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사회 가을호 ‘문학 속의 불만’ 기획…차경희 고요서사 대표 등 문학계 현실 비판
“표절 논란과 문단 성폭력 사건은 제일 중요한 공통점이 있습니다. 표절과 성폭력이 긴 시간 묵과돼 올 수 있었던 이유인 문단 내 권력 구조의 문제를 그대로 남겨 두었다는 것, 말입니다.”차경희 고요서사 대표
이은지 문학평론가
문학과사회 가을호가 마련한 이번 기획은 차경희 대표를 비롯해 소설가 강화길·정한아, 문학평론가 이은지, 신춘문예 출신 편집자 김봉곤, 문학과지성사 5세대 동인인 편집자 겸 문학평론가 황예인 등 6명의 필자가 동시대 한국 문학장에 품고 있는 불만과 문제의식을 털어놓는 자리가 됐다.
이은지 문학평론가는 “최근의 문학이 도덕주의에 적극적으로 응답하며 ‘신념의 공동체’로 경화되는 것에 우려를 표했으나 이전의 한국 문학 또한 특정한 신념의 공동체이기는 마찬가지였다”며 “불과 몇 년 전 문단에 연루된 거의 모든 이들을 충격과 공포에 빠뜨렸던 ‘신경숙 사태’가 새로이 환기한 점이 있다면, 적어도 1990년대 이후의 한국 문단은 도덕성이 훼손될지언정 문학성을 가치의 우위에 두는 신념의 공동체였다”고 밝혔다. 이 평론가는 이 점은 충분히 외부의 지탄을 받고 문단도 몇 안 되는 독자들을 잃지 않기 위해 쇄신했으나 변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꼬집었다. 신춘문예나 문학상을 통해 등단한 이들이 계간지에 작품을 발표하면 편집인을 비롯한 비평가의 감식안을 거쳐 단행본으로 출간하는 방식으로 제작돼 온 ‘포디즘(기계화된 대량생산 체계)적’ 문학 생산 방식이 그것이라는 얘기다.
그러면서 이 평론가는 “그러한 방식으로 제작돼 온 문학을 비호하는 집단이 신경숙의 도덕적 흠결을 궤변에 가까운 논리를 들어 덮어버린 집단과 일치한다는 것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며 “신경숙 사태에 대한 일련의 배타적인 처신은, 문단이 추구하는 문학성이란 것이 외부를 용인하지 않는 그들만의 숙련된 상호 주관성을 통해 유통되고 유지돼 온 측면이 있음을 스스로 고백하는 것이기도 하다”고 비판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8-3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