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영화란 하(何)오/백문임 외 3명 지음/창비/780쪽/4만원
한국에서 영화의 역사가 시작된 건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로 추정된다. 하지만 당시의 영화계 풍경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다. 당시 제작된 ‘활동 사진’(영화)이나 관련 자료들이 거의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나마 ‘대한매일신보’ 등의 신문과 몇몇 잡지에 게재된 영화비평을 통해 당시 상황을 어렴풋이 짐작할 뿐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영화비평을 분석틀 삼아 조선영화사(史)를 발굴해내는 것도 분명 나름의 의미가 있는 작업일 터다.
새책 ‘조선영화란 하(何)오’는 바로 이 같은 접근방식에 천착한 책이다. 1910년대부터 해방 이전까지 쓰여진 조선영화 비평문을 선별해 당시 영화계 만화경을 그려내고 있다. 그 덕에 해설서이면서도 자료집의 역할까지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
예컨대 고한승은 ‘신(新)영화 <아리랑>을 보고’(1926년, 대한매일신보)란 비평을 통해 “조선키네마의 초특작이요, 소위 1만 5천원의 촬영비를 들여 제작했다는 조선영화 ‘아리랑’이 촬영기술이라든지 감독술에서 독창적 성공은 없어도 대체로 흠잡을 곳이 없는 가작(佳作)”이라면서도 “한 장면씩 떼어놓고 보면 좋으나 한 개의 영화로 볼 때 연락(聯絡)이 못 된 곳이 결함”이라며 꼬집는다. 훗날 나운규는 조선영화 제1호(1936년 11월)에 “조선영화는 난관을 맞았다. 시대는 변했고 관객도 달라졌다. 영화가 문화사업의 하나라면 민중을 끌고나가야 된다. 백 리 앞에서 기를 흔들면 보이지 않으니 언제나 우리는 민중보다 1보만 앞서 기를 흔들어야 한다”는 견해를 밝힌다. 당시 영화인들의 고민이나 현 영화인들의 고민이 큰 차이가 없는 듯하다.
책엔 모두 55편의 글이 실렸다. 편저자 4명이 조선영화사의 윤곽을 그리는 데 핵심적이라고 판단한 비평문들이다. 비평을 쓴 이들의 면면도 화려하다. 소설가 심훈, 시인이자 비평가인 임화, 소설 ‘태평천하’의 작가 채만식, ‘문장강화’의 저자이자 소설가 이태준 등 저마다 당대에 필력을 자랑했던 지식인들이다.
책은 각 영화비평문들을 초기영화, 변사, 사회주의 영화운동, 토키(발성영화), 기업화론, 전쟁과 국책(國策) 문제 등 14개 주제로 나눠 구성했다. 주제마다 편저자의 해제와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목록을 실었고, 당시 조선영화의 생산과 수용 현장을 살필 수 있는 신문, 잡지 기사를 스크랩으로 덧붙였다. 영화 장면과 제작, 상영 현장, 영화인들을 담은 150점 정도의 사진도 첨부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새책 ‘조선영화란 하(何)오’는 바로 이 같은 접근방식에 천착한 책이다. 1910년대부터 해방 이전까지 쓰여진 조선영화 비평문을 선별해 당시 영화계 만화경을 그려내고 있다. 그 덕에 해설서이면서도 자료집의 역할까지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
예컨대 고한승은 ‘신(新)영화 <아리랑>을 보고’(1926년, 대한매일신보)란 비평을 통해 “조선키네마의 초특작이요, 소위 1만 5천원의 촬영비를 들여 제작했다는 조선영화 ‘아리랑’이 촬영기술이라든지 감독술에서 독창적 성공은 없어도 대체로 흠잡을 곳이 없는 가작(佳作)”이라면서도 “한 장면씩 떼어놓고 보면 좋으나 한 개의 영화로 볼 때 연락(聯絡)이 못 된 곳이 결함”이라며 꼬집는다. 훗날 나운규는 조선영화 제1호(1936년 11월)에 “조선영화는 난관을 맞았다. 시대는 변했고 관객도 달라졌다. 영화가 문화사업의 하나라면 민중을 끌고나가야 된다. 백 리 앞에서 기를 흔들면 보이지 않으니 언제나 우리는 민중보다 1보만 앞서 기를 흔들어야 한다”는 견해를 밝힌다. 당시 영화인들의 고민이나 현 영화인들의 고민이 큰 차이가 없는 듯하다.
책엔 모두 55편의 글이 실렸다. 편저자 4명이 조선영화사의 윤곽을 그리는 데 핵심적이라고 판단한 비평문들이다. 비평을 쓴 이들의 면면도 화려하다. 소설가 심훈, 시인이자 비평가인 임화, 소설 ‘태평천하’의 작가 채만식, ‘문장강화’의 저자이자 소설가 이태준 등 저마다 당대에 필력을 자랑했던 지식인들이다.
책은 각 영화비평문들을 초기영화, 변사, 사회주의 영화운동, 토키(발성영화), 기업화론, 전쟁과 국책(國策) 문제 등 14개 주제로 나눠 구성했다. 주제마다 편저자의 해제와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목록을 실었고, 당시 조선영화의 생산과 수용 현장을 살필 수 있는 신문, 잡지 기사를 스크랩으로 덧붙였다. 영화 장면과 제작, 상영 현장, 영화인들을 담은 150점 정도의 사진도 첨부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6-06-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