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는 입을 다무네/정미경 지음/민음사/336쪽/1만 3000원
“좋은 생은 나쁜 노래를 만들어. 나쁜 생은 좋은 노래를 만들고. 그 둘을 겪은 사람만이 위대한 노래를 만들 수 있지.”(310쪽)
지난 1월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소설가 정미경(1960~2017)이 마지막으로 남긴 장편 ‘가수는 입을 다무네’의 한 구절이다. ‘노래’라는 단어는 ‘소설’로 대체해서 읽어도 무방할 테다. 삶과 죽음, 인간과 사회, 문학과 예술에 대해 그 누구보다 최선을 다해 고민했을 작가 자신의 숙명을 스스로 되낸 것은 아니었을까. 복잡다단한 삶의 끝자락까지 열정을 불태운 한 작가의 인생은 예기치 않은 때, 이렇게 위대한 노래로 남았다.
기형도의 시에서 제목을 가져온 이 소설은 한때 인기 정점에 이르렀던 가수 율과 우연히 율의 현재 모습을 다큐멘터리로 촬영하게 된 대학생 이경의 이야기다. 전설적인 밴드 ‘무무’의 보컬이자 리더였던 율은 화려한 지난날이 무상하게 10여년 동안 극심한 슬럼프를 겪고 있다. 독특한 음악 세계로 후배들에게 무한한 영감을 불러일으키던 그는 점점 무기력해져 예전의 목소리를 잃고 방에 틀어박힌 채 침잠한다. 교양과목의 시험 과제로 30분짜리 다큐멘터리를 내야 하는 이경은 우연히 친구를 통해 율을 마주하게 된다. 히스테리 환자처럼 불안했던 율은 이경을 만난 이후 카메라 렌즈를 향해 자신의 고통을 조곤조곤 증언한다. 이 과정에서 율은 새로 노래를 만들고 세상에 나올 용기를 얻는다. “꺼진 지 오래된 모닥불”인 줄 알았던 자신에게 “아직은 불이 타오를 수 있다는 걸 알게” 된 덕분이다.
하지만 다시 오르게 된 무대에서 율은 음을 놓치고 키를 높게 잡는 실수를 범한다. 청중의 귀를 단숨에 사로잡았던 율의 예전 목소리는 끝내 터져 나오지 않는다. 아마도 열패감에 시달렸을 율은 며칠 뒤 누구에게도 알리지 않은 채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죽기 전까지 내내 자신의 예술 세계에 대해 고뇌한 그가 떠난 뒤 이경은 그의 영상을 돌려보며 무심히 깨닫는다. “그저 함께 머물며 소리를 듣는 것만으로도 완벽했던 순간들은 프레임 바깥으로 툭툭 잘려나가 버렸다”고. “진짜 삶은 잘려나간 부분, 아웃테이크 속에 있다”고.
두 인물이 교차하는 이야기 속에서 실패를 통해 비로소 완성되는 예술의 아름다움에 대한 작가의 통찰과 진정한 삶의 의미에 대한 고민이 담담히 배어난다. 작품의 발문을 쓴 문학평론가 김미경의 말처럼 “소설 속 주인공인 가수 율을 작가 정미경으로 치환시키면 예술가들이 지닌 영광과 상처를 날것 그대로 내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좋은 생은 나쁜 노래를 만들어. 나쁜 생은 좋은 노래를 만들고. 그 둘을 겪은 사람만이 위대한 노래를 만들 수 있지.”(310쪽)
기형도의 시에서 제목을 가져온 이 소설은 한때 인기 정점에 이르렀던 가수 율과 우연히 율의 현재 모습을 다큐멘터리로 촬영하게 된 대학생 이경의 이야기다. 전설적인 밴드 ‘무무’의 보컬이자 리더였던 율은 화려한 지난날이 무상하게 10여년 동안 극심한 슬럼프를 겪고 있다. 독특한 음악 세계로 후배들에게 무한한 영감을 불러일으키던 그는 점점 무기력해져 예전의 목소리를 잃고 방에 틀어박힌 채 침잠한다. 교양과목의 시험 과제로 30분짜리 다큐멘터리를 내야 하는 이경은 우연히 친구를 통해 율을 마주하게 된다. 히스테리 환자처럼 불안했던 율은 이경을 만난 이후 카메라 렌즈를 향해 자신의 고통을 조곤조곤 증언한다. 이 과정에서 율은 새로 노래를 만들고 세상에 나올 용기를 얻는다. “꺼진 지 오래된 모닥불”인 줄 알았던 자신에게 “아직은 불이 타오를 수 있다는 걸 알게” 된 덕분이다.
하지만 다시 오르게 된 무대에서 율은 음을 놓치고 키를 높게 잡는 실수를 범한다. 청중의 귀를 단숨에 사로잡았던 율의 예전 목소리는 끝내 터져 나오지 않는다. 아마도 열패감에 시달렸을 율은 며칠 뒤 누구에게도 알리지 않은 채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죽기 전까지 내내 자신의 예술 세계에 대해 고뇌한 그가 떠난 뒤 이경은 그의 영상을 돌려보며 무심히 깨닫는다. “그저 함께 머물며 소리를 듣는 것만으로도 완벽했던 순간들은 프레임 바깥으로 툭툭 잘려나가 버렸다”고. “진짜 삶은 잘려나간 부분, 아웃테이크 속에 있다”고.
두 인물이 교차하는 이야기 속에서 실패를 통해 비로소 완성되는 예술의 아름다움에 대한 작가의 통찰과 진정한 삶의 의미에 대한 고민이 담담히 배어난다. 작품의 발문을 쓴 문학평론가 김미경의 말처럼 “소설 속 주인공인 가수 율을 작가 정미경으로 치환시키면 예술가들이 지닌 영광과 상처를 날것 그대로 내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7-08-2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