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비극적인 사건은 아이들이 희생자인 범죄와 아이들이 가해자인 범죄다. 전자는 우리나라의 씨랜드 참사나 세월호 참사처럼 순진무구한 아이들이 희생자가 됐다는 점에서, 후자는 순진무구할 줄 알았던 아이들이 그런 잔인하고 끔찍한 행동을 했다는 게 믿어지지 않아서다. 이 점에서 1999년 4월 미국 콜럼바인고교 총격 사건은 가해자와 희생자가 모두 아이들이라는 점에서 미 역사상 가장 충격을 준 원조 총기 범죄이자 여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사건이다. 졸업반인 에릭 해리스와 딜런 클리볼드는 학교 안에서 총기를 난사해 학생과 교사 13명을 죽이고 자살했다. 수많은 전문가들이 두 소년이 어떤 동기와 목적으로 범행을 저질렀는지 분석했지만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인간의 근원적 폭력성이라는 장벽을 맞닥뜨려야 했다.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수 클리볼드 지음/홍한별 옮김/반비/472쪽/1만 7000원
신간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는 딜런 클리볼드의 어머니 수 클리볼드가 쓴 회고록이다. 딜런이 태어나서 사건을 벌이기까지 17년, 그리고 사건 발생 후 17년, 총 34년 동안 내면에서 되새김질해 온 살인자 아들에 대한 생각과 감정을 세밀하게 담았다. 아들에 대한 변명은 담겨 있지 않다. 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아들에 대한 사랑과 연민이 곳곳에서 슬프게 배어난다. 아들은 왜 그런 끔찍한 행동을 했을까. 수 클리보드는 아들의 행동을 학교 제도나 희생된 아이들의 탓으로 돌리지 않는다. 그리고 용서도 구하지 않는다. ‘비극의 여파 속에서 살아가기’라는 부제처럼 이 책을 통해 수는 자신을 자책하며 참회한다. 그리고 스스로도 답을 찾고 싶어하는 것으로 보인다.
“내가 영원히 살인자를 키운 엄마로 비쳐질 것이며 어느 누구도, 나 자신조차도, 나를 다른 존재로 보지는 않으리라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었다.”
그는 1999년 4월 20일 콜럼바인고교에서 일어난 일을 알게 됐을 때의 순간을 이렇게 얘기한다. “리틀턴의 모든 엄마들이 아이의 안전을 기도할 때 나는 우리 아이가 남을 더 해치기 전에 죽게 해달라고 기도해야 했어요.” 딜런은 악의 화신은 아니었다. 딜런의 가정은 평범한 백인 중산층이었고, 부모는 그를 ‘햇살’, ‘착한 아이’, ‘늘 내가 좋은 엄마라고 느끼게 해주던 아이’라고 말한다.
분노한 피해자의 부모들은 저자가 살인 사건의 징후를 충분히 인지할 수 있었음에도 무책임하게 방치했다고 비판한다. 그도 이를 인정한다. 고등학생이 된 딜런은 변하기 시작했다. 쉽게 화를 내고, 부모에게도 무뚝뚝해졌다. 하지만 저자는 그런 행동의 기저에 극심한 자살 성향의 우울증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채지 못했다.
저자가 말하는 궁극적인 메시지는 내 자식이지만 내가 모를 수 있다는 점이다. 두렵게 생각되는 낯선 사람이 바로 내 아들이나 딸일 수 있다는 것이다. 바로 엄마들이 ‘내 자식은 그렇지 않은데’라며 빠지기 쉬운 오류다. 이 책의 저자 역시 적극적인 부모였고,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교육자였고, 아이에게 좋은 먹거리와 좋은 자연환경을 제공하려고 노력했으며, 올바른 가치관을 키워주기 위해 노력했던 ‘좋은’ 부모였다. 그럼에도 사랑만으로는 아이를 올바른 길로 이끌 수 없다고 강조한다. ‘미묘한 변화’가 감지되면 아이와 적극적으로 대화를 나누고 아이를 위기에서 구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우리 사회 역시 각종 혐오 범죄와 학교 폭력이 늘고 있다. 가해 아이들의 내면에 은폐돼 있는 폭력의 근원을 찾아내 치유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때다. 내가 세상에서 가장 잘 아는 존재라는 내 아이도 언제든지 ‘낯선 타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들의 양육 방식도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1999년 4월 미국 콜로라도주 콜럼바인고교 총기 난사 3주일 전 딜런 클리볼드가 가족들과 동네 식당에서 외식을 하는 모습.
반비 제공
반비 제공
총기 난사 사건으로 희생된 학생들과 교사, 자살한 범인 에릭 해리스와 딜런 클리볼드를 추모하는 15개의 십자가가 서 있다. 이 십자가에는 ‘증오는 증오를 낳는다’는 문구가 적혀 있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신간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는 딜런 클리볼드의 어머니 수 클리볼드가 쓴 회고록이다. 딜런이 태어나서 사건을 벌이기까지 17년, 그리고 사건 발생 후 17년, 총 34년 동안 내면에서 되새김질해 온 살인자 아들에 대한 생각과 감정을 세밀하게 담았다. 아들에 대한 변명은 담겨 있지 않다. 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아들에 대한 사랑과 연민이 곳곳에서 슬프게 배어난다. 아들은 왜 그런 끔찍한 행동을 했을까. 수 클리보드는 아들의 행동을 학교 제도나 희생된 아이들의 탓으로 돌리지 않는다. 그리고 용서도 구하지 않는다. ‘비극의 여파 속에서 살아가기’라는 부제처럼 이 책을 통해 수는 자신을 자책하며 참회한다. 그리고 스스로도 답을 찾고 싶어하는 것으로 보인다.
“내가 영원히 살인자를 키운 엄마로 비쳐질 것이며 어느 누구도, 나 자신조차도, 나를 다른 존재로 보지는 않으리라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었다.”
분노한 피해자의 부모들은 저자가 살인 사건의 징후를 충분히 인지할 수 있었음에도 무책임하게 방치했다고 비판한다. 그도 이를 인정한다. 고등학생이 된 딜런은 변하기 시작했다. 쉽게 화를 내고, 부모에게도 무뚝뚝해졌다. 하지만 저자는 그런 행동의 기저에 극심한 자살 성향의 우울증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채지 못했다.
저자가 말하는 궁극적인 메시지는 내 자식이지만 내가 모를 수 있다는 점이다. 두렵게 생각되는 낯선 사람이 바로 내 아들이나 딸일 수 있다는 것이다. 바로 엄마들이 ‘내 자식은 그렇지 않은데’라며 빠지기 쉬운 오류다. 이 책의 저자 역시 적극적인 부모였고,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교육자였고, 아이에게 좋은 먹거리와 좋은 자연환경을 제공하려고 노력했으며, 올바른 가치관을 키워주기 위해 노력했던 ‘좋은’ 부모였다. 그럼에도 사랑만으로는 아이를 올바른 길로 이끌 수 없다고 강조한다. ‘미묘한 변화’가 감지되면 아이와 적극적으로 대화를 나누고 아이를 위기에서 구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우리 사회 역시 각종 혐오 범죄와 학교 폭력이 늘고 있다. 가해 아이들의 내면에 은폐돼 있는 폭력의 근원을 찾아내 치유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때다. 내가 세상에서 가장 잘 아는 존재라는 내 아이도 언제든지 ‘낯선 타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들의 양육 방식도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07-1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