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도 싱크홀 있었다

조선시대도 싱크홀 있었다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6-05-30 17:34
수정 2016-05-30 17: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관들의 주관적 논평 ‘사필’ 출간

이미지 확대
조선 시대에는 지금과 같은 지반침하 현상인 ‘싱크홀’을 문자 그대로 땅이 꺼졌다는 뜻의 ‘지함’(地陷)으로 불렀다. 조선왕조실록에 하늘이 무너졌다는 기록은 없어도 땅이 꺼졌다는 기록은 종종 보인다. 세종 18년(1436년) 12월 황해도 황주에서 발생한 지함은 너비 1m, 깊이 21m였고, 세종 21년(1439년) 5월 해주에서 보고된 지함은 너비 1.5m, 깊이 9m에 달했다. 지함이 발생하면 해당 지역 수령은 조정에 보고하고, 국왕은 괴이한 천재지변이 발생했을 때 지내는 ‘해괴제’라는 제사를 통해 천지신명의 분노를 달래도록 했다.

사관의 눈에 조선 시대의 싱크홀은 어떻게 보였을까. 명종 11년(1556년) 11월 대동강 근처 큰길에서 너비 7자(2.1m), 깊이 8자(2.4m)의 지함이 국왕에게 보고되자 사관은 임금과 신하를 다음과 같이 직설 화법으로 비판했다.

“천재지변이 닥치자 임금과 신하가 그럴 듯한 말을 하며 서로 경계하기는 했지만 형식적으로 옛일을 따라한 것일 뿐이다. … 임금과 신하 모두가 고민조차 하지 않고, 덕을 닦아 일을 바로잡아야 한다느니 두려워하고 반성하겠다느니 하는 공허한 말만 하면서 재변이 사라지기를 바랐으니, 참으로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겠는가?”

조선 시대 사관들의 주관적인 논평인 ‘사신왈’(史臣曰) 혹은 ‘사신논왈’(史臣曰) 등으로 시작하는 사론(史論)을 읽기 쉽게 풀어 쓴 ‘사필-사론으로 본 조선왕조실록’이 한국고전번역원에서 30일 출간됐다. 사론은 조선 전기 실록에만 3400여건이 실렸는데 절반 이상인 약 57%가 인물에 대한 논평이었다. 정종 1년(1399년) 1월 지경연사 조박은 “사관은 임금의 선악을 기록하여 영원히 남기니,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아뢸 정도로 국왕으로서는 여간 신경 쓰이는 의견이 아닐 수 없었다. 한국고전번역원의 한문학자 8명이 쓴 이 책은 실록 속에 다양한 사안을 논평한 사론들을 주제별로 나눠 38건을 싣고, 편마다 관련 배경과 사건, 삽화를 현대적으로 구성해 재미를 더했다. 한편 한국고전번역원은 다음달 1일부터 우리 고전을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고구마’(고전에서 구하는 마법 같은 지혜)를 무료로 배포한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05-3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