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도자기·젓가락… 문명 바꾼 中 발명품들

종이·도자기·젓가락… 문명 바꾼 中 발명품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7-09-29 22:24
수정 2017-09-29 2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 물질문화사/쑨지 지음/홍승직 옮김/알마/572쪽/3만 5000원
이미지 확대
문화의 의미는 매우 광범위하다. 어느 잣대를 들이대느냐에 따라 사뭇 다른 모양새의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새 책 ‘중국 물질문화사’는 여러 잣대 가운데 특히 물질문화에 초점을 맞춰 중국의 역사를 짚고 있다.

물질문화는 생활수준의 척도이면서 한 국가가 여러 분야에 걸쳐 이룩한 성취 가운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예컨대 건축과 같은 물질문화는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이 된다. 건물에 대해 연구하면 고대 도시의 구성 요소와 방위, 요새의 배치 방법 등에 대해 알 수 있다. 이는 전쟁과 도시의 방어를 넘어 국가의 탄생, 소멸과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다. 물질문화가 역사 그 자체이며 역사를 직접 반영한다는 뜻이다.

고대 중국이 거둔 물질문화의 성과는 오늘날 많은 부분에서 인류 문명의 보편적인 구성 요소가 됐다. 종이, 도자기, 방직 기술 등은 인류 문명을 효율적으로 촉진시켰다. 그러니 중국이 주장하는 이른바 중화사상은 이 성과에 기반한 중국인들의 자부심과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라 봐도 틀림없겠다. 책은 이처럼 농업과 음식부터, 방직과 복장, 건축, 교통수단, 과학기술 등 중국의 광범위한 물질문화의 발전 양상을 담고 있다.

중국의 물질문화사가 주변국 등 세계에 미친 영향은 매우 컸다. 예컨대 젓가락은 애초 기름이 흐르는 뜨거운 음식을 먹기 위해 중국에서 고안된 도구다. 하지만 지금은 전 세계를 통틀어 매일 17억벌의 젓가락이 식탁 위에서 움직이고 있다.

그리스 문명이 그리스만의 것이 아니듯, 중국의 고대 문명 역시 중국만의 것이 아니다. 여러 나라를 거치며 변형과 발전을 이룬다. 자기 제조는 중국에서 시작됐지만, 고려 때 상감청자는 이를 넘어서는 새로운 창조였다. 인쇄술 역시 중국의 4대 발명 가운데 하나지만 정작 조선의 구리활자(금속활자)는 중국에 거의 1세기를 앞섰다. 저자는 “모든 나라의 물질문화에 외래적 요소가 많이 포함돼 있다”며 “교류, 흡수, 융합 등을 통해 문화의 모습이 더욱 풍부하고 다채로워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7-09-3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