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그녀와 나란히 걷겠노라

詩, 그녀와 나란히 걷겠노라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6-02-28 17:34
수정 2016-02-28 17: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재무 시인 세 번째 산문집 ‘집착으로부터의 도피’ 출간

‘무언가에 쫓겨 늘 바지런히 앞만 보고 걷다가 무심코 뒤돌아보면 거기 시(詩)가 땀에 젖은 얼굴로 나를 바라보는 날들이 많았다. 그런 시가 안쓰러워 떨쳐내지 못하고 조강지처인 양 여직 품어 다니고 있다. 가까이 들여다보니 그새 주름이 자글자글 그녀(시)도 나처럼 늙어가고 있다. 이제 걸음의 속도를 늦춰 늘 숨차 하는 그녀와 나란히 보폭을 함께하리라.’

(183쪽)

이재무 시인
이재무 시인
이재무(58) 시인에게 시는 지리멸렬한 생의 구원이었다. 자신의 시가 거리로 나가 누군가를 위무할 때 행복과 자부를 느껴 온 그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가 불쑥 그를 찾아온 건 불우한 환경 때문이었다. 가난과 가족의 외면이 빚어낸 병마로 스러진 어머니를 묻고 온 날 밤, 부의록을 끌어다 놓고 울음처럼 토해 낸 게 그의 첫 시였다. 문학인생 35년에 접어든 시인은 그간 그림자처럼 자신을 쫓아온 시와 이제 보폭을 맞춰 걷겠노라 다짐해 본다. 7년 만에 낸 세 번째 산문집 ‘집착으로부터의 도피’(천년의시작)에서다.

이번 책은 시인이 지난해부터 대표직을 맡아 온 출판사 천년의시작에서 낸 첫 산문집이다. “재정적인 이유로 산문집을 기획했다”는 그의 말을 미리 넘겨짚기라도 한 듯, 김남조 시인은 지난해 10월 문득 그에게 전화를 걸어 당부했다고 한다. “시인이 출판 일을 맡아 하다 시업(詩業)에 소홀한 경우를 더러 보았는데 그러지 말라. 그러려면 매 순간 시에 대한 긴장을 놓지 말아야 한다”고.

대선배의 조언을 뼈에 새기듯 시인은 산문집에서 시를 처음 토해 낸 계기, 시가 읽히지 않는 이유, 시의 부활을 위한 제언, 시인으로서 꿈꾸는 세상 등 시를 둘러싼 충정 어린 사념들을 글편으로 엮어 냈다.

‘시인으로서 시인에게 주문하고 싶은 것은 갈등과 분열로 갈가리 찢어진 불모의 현실을 외면하지 말고 그것에 주의하고 주목하자는 것이다. (중략) 여기까지 말하고 나니 나는 내가 어쩔 수 없는 시대의 지진아라는 생각이 든다. 여전히 계몽의 미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걸 보면.’(180~181쪽)

아버지, 어머니에 대한 곡진한 기억은 시인과 시대를 같이해 온 베이비부머 세대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다. 무능하고 고지식해 평생 육체만 생계의 수단으로 삼았던 아버지, 말년에는 형편없이 무너지는 그 모습을 보기가 괴로워 아버지를 피해 다녔다던 시인은 회한에 젖은 인사를 글로 대신 전한다.

‘당신이 주신 빈곤과 무능과 열정을 오브제로 삼아 문단 말석에 시인이라는 알량하나마 명패를 등재하게 됐다.’(220쪽)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2-2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