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하겠습니다’
헤드라인만 봐도 거창할 게 뻔한 갖가지 뉴스 사이로 ‘수요집회 1300회’라는 짧은 기사가 눈에 들어왔다. 1992년 1월 8일 첫 집회가 시작된 수요집회가 지난 13일 1300회를 맞았다는, 알림 수준의 기사였다. 광화문 언저리에 있던 잡지사에 다닐 때는 흡사 구경꾼처럼 수요집회의 일원이 되기도 했는데, 무심해도 한참 무심했다. 다행히 몇몇 영화 등을 통해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인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환기되었는데, 만약 수요집회가 없었다면 이마저도 불가능했을지 모른다.저자 이토 다카시는 1981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자폭탄 피해 실태를 조사하던 중 조선인 7만여명이 피폭당한 걸 알게 되었다. 이때부터 한반도에 사는 피폭자들을 만나기 시작했는데, 취재가 깊어질수록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 인한 피해자들이 상상 이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800여명을 취재한 그의 뇌리에 가장 깊게 각인된 사람들은 일본군 위안부 여성들이었다. “눈앞에 있던 내가 순간 일본군으로 보였는지도 모른다”는 고민이 앞섰으면서도 피해 여성들에 대한 취재를 계속했던 이유는 “일본의 중대한 국가 범죄를 분명하게 규명하는 것이 일본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 필요하다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일본군 위안부가 된 남한과 북한의 여성들’이라는 부제에서 보듯, ‘기억하겠습니다’에는 우리가 관심 갖지 않았던 북한 거주 할머니들의 증언도 담아냈다. 그중 2004년 세상을 떠난 리경생 할머니의 증언은 이렇다. 열다섯에 생리가 시작되었고, 곧바로 임신을 했다. 하지만 군의관은 이런 말을 던졌다. “천황에게 충성을 다하지 않는 조선인의 아이는 필요 없지만 너는 아직 쓸모가 있다.” 리경생 할머니는 “자궁째로 태아를 들어내는 수술”을 받아야만 했고, 며칠 쉬지도 못하고 다시 병사들을 상대했다. 인간의 탈을 쓰고 도저히 할 수 없는 일들이 이 책 곳곳에 아프게 증언 되고 있다.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장동석 출판평론가
2017-09-1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