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단 내 권력구조 변함 없어…표절·성폭력 여전히 미해결”

“문단 내 권력구조 변함 없어…표절·성폭력 여전히 미해결”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08-29 21:22
수정 2017-08-30 0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학과사회 가을호 ‘문학 속의 불만’ 기획…차경희 고요서사 대표 등 문학계 현실 비판

“표절 논란과 문단 성폭력 사건은 제일 중요한 공통점이 있습니다. 표절과 성폭력이 긴 시간 묵과돼 올 수 있었던 이유인 문단 내 권력 구조의 문제를 그대로 남겨 두었다는 것, 말입니다.”
차경희 고요서사 대표
차경희 고요서사 대표
문학서점 고요서사를 운영하는 차경희 대표가 2015년과 지난해 연이어 문단 안팎에 큰 충격을 줬던 신경숙 작가의 표절 논란과 문단 성폭력 사건이 닮은꼴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29일 출간된 문학과지성사의 계간 ‘문학과사회’ 가을호 기획 ‘문학 속의 불만’에서다.
이미지 확대
이은지 문학평론가
이은지 문학평론가
차 대표는 이번 기획에 게재한 기고 ‘우리가 계속 불편하면 좋겠습니다’를 통해 “두 논란은 오래전부터 문단 안쪽에서 웅크리고 있던 고질적 문제들이 누군가의 폭로로 갑자기 불거져 나온 그 시작, 그리고 아무것도 끝나지 않은 채 끝이 났다는 점”에서 교집합을 이루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차 대표는 “두 논란 이후의 상황은 엉뚱하게 돌아갔다”며 “표절을 묵과한 이유로 문예지 기획위원과 편집자들에게 화살이 돌아갔고, 성폭력 이슈에서 당신은 자유롭냐는 비난과 검열로 뻗어간 일이 아쉽다”는 문제를 제기했다.
당시 문단의 분위기 때문에 문학서점을 운영하는 차 대표로서는 기고 제목처럼 난감함의 연속이었다. “서점에서 한국 문학 관련 강좌를 열어야 했던 시점에 (이런) 문단의 분위기를 살펴야 했던 일이 불편했고, 논란에 휩싸인 작가들의 책이 여전히 유통되고 있는 현실이 불편하다”는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를 불편하게 하는 것에 대해 좀더 자유롭게 돌을 던지고 ‘권력 싸움’이 아니라 ‘더 나은 문학’을 위한 길로 가는 질문들이 살아남길 바란다”는 바람을 전했다.

문학과사회 가을호가 마련한 이번 기획은 차경희 대표를 비롯해 소설가 강화길·정한아, 문학평론가 이은지, 신춘문예 출신 편집자 김봉곤, 문학과지성사 5세대 동인인 편집자 겸 문학평론가 황예인 등 6명의 필자가 동시대 한국 문학장에 품고 있는 불만과 문제의식을 털어놓는 자리가 됐다.

이은지 문학평론가는 “최근의 문학이 도덕주의에 적극적으로 응답하며 ‘신념의 공동체’로 경화되는 것에 우려를 표했으나 이전의 한국 문학 또한 특정한 신념의 공동체이기는 마찬가지였다”며 “불과 몇 년 전 문단에 연루된 거의 모든 이들을 충격과 공포에 빠뜨렸던 ‘신경숙 사태’가 새로이 환기한 점이 있다면, 적어도 1990년대 이후의 한국 문단은 도덕성이 훼손될지언정 문학성을 가치의 우위에 두는 신념의 공동체였다”고 밝혔다. 이 평론가는 이 점은 충분히 외부의 지탄을 받고 문단도 몇 안 되는 독자들을 잃지 않기 위해 쇄신했으나 변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꼬집었다. 신춘문예나 문학상을 통해 등단한 이들이 계간지에 작품을 발표하면 편집인을 비롯한 비평가의 감식안을 거쳐 단행본으로 출간하는 방식으로 제작돼 온 ‘포디즘(기계화된 대량생산 체계)적’ 문학 생산 방식이 그것이라는 얘기다.

그러면서 이 평론가는 “그러한 방식으로 제작돼 온 문학을 비호하는 집단이 신경숙의 도덕적 흠결을 궤변에 가까운 논리를 들어 덮어버린 집단과 일치한다는 것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며 “신경숙 사태에 대한 일련의 배타적인 처신은, 문단이 추구하는 문학성이란 것이 외부를 용인하지 않는 그들만의 숙련된 상호 주관성을 통해 유통되고 유지돼 온 측면이 있음을 스스로 고백하는 것이기도 하다”고 비판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8-3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