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만에 ‘다시, 책은 도끼다’ 들고 온 카피라이터 박웅현
카피라이터 박웅현(55) TBWA코리아 크리에이티브 대표(CCO)가 2011년 ‘책은 도끼다’ 출간 5년 만에 후속작 ‘다시, 책은 도끼다’(북하우스)로 돌아왔다. 전작에 이어 이번에도 프란츠 카프카의 말을 제목에 썼다. “책이란 무릇, 우리 안에 꽁꽁 얼어 버린 바다를 깨뜨려 버리는 도끼가 아니면 안 되는 거야.” 다른 제목을 아무리 생각해 봐도 책은 ‘도끼’라는 의미를 벗어나기 어려웠다는 게 그의 말.박웅현 TBWA코리아 크리에이티브 대표는 스마트폰을 한번 충전하면 사흘이나 갈 정도로 스마트폰을 거의 쓰지 않는다. 퇴근하면 스마트폰부터 끈다. 대신 그의 곁에는 늘 책과 메모장이 함께한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전작이 책이 내 인생에 미친 영향, 삶의 태도를 관조하는 데 중점을 뒀다면 이번 책은 책을 읽는 법, 저만의 ‘독법’과 ‘해석하는 법’을 말하고 있어요.” 그의 독법은 봄바람을 만끽하듯 천천히 읽고, 봄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심사(深思·깊이 생각하기)하자는 게 핵심이다.
#그의 메모 1 읽었으면 느끼고, 느꼈으면 행하라
“내가 책을 대하는 태도다. 똑같은 문장도 3만명이 읽으면 3만개의 해석이 나와야 한다. 스마트폰 같은 개떼들이 쫓아오니까 어디로 뛰는지도 모르고 뛰는 게 현실이다. 스마트폰만 들여다보며 온갖 정보만 쌓고 있는 건 용량이 무한정한 ‘알파고’와 싸우자는 미련한 짓이다. 스마트폰을 끄고, 접속을 멈추고, TV 앞에 앉지 말고 가만히 있어 보자. 인풋도 아니고 아웃풋도 아니고 노풋(no-put) 상태로 있는 거다. 읽고, 느끼고, 행하자. 그래야 내가 담쟁이의 도종환이 될 수도 있고, 자전거를 타며 사계절을 온몸으로 느낀 김훈이 될 수도 있다.”
#그의 메모 2 욕망의 최대치와 나의 비루한 현실을 비교하며 애써 불행해하고 있는 우리들의 모습
“이것저것 정신없이 살면 답이 나올 확률이 높아지나. 앞으로 40~50년 동안 힘이 될 만한 것을 쌓아야지 그렇지 않으면 그건 스펙이 아니다. 스펙으로 취업되는 게 불행의 시작 아닐까. 나도 신입사원 면접을 한다. 나 같은 경우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 어떤 책을 읽어 봤고, 어떤 환경에 자신을 노출시켜 왔는지를 주로 본다. 영화, 음악, 책, 트렌드를 질문해 보면 그 사람의 실제 모습을 알 수 있다. 흥행하는 영화만 보는 친구와 생전 들어보지 못했지만 자신의 것으로 만든 영화를 본 친구가 있다면 난 무조건 후자다. 무엇을 하든 자신만의 생각이 중요하다.”
#그의 메모 3 세상사에 시선이 따뜻한 사람이 시인이다. 시를 안 써도 시인이다
“카피와 시(詩)는 태생이 다르다. 카피는 마케팅이 핵심이다. 근데 왜 시인의 감성과 비슷하냐면 카피에는 ‘시적인 압축미’가 들어가 있다. 카피가 마치 시처럼 읽히는 이유다. 김사언은 ‘사랑이 투입되지 않으면 시는 읽힐 수 없다. 마치 전기를 투입하지 않으면 음반을 들을 수 없는 것처럼’이라고 말했다. 남프랑스에 대해 쓴 글을 읽는다고 생각하자. 햇볕이 찬란하고, 키 큰 나무가 있고, 바람이 불면 그 나뭇잎들에서 종소리가 들리는 것처럼 상상하게 된다. 읽고 있는 글에 내 감정을 들이밀어 본다. 그리고 한 줄, 한 줄의 의미를 되새겨 본다. 시를 4D영화처럼 읽게 되면 시를 안 써도 시인이다.”
#그의 메모 4 나이가 한 살 더 든다는 건, 봄을 한 번 더 본다는 것
“빨리 이 책을 끝내야지 하는 강박에서 벗어나자. 나는 책을 읽을 때 이게 내 일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고 읽는다. 천천히 음미하듯 읽다 보면 하루 종일 2페이지를 읽어도 남는 게 많다. 내 인생의 8할은 책과 ‘촉수’(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였다. 책에 감정이입하는 훈련, 메모하고 필사하는 훈련을 몸에 익히면 같은 문장을 적어도 3번은 읽게 된다. 내 머릿속에 문장이 들어오게 되는 심사와 시습(時習·배운 대로 익히기)이 자연스럽게 이뤄진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06-1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