 모렐앵다르는 “표절자들이 처벌받지 않는 것이 짜증 나서” 표절에 관한 책을 쓰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저서 ‘표절들, 글쓰기의 내막’, ‘글쓰기에 관한 딱한 실화를 알게 해 주는, 표절에 관한 모방작’, ‘뻔뻔한 표절자에 관한 조사’ 등을 통해 오늘날 표절과 작가라는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해 깊이 파고들었다.
저자는 표절의 개념과 인식이 18세기를 기점으로 크게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 이전까지 예술은 창조주에게 바치는 경의의 표시로 집단지성의 결과물로 받아들여졌다. 17세기까지도 원전을 바탕으로 만든 작품을 ‘창조적 모방’ 정도로 이해했다. 그러나 프랑스대혁명 이후 ‘개인’의 개념이 등장하면서 달라졌다. 개인이 자기 작품의 소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하면서 표절 문제가 본격화됐다.
‘삼총사’로 유명한 19세기 프랑스의 인기 극작가·소설가인 알렉상드르 뒤마 역시 대표적인 표절 작가다. ‘삼총사’의 일부는 다른 데서 빌려온 것이며, ‘골족과 프랑스’도 샤토브리앙과 역사가 친구 오귀스트 티에리에게서 빌려 썼다. 소설 ‘알빈’과 ‘붉은 방’은 독일 소설을 그대로 베꼈으며, 단편소설 ‘복갑 티티새 사냥’ 역시 루이 메리가 ‘라 프레스’에서 실었던 것을 가져왔다고 책은 설명한다. 그러고도 뒤마가 하는 말이 가관이다. “신 자신도 인간을 창조할 때 인간을 발명해낼 수 없었거나, (…) 신은 인간을 자신의 형상대로 만들어냈다!”(43쪽).
저자는 이처럼 “의기양양한 표절자를 부추기는 것은 자신의 글쓰기 영역을 넘어 자기 영토를 끊임없이 확장한다는 문화창작의 제국주의적 개념”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한다. 무의식적이거나, 때때로 당당하기까지 한 표절은 재범을 양산한다. 2년 전 표절 논란이 문학권력에 대한 비판으로 확대된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그러나 “스캔들은 사실상 아무런 귀결이 없다”는 저자의 일침도 새겨들어야겠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7-11-0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